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온실가스 줄이면 돈 번다-자리 잡아가는 유럽 ETS-CO₂ 배출권 2018년부터 유료화-유럽 탄소배출권(ETS)

본문

CO₂ t당 최소 10달러 … 온실가스 줄이면 돈 번다

[중앙일보]입력 2012.11.14 00:39 / 수정 2012.11.14 05:59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① 배출권 경매 시작하는 미 캘리포니아주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ETS)’가 세계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도 2015년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기업들로서는 친환경과 비즈니스를 결합해야만 생존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환경부 산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GIR)와 공동으로 국내외 ETS 도입 현황과 전망을 3회에 걸쳐 살펴본다.

인텔이 미국 애리조나주 오코틸로 공장 내 직원 주차장에 설치한 1260개의 태양전지판. 인텔은 미국 내 캘리포니아·애리조나·뉴멕시코 등 모두 15곳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했다. [사진 인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시내에서 남동쪽으로 약 70㎞ 떨어진 샌타클래라.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이곳에는 세계적 반도체칩 제조회사인 인텔 본사가 자리하고 있다. 6일 만난 마이클 제이컵슨 인텔 사회적 책임 담당부장은 “인텔은 미국 내에서 풍력·태양광 등을 이용해 생산한 그린에너지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원자력·화력으로 생산한 전력보다 다소 비싸지만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환경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인텔은 2011년 기준으로 미국 내 본사와 6개 공장에서 소비하는 전력의 88%(25억㎾h)를 그린에너지로 충당했다.

 인텔은 또 친환경 건축과 에너지효율 개선,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등을 병행해 반도체 칩 1개를 생산할 때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2004년보다 80%나 줄였다. 제이컵슨은 “기업의 사회적 평판이 브랜드 가치로 이어지고 이것이 매출 증가로 연결되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캘리포니아의 퍼시픽 가스전력사(PG&E)도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적이다. 전력 1㎿h당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CO₂) 기준으로 2010년에 202㎏까지 줄였다. 2009년보다 23% 감소한 양으로 미국 전체 발전소 평균보다 60%나 적다.
 


 이 같은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는 2006년 제정된 캘리포니아 온난화방지법(AB 32)이 자극제가 됐다. 이 법에 따르면 기업들은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4억 2700만t)으로 줄여야만 한다. 캘리포니아는 2008년에만 4억7376만t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미국 다른 지역에서 도입하지 않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ETS)를 내년 1월 시행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ETS 도입에 따라 연간 CO₂ 배출량이 25만t 이상인 500여 개 기업에는 지난 9월 배출량이 할당됐다. 하지만 통상 배출량의 90%만 무상으로 주어졌기 때문에 나머지 10%는 자체 감축하거나 배출권 구입으로 해결해야 한다. 즉 할당량보다 더 많이 배출한 기업은 할당량보다 적게 배출한 기업 등으로부터 배출권을 경매로 사들여 초과분을 충당해야 하는 것이다. 배출권 온라인 경매는 현지시간으로 14일 처음 시작된다. t당 최소 10달러 이상 거래된다. ETS가 규제이기는 하지만 CO₂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을 가진 기업에는 돈 버는 기회이기도 하다.

 캘리포니아주 대기환경위원회의 데이비드 클레젠 기후변화프로그램 공보관은 “캘리포니아는 그동안 에너지 효율 제고에 노력해온 덕분에 북미 바이오연료 벤처기업의 중심지가 됐다”고 말했다. 미국 내 청정기술 관련 벤처기업 투자 중 3분의 2가 캘리포니아에 집중돼 있다는 것이다. 그는 또 “실업률이 5%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AB32 법안 시행을 보류하자는 주장이 일부에서 제기됐지만 2년 전 주민투표를 통해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결정됐다”고 소개했다. 주정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ETS를 피해 빠져나가는 기업이 일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일자리가 늘고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에 따라 2010년 6월 설치된 환경부 산하 온실가스 관리 전문기관. 국내 온실가스 배출 정보를 관리하고 국가·부문·업종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배출권 거래제와 관련해 업체·업종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고 배출 특성과 감축 잠재량 등을 바탕으로 할당량을 정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879239&cloc=olink|article|default 

