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긴급진단 原電 안전성 [3·끝] 사용후핵연료 처리

환경과 기후변화/원전 문제

by 소나무맨 2013. 8. 28. 18:33

본문

긴급진단 原電 안전성 [3·끝] 사용후핵연료 처리

각국 정부도 핵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방안에 골몰하고 있다.

핀란드와 스웨덴은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시설 부지를 확정하고 건설을 추진 중이다. 핀란드는 남서쪽 발틱해 부근 유라요키(Eurajoki)의 화강암 지대에 지하 420m 터널을 뚫어 폐연료봉을 보관하는 시설을 건설 중이다. 이 저장 시설에서 폐연료봉을 10만년 동안 밀폐된 상태로 봉인한다는 계획이다. 스웨덴은 중동부 소도시 포스마크(Forsmark)에 최종 저장 시설을 짓기로 결정했다. 2016년 착공해 2022~2024년 완공 예정이다.

두 나라를 제외하면 각국은 영구처분시설 건설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일본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보관할 최종 저장 시설의 부지조차 확정하지 못한 상태이다. 대신 최근 아오모리(靑森)현에 3000t의 폐연료봉을 저장할 수 있는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을 완공했다. 인근 롯카쇼무라(六ヶ所村)의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공장'도 완공 단계다.

프랑스도 영구처분시설 건설을 추진 중이지만, 아직 부지를 확정하지 못했다. 2015년까지 부지 선정과 인허가 과정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현재는 북서쪽 라 아그(La Hague)에 핵연료 재처리 시설을 운용하고 있다.

매년 원전에서 고준위 핵폐기물 3000t이 쏟아져 나오는 미국에서는 네바다주 유카(Yucca)산에 추진하던 핵폐기물 저장 시설 건설이 30년 이상 표류하고 있다. 미국은 1982년 제정한 '원자력 폐기물 정책법(Nuclear Waste Policy Act)'에 따라 1990년대 중반까지 핵무기 또는 원전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지하에 영구히 저장할 시설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유카산에 7만t 저장 규모의 처분장을 짓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가 수년간 지연됐고, 2002년 조지 W 부시 당시 대통령이 최종 승인을 내렸지만 네바다주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후 저장 시설 건설과 중단을 반복해오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2010년부터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