지역 사회가 늙어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고령인구는 613만7702명으로 전체 인구의 12.2%를 차지했다. 전국 시·도별로 고령자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 21.4%, 전북·경북 17.5%, 강원 16.4%, 충남 16.0% 등이다. 전남은 생활권역이 광주를 포함하고 있어 전북이 사실상 전국적으로 고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고령화 비율이 높다는 것은 생산 가능인구는 줄어들고 부양해야 할 고령인구는 증가하는 것으로 전북이 활력을 잃고 있다는 의미다.
고령화와 함께 전북은 해마다 인구가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북은 올 들어서 8월 말까지 3천500명 정도가 순유출되었다. 통계청은 전북의 인구 성장이 향후 10년간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역발전이 정체되어 있는데다 지역 성장 잠재력인 인구가 줄어들고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전북은 말 그대로 위기다. 전북의 인구유출을 방지하고 전북이 젊어지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인구유출을 막기 위해선 기업을 유치해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일자리를 만들어 전북을 떠나는 청년들이 지역에 머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기업 유치가 힘든 실정에서 지역의 청년들이 지역에서 적합한 일자리를 찾도록 기업과 대학, 행정이 힘을 모아야 한다. 전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산학관 커플링사업이 좋은 대안이다.
전북도는 2012년 전국 처음으로 특성화고 커플링 사업을 실시하는 등 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이 지역 특성화고를 나온 학생들이 지역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07년부터는 기업과 대학, 행정이 협력하는 대학 산학관 커플링 사업을 통해 지역기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산학관 커플링사업은 지역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지역 고등학교와 대학을 나와 지역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업이다. 전북도를 비롯한 시·군 자치단체가 특성화고와 지역 대학이 세계 명문학교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지원 육성하고, 이를 통해 지역기업이 일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가야 한다. 산학관 커플링 사업과 같이 지혜를 모아 전북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