덧글 쓰기 엮인글

유럽, GDP 40% 느는 동안 CO₂ 16% 줄었다 기후변화/온실가스

2012/12/04 15:46

복사 http://blog.naver.com/ponagi/100173156211

전용뷰어 보기

유럽, GDP 40% 느는 동안 CO₂ 16% 줄었다

[중앙일보]입력 2012.11.22 00:26 / 수정 2012.11.22 03:0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② 자리 잡아가는 유럽 ETS
독일 신재생에너지 분야 일자리 6년새 20만 개 늘어

독일의 한 풍력발전업체 직원들이 수십m 높이의 대형 풍력발전기 위에서 보수 작업을 하고 있다. 유럽에 배출권 거래제가 도입되면서 독일에서는 2004년부터 2010년 사이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분야 일자리가 두 배로 늘었다. [사진 독일풍력발전협회]

네덜란드 동부 헨겔로시(市)의 폐기물 처리업체 트웬스는 연간 55만t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한다. 이때 발생하는 폐열(廢熱)로 증기를 생산하고 이 중 20%를 전력 생산에 사용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2.5㎞ 떨어진 아크조노벨 소금 공장으로 증기를 모두 보내고 있다. 소금 공장은 이 증기를 이용해 지하 광산에서 뽑아 올린 소금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든다. 종전에는 천연가스를 태워 소금을 추출해 왔다. 이 공장은 증기를 활용한 덕분에 천연가스 사용량을 연간 4000만㎥ 줄였고 이산화탄소(CO₂) 배출도 연간 7만2000t 감축하는 효과를 거뒀다. 이 공장이 줄인 CO₂를 배출권 가격(t당 7유로 기준)으로 환산하면 연간 50만 유로(약 6억9200만원)나 된다.

 이 같은 CO₂ 감축 노력은 요즘 유럽에선 드물지 않다. 2005년 유럽연합(EU)이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ETS)를 도입하면서 기업들이 달라졌다. ▶에너지 효율 개선 ▶온실가스 감축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뚜렷한 추세로 자리 잡은 것이다.

독일에서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분야 일자리가 2004년 16만500개에서 2010년엔 두 배가 넘는 36만7000개로 늘었다. 또 전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의 13%가 몰리면서 독일은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 부상했다.

 요스 델베케 EU 기후변화총국장은 “1990~2011년 EU의 국내총생산(GDP)이 40% 증가하는 동안 CO2 배출은 오히려 16% 줄었다”며 “신재생에너지 비율도 2003년 12%에서 2008년엔 16.5%로 늘었다”고 소개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럽에서도 ETS 도입 초기에는 시행착오가 적지 않았다. 여러 국가가 참여한 탓에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가 부정확했고 배출권도 실제 배출량보다 많이 할당돼 기업들이 별다른 감축 노력을 하지 않았다. CO₂ 1t의 배출권 거래 가격도 2006년 4월 30유로(4만1560원)에서 2007년에는 0.1유로(13.95원)로 폭락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ETS를 주관하는 유럽위원회(EC)는 2단계(2008~2012년)부터 각국이 요구한 배출권 할당을 10% 정도 줄였다. 또 배출량의 4%에 해당하는 배출권은 기업들이 경매를 통해 구입하도록 하는 유상할당도 병행했다.

 유럽은 2009년 기준으로 CO₂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8% 감축해 경제침체를 감안하더라도 CO₂ 감축에는 어느 정도 성공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영국 런던 인근에 위치한 한국계 기업 두산파워시스템(DPS)의 목진원(42) 전략담당상무는 “러시아 등 개발도상국에서 온실가스를 줄였을 때 발생한 배출권도 들어와 거래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배출권 값이 크게 떨어지는 부작용도 종종 나타난다.

 EC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되는 3단계 거래제에서는 각국 정부의 개입을 배제하고 직접 개별 기업에 배출권을 할당할 계획이다. 또 배출량의 절반 이상은 유상할당할 방침이다. 배출권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2013~2015년에 할당 예정인 배출권 중 9억t 분량을 2019년 이후로 미뤄 할당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7월부터 ETS를 시작한 호주는 2015년 6월까지는 고정가격제로, 2015년 7월부터는 변동가격제로 운영한다. 고정가격제는 기업 간 온실가스를 기업 간 혹은 기업과 정부 사이에 배출권을 사고팔 때 CO₂ 1t당 23호주달러(약 2만5900원)라는 일정한 가격에 거래된다는 의미다.
 그레그 컴베이 호주 기후변화장관은 “ETS 도입으로 온실가스에 가격이 매겨지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기업이 경쟁력을 얻게 된다”며 “에너지 다소비 업종과 국제 경쟁이 심한 업종에는 배출권 무상할당 비율을 높이고 보조금도 지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955829&cloc=olink|article|default

