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긴급진단 原電 안전성] [2] 국내 '후쿠시마 사고' 대책

환경과 기후변화/원전 문제

by 소나무맨 2013. 8. 28. 18:31

본문

[긴급진단 原電 안전성] [2] 국내 '후쿠시마 사고' 대책

- 1조원 투입 56개 안전대책 세워
전기 안끊기도록 이동발전車, 수소폭발 없게 제거장치 설치

- 지진대비 미흡하다 지적도
원전 대부분 규모 6.5 耐震… 停電은폐 등 인력문제도 여전

2011년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는 우리나라 원전 안전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게 만들었다. 원전 선진국인 일본조차 예상치 못한 규모의 지진과 쓰나미(지진해일)에 무너졌다. 자료에서만 접하던 미국 TMI 원전 사고(1979년)나 러시아의 체르노빌 원전 사고(1986년)와 달리 후쿠시마는 현실이었다. 수소 폭발에 원자로 건물이 무너지는 장면이 화면으로 방영돼 많은 사람에게 원전 공포심을 심어주었다. 후쿠시마 후속 대책으로 국내에서는 1조원이 넘는 돈을 투입했다. 일부에서는 하드웨어 보강도 중요하지만 인적 시스템 보강도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내진 능력 높이고 정전 대비책 마련

일본은 원전 인근에서 규모 7.5~8.0 지진이 발생해도 견딜 수 있도록 원전을 설계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원전에서 178㎞ 떨어진 곳의 깊이 24.4㎞ 바닷속에서 규모 9.0 지진이 발생하면서 시작됐다. 지진의 힘은 원전 가까이에 와서는 견딜 수 있는 규모로 줄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백원필 박사는 "당시 일부 원전에선 지진이 가한 힘이 내진(耐震) 한계치를 20% 넘었지만 대부분 안전하게 원자로를 자동 정지시키고 비상발전기를 가동했다"고 말했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국내 원전 보강 현황 그래픽
문제는 지진에 이은 쓰나미(지진해일)였다. 원전 지역은 100여년 전에 15m 높이 쓰나미가 온 적이 있었지만, 사업자인 도쿄전력은 이를 무시하고 제1원전에 7.5m 높이 해안 방벽만 설치했다. 전원 공급 설비를 지하에 둔 것도 잘못이었다. 원전이 물에 잠기면서 전원이 끊겼다. 비상발전기도 침수돼 작동하지 않았다. 결국 냉각 시스템이 멈추면서 원자로에서 냉각수가 줄어들었다. 공기에 노출된 핵연료봉에서는 수소가 대거 발생했다. 원자로에 가득 찬 수소는 결국 폭발해 건물을 무너뜨렸다.

우리나라는 후쿠시마 사고를 교훈 삼아 1조1000억원을 투자해 56개 안전 보강 대책을 세웠다. 핵심은 침수 방지 대책이다. 우리나라에 닥칠 수 있는 초대형 쓰나미에 맞춰 해안 방벽을 높였다. 방벽 높이가 7.5m이나 바닷물이 들이찰 때 여유가 0.3m밖에 되지 않는 고리원전은 10m까지 높였다. 외부 전기가 끊겨도 냉각수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이동형 발전차량을 배치하고, 물에 닿지 않을 곳에 비상배터리도 확보했다. 전기가 끊겨도 가동하는 수소제거장치(PAR)도 추가로 설치했다. 56개 안전 보강 과제 가운데 지금까지 24개가 마무리됐다.

지진 안전지대 아니라는 지적 많아

일부에서는 우리나라 원전의 안전 대책이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한다. 바로 내진(耐震) 능력이다. 처음 원전을 지을 때 고려된 내진 설계값은 반경 8㎞ 안에서 규모 6.5 지진을 버틸 수 있는 수준이었다. 당시 최근 수십년 사이에 지진계로 측정된 가장 큰 규모 지진(5.0 안팎)을 버틸 수 있을 정도로 잡은 것이다.

지진학자들은 당시 설정한 최대 지진 규모가 너무 작다고 지적한다. 한반도에서 지진계로 측정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1980년대 평북에서 발생한 규모 5.3 지진이다. 그러나 역사상 더 큰 규모의 지진은 잦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상청 '한반도 역사 지진 기록' 자료에 따르면 신라 혜공왕 15년(779년)에는 규모 6.7 정도 지진이 발생해 가옥이 무너지고 사망자가 100여명 나왔다는 기록이 나온다.

앞으로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경북대 지질학과 장태우 명예교수는 "원전 아래 활성 단층이 존재해 규모 6.5 이상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도 원전의 내진 한계치를 높이는 쪽으로 변하고 있다. 올해 연말 첫 가동 계획인 신고리 3호기를 비롯한 신형 원전 6기는 규모 6.9 지진에 견디도록 설계했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정부는 기존 원전에서도 원자로 자동정지와 비상냉각 시스템 등 핵심 안전장치는 역시 규모 6.9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능력을 높이기로 했다.

후쿠시마 대책 졸속 여부 감시해야

문제는 후쿠시마 후속 대책이 제대로 지켜지느냐다. 이미 새로 설치한 수소제거장치의 성능검사 서류가 위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대책도 제대로 진행되는지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 인적 문제도 중요하다. 2011년 말 한수원은 고리 1호기에서 후쿠시마 후속 대책의 일환으로 각종 안전훈련과 교육을 마쳤다고 했는데, 이듬해 2월 고리 1호기의 정전 사고 은폐가 일어났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