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도권 이전기업을 말하다 (하)원인과 대책] 지역경제 기여할 업체 유치해야

본문

[수도권 이전기업을 말하다 (하)원인과 대책] 지역경제 기여할 업체 유치해야해외 산업연수생 등 새로운 인력 확보 필요 / 자치단체 직접 투자 대신 간접 지원 효율적

윤나네  |  nane01@jjan.kr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3.10.21  22:26:28
공감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네이버구글msn

전주로 이전한 수도권 기업들이 자리 잡은 전주시 팔복동.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유치는 수도권에 몰려 있는 기업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는 한편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입된 정책이지만, 자치단체의 부실한 대응으로 기대했던 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먼저 이전 업체들은 극심한 인력확보의 어려움으로 전북지역 내 경영 자체가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다.

전주로 이전한 한 업체 관계자는 "인력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해외 산업연수생 등 새로운 인력확보 방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전북지역에선 어느 기업도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인력확보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전기업이 지역에 정착하지 못한 또 다른 이유는 현실적이지 못한 유치대상 기업 선정.

실제 전주로 이전한 기업 상당수는 중소형 규모로, 기업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전한 기업 상당수가 새로운 기술개발보다는 원가를 절감하는 데 주력하기 때문에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오히려 이전 기업이 불법 임대와 건축 등 당초 행정에 제출한 사업계획과 무관한 수익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자치단체는 지원한 보조금 환수는 물론이고 효과까지 거두지 못하는 손실을 보게 돼 '퍼주기식 기업유치'라는 비난 속에서 향후 기업유치 전략마저 위축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기업을 유치할 때 실질적으로 지역 경제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성장 잠재력과 지역 내 적응력을 갖춘 업체를 중심으로 유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 전문가들은 기업지원 정책을 직접투자 방식에서 벗어나 간접지원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실례로 저온창고, 스마트 창고 등 기업이 투자해야 하는 인프라를 자치단체가 무료로 임대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치단체의 지원이 소모되는 지원 방식이 아닌 자치단체 지원이 사회적 인프라로 축적될 수 있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발전연구원 이강진 산업경제연구부장은 "수도권 이전 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새로운 인력확보 방안 마련과 서비스 지원으로 기업지원 정책이 전환될 때 사회적 인프라 건설은 물론, 이를 통해 기업간 경쟁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고용창출 계획에 따른 지원금을 주고, 기업을 모니터링하는 지원방식이 개선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