덧글 쓰기 엮인글

CO₂ 배출권 2018년부터 유료화 기후변화/온실가스

2012/12/04 15:44

복사 http://blog.naver.com/ponagi/100173156102

전용뷰어 보기

CO₂ 배출권 2018년부터 유료화

[중앙일보]입력 2012.11.14 00:23 / 수정 2012.11.14 06:00

할당량의 3% 의무 구매해야
재계 “연 4조5000억 부담 커”

기업들은 2015년부터 할당량만큼만 온실가스를 배출해야 하며 이를 초과하면 다른 기업으로부터 남은 배출권을 사서 채워야 한다. 특히 2018년부터는 할당량을 넘지 않더라도 할당량의 3%만큼은 배출권을 구매해야 한다.

 정부는 13일 국무회의를 열고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의결했다. 이에 따르면 배출권 거래제는 이산화탄소(CO₂) 기준으로 온실가스를 연평균 12만5000t 이상 배출하는 기업이나 2만5000t 이상 배출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 업체는 정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양을 할당받게 되며 부족하거나 남는 부분은 시장에서 사고팔 수 있다. 초과 배출한 만큼 배출권을 추가 충당하지 않는 기업에는 과징금이 부과된다. 단 무역의존도가 높거나 에너지 다소비 업종은 예외적으로 100% 무상 배출할 수 있다. 기업들은 “할당량의 3%만 구입해도 매년 4조5000억원이 들어 부담이 크다”며 반발하고 있다.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879185&ctg=11

덧글 쓰기 엮인글

탄소 배출권 14일 첫 경매… 수익은 대체에너지 재투자 기후변화/온실가스

2012/12/04 15:38

복사 http://blog.naver.com/ponagi/100173155407

전용뷰어 보기

탄소 배출권 14일 첫 경매… 수익은 대체에너지 재투자 

 

■ 온실가스 배출권 시행 앞두고 캘리포니아 가보니…
REDD도 적용 개도국 투자 유도
인천 송도 GCF 영향력 커질듯


새크라멘토ㆍ샌프란시스코=김경미기자 kmkim@sed.co.kr

입력시간 : 2012.11.13 17:55:36 수정시간 : 2012.11.13 21:40:50 

 

13일 배출권거래제법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이로써 2015년 탄소배출권을 필요에 따라 사고파는 시장이 생기게 됐다.

지구 반대편 미국에서도 배출권거래제와 관련한 큰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보다 2년 앞서 내년에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는 캘리포니아주 정부는 현지시간으로 14일 첫 배출권 경매를 연다.
글로벌 전문가 및 투자자들은 캘리포니아주의 배출권거래제 도입으로 세계 2위 탄소배출국인 미국에 유럽연합(EU)에 버금가는 배출권 거래 시장이 형성될 수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EU와 달리 개도국이 산림보호를 통해 확보한 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 관련 기금을 다루는 인천 송도 국제기후기금(GCF)의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4일 첫 배출권 경매가 실시됩니다. 2006년 9월 아널드 슈워제네거 전 주지사가 기후변화방지법(AB32)에 사인한 지 6년 만에 드디어 배출권 거래가 시작되는 셈이죠."

환경보호기금(EDFㆍEnvoirmental Defense Fund) 샌프란시스코 지부에서 만난 데릭 워커 기후전략팀장은 들뜬 목소리를 감추지 못했다. EDF는 뉴욕 본부를 포함, 미국에서만 12개의 지부를 가진 유력 환경단체다.

경매를 주관할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CARBㆍCalifornia Air Resource Board)의 분위기는 의외로 차분했다. "이미 배출권 할당 등 모든 준비는 끝났고 경매 결과만 기다릴 뿐"이라는 입장이다.

CARB는 이번 경매를 통해 약 6,000만톤 분량의 탄소배출권을 판매한다. 총 예상배출량의 10%가량이며 최저 가격은 1톤당 10달러다. 배출권이 전량 팔릴 경우 총 6억달러(한화 약 6,540억원) 이상을 벌어들일 수 있는 셈이다. 수입은 주정부에 의해 대체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관련 기술개발에 필요한 비용으로 재투자된다.

