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출장 목적
- 서울의 생활권계획 수립 및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도쿄의 도시계획체계와 자치구 도시계획마스터플랜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지역생활권의 구분 기준, 지역생활권계획의 주요 내용, 주민참여절차와 방법 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함.
2) 도쿄의 도시계획체계와 자치구 계획
- 도쿄도는 도시만들기 비전과 도시계획구역 마스터플랜 등을 통해 미래상과 광역 공간구조를 제시하고, 자치구는 도시계획마스터플랜을 통해 지역생활권계획을 수립·운영하고 있음.
- 자치구 도시계획마스터플랜은 자치구가 수립하고 구 의회가 승인하며, 도시계획마스터플랜을 최종 확정하기 전에 도쿄도의 담당부서와 협의과정을 거침.
- 자치구 계획 내용은 자치구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자치구 전체구상과 지역별 계획(지침)으로 구성됨. 약 10년 단위로 재정비되며, 기존 계획의 평가를 위한 실시상황보고서, 마스터플랜 초안, 계획안 확정을 위한 법정 절차 등 재정비하는데 약 3년이 소요됨.
3) 자치구 도시계획마스터플랜과 지역별 계획 : 네리마구와 타마(多摩)시 사례
○ 지역(생활권) 구분 방법과 현황
- 자치구의 지역(생활권) 구분은 인구 및 행정구역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인구가 약 70만인 네리마구는 평균 인구 9.4만 명의 7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음.
- 역의 위치를 고려하여 중심지와 배후주거지를 포괄하는 지역개념을 활용하고 있으며, 철도, 간선도로, 토지이용, 인구밀도, 행정단위(町) 등을 고려하여 구분하였음.
지역 | 면적(ha) | 인구(인) | 세대수(세대) |
---|---|---|---|
제1지역 | 701 | 104,450 | 46,742 |
제2지역 | 693 | 114,415 | 59,662 |
제3지역 | 598 | 80,363 | 36,742 |
제4지역 | 306 | 52,666 | 20,863 |
제5지역 | 862 | 84,919 | 33,790 |
제6지역 | 964 | 122,242 | 54,503 |
제7지역 | 762 | 101,423 | 46,565 |
○ 지역별 계획의 주요 내용
- 지역별 계획은 자치구 도시계획마스터플랜의 전체 구상과 지구별 마을만들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함.
- 지역별 주민간담회와 행정 조사 등을 통해 현황 및 특성, 마을만들기 방향, 토지이용 및 마을만들기 지침, 마을만들기 유의점, 주민이 작성한 지역진단 결과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함.
○ 주민참여 절차와 방법
- 자치구 도시계획마스터플랜과 지역별 계획 수립 과정에서의 주민참여는 주민의견 제안, 설문조사, 설명회, 지역별 워크숍, 퍼블릭 코멘트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
- 주민참여단의 대표성 확보 등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지만, 무작위 추출과 공모를 통해 지원자를 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음.
- 네리마구는 7개 지역 주민 워크숍에 소요되는 비용과 계획 역량 등을 고려하여 총 50명의 주민참여단을 공모를 통해 선정하였으며, 9차례의 워크숍을 운영할 예정임.
- 한편 타마시는 시청내 부서장으로 구성된 검토위원회와 실무진으로 구성된 간사회를 구성하여 계획안을 검토하고, 외부 인사로 구성된 도시계획심의회와 특별위원회를 설치하여 계획안을 자문 받는 등 자치구 주도의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 일 시 | 주 제 |
---|---|---|
1회 | 5월 15일(수) 18:30~ | 주제 1. 커뮤니티 & 주거와 생활·복지 마을만들기 주제 2. 방재와 방범의 마을만들기 |
2회 | 6월 12일(수) 18:30~ | |
3회 | 7월 10일(수) 18:30~ | |
4회 | 9월 상순 평일 야간 | 주제 3. 산업·관광 및 교통의 마을만들기 주제 4. 녹지·물과 농촌의 마을만들기 주제 5. 경관과 친환경적 마을만들기 |
5회 | 9월 하순 평일 야간 | |
6회 | 10월 중순 평일 야간 | |
7회 | 11월 상순 평일 야간 | 주제 6. 각 지역별 주제 : 지역별 마을만들기 |
8회 | 11월 하순 평일 야간 | |
9회 | 12월 중순 평일 야간 |
자료제공 및 문의처 :
도시공간연구실 양재섭 연구위원 · 이재수 부연구위원
[인천in 10.15 화] "바다 메우면 우리땅 되는 줄 알았어"... 소래포구서 50년 젓갈 팔아온 김관실 할머니 (0) | 2013.10.15 |
---|---|
멸종위기종 팔색조 "울창한 제주숲 좋아요" --제주도뉴스 (0) | 2013.10.15 |
동주민센터 기능개선을 위한 해외 사례 조사 (0) | 2013.10.14 |
서울시, 2015년 이후 '복지 디폴트' 가능성 (0) | 2013.10.13 |
지방자치단체 2014년 예산 편성, 더 벌고, 아껴 쓰고, 제대로 쓰자 (0) | 201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