캘리포니아가 실시하는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미국의 첫 배출권거래제 도입으로 평가 받는다.

2005년부터 뉴욕주를 비롯한 동부 10개주가 연합해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대상이 25㎿ 이상의 발전소에만 한정돼 '반쪽짜리'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면하지 못했다. 반면 캘리포니아의 경우 2013년 발전ㆍ산업 부문에서 일정 규모 이상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업체 모두에 할당을 실시하며 2015년에는 운송 및 가정ㆍ상업 연료 사용에까지 확대한다.

제도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유럽연합시스템(ETS)을 기반으로 설계했지만 여러 부분에서 보완ㆍ차별화를 위해 노력했다는 입장이다.

리처드 코리 CARB 부위원장은 "EU의 경우 제도 시행 전 기업이 배출하는 탄소량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기에 배출권이 과잉 할당되고 가격이 폭락하는 식의 문제가 발생했다"며 "우리는 제3자 인증제도를 도입해 신뢰도 높은 측정ㆍ보고ㆍ검증(MRV) 시스템을 확실히 구축해뒀다"고 말했다.

산림보존과 훼손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도입한 REDD를 상쇄 프로그램으로 적용한 것 역시 눈에 띈다. REDD는 산림관리 및 보전활동에 대해 인센티브 수단으로 배출권을 발급하는 개념으로 앞으로 인도네시아 등 개도국 내 기업과 외국투자기업 역시 캘리포니아에서 REDD 배출권을 팔 수 있다는 말이다.

워커 팀장은 "캘리포니아는 국내총생산(GDP)으로 세계 아홉 번째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기에 주 밖에 살고 있어도 프로그램 참여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며 "REDD 배출권을 구매하기 위해 노르웨이ㆍ인도네시아 등에서 이미 많은 펀드가 생겨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REDD가 미국 시장을 통해 활성화될 경우 인천 송도 국제기후기금(GCF)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까지 8,000억달러 규모로 조성될 국제기후기금(GCF)이 지원할 대표 프로그램이 REDD이기 때문이다.

다만 미국 50개주 가운데 배출권거래제를 본격 실시하는 곳이 캘리포니아 한 곳뿐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경쟁력 저하를 우려하는 산업계의 반발도 여전하다.

코리 부위원장은 "당초 예정했던 것처럼 미국과 캐나다 서부 지역에 대한 연계 체계를 계속 구축해갈 계획"이라며 "온실가스를 최소한도로 배출한다는 것은 곧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경제적 효율을 추구하는 기업들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211/e20121113175536117920.htm

덧글 쓰기 엮인글

유럽연합 ETS 시행 잠정 연기 기후변화/온실가스

2012/12/04 15:21

복사 http://blog.naver.com/ponagi/100173153785

전용뷰어 보기

유럽연합 ETS 시행 잠정 연기 

 

최종수정일 : 2012.11.16 18:27:21


항공업계와 첨예한 갈등을 빚던 유럽 탄소배출권(ETS) 문제가 유럽이 양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최근 유럽위원회는 ETS 시행을 1년 정도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 합의했다.

EU 산하 기후 문제 분과의 관계자는 “최근 ICAO(국제민간항공기구)와 협의를 통해 ETS 시행을 일시 정지시켰다”며, “ETS가 항공사들과의 갈등을 촉발시킨 것은 사실이지만 국제적인 합의를 통해 적당한 시일 내에 재시행 한다는 원칙은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항공산업에 대한 이번 ETS 시행연기로 항공사들은 내년 4월까지는 ETS 준수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EU 측은 ICAO와의 협의를 통해 ETS에 대한 기술적인 점검과 적용 정도에 대해 좀더 구체적인 대화를 통해 조율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존 강경했던 EU측이 이런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한 것은 ETS 문제에 대한 항공사들의 반발이 예상보다 격렬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ICAO는 항공사들이 친환경 항공기나 친환경 연료 등을 이용한 운항을 추진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시간을 번만큼 ETS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준비하길 당부하고 있다.
<양재필 기자> ryanfeel@gtn.co.kr 

 

http://www.gtn.co.kr/readNews.asp?Num=51841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