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의 종말』은 자본주의가 그 자신의 역사적 과정 속에서 위기를 맞이했다는 것을 전제로 그 대안을 진지하게 고민한다. 마르크스주의에 기초를 둔 생태학적 정치경제학으로 자본주의를 비판해 온 저자의 이론적 연속선상에 놓여 있는 일종의 선언서로, 현행 자본주의를 상세히 분석하여 그 위기를 발견하고 종말을 예견한다.
먼저 역사의 종말이 끝없는 자본주의를 의미하는 것인가에 답한 다음 자본주의 개념을 둘러싼 각종 논쟁, 현실 자본주의에서 전유의 네 가지 형태를 소개한다. 그런 다음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원동력이 '자본주의적 형태, 화석 에너지원, 유럽 합리주의'의 삼위 일체에서 나온다고 분석하며, 이것을 와해시켰을 때 어떤 현상이 벌어지는지도 이야기한다.
또한 자본주의가 어떻게 구성되어 왔으며 무엇을 기반으로 성장했는가도 설명하고, 내부의 모순들과 그것이 첨예화되는 과정 및 외부의 충격이 다루어진다. 그리고 사회 내부에서 신빙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는 것들, 특히 연대적 경제 체제와 화석 에너지 체제를 넘어서는 '지속 가능한 태양 에너지 체제가 결합되는 사회'를 제안한다.
☞ 이 책의 독서 포인트!
세계화된 현행 자본주의 체제를 정확히 분석하였고, 자본주의와 그 위기의 분석을 통해 지금의 세계를 넘어서는 신빙성 있는 대안으로 자본주의 이후에 현실적으로 가능한 세계를 보여준다. '현행 자본주의의 종말'이라는 다소 파격적인 주제를 다루었다는 점이 돋보이며 직설적인 어투로 심각성을 명확히 내비친다.
서문
들어가는 말/ 내부의 모순, 외부로부터의 충격, 그리고 신빙성 있는 대안들
1.역사의 종말이 곧 끝없는 자본주의인가?
시간과 공간, 위기와 대전환
역사의 종말?
종교로서의 자본주의
현행 자본주의 : 가능한 모든 세계들 중 최상의 세계인가?
2.자본주의 개념을 둘러싼 논쟁
자본과 자본주의
시장 경제와 교환 경제
인적 자본과 그외의 자본
3.현실 자본주의에서 사적 전유의 네 가지 형태
전유의 첫번째 형태 : 가치화
전유의 두번째 형태 : 절대적 잉여 가치 창출
전유의 세번째 형태 : 상대적 잉여 가치 창출
전유의 네번째 형태 : 지정학과 새로운 제국주의
4.자본주의적 형태, 화석 에너지원, 유럽 합리주의의 삼위 일치
가속화와 공간의 압축
태양 에너지와 화석 에너지 사이의 에너지 방화벽
자본주의에서의 화석 에너지원의 장점
비공식적인 도시화
5.원활한 성장
부와 불평등의 증대
성장이 물신화되다
경기 변동 주기, 위기, 파국
생태적 한계에 부딪힌 성장 담론의 역설
6.내적 모순의 첨예화 : 금융적 억압과 금융 위기
금융 시장의 해방과 '좋은 거버넌스'의 속박
실질 이자가 높은 이유
높은 실질 이자가 초래하는 결과들
통화 경쟁에서 통화 갈등으로
자본주의가 망가지다
7.외부의 충격 : 석유 시대가 끝나간다
테러는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일어난다
유한성에 관한 담론들
석유 공급의 한계 : 피크 오일
석유 수요와 에너지 시장
석유를 둘러싼 분쟁 : 석유 제국주의
온실 속의 갈등
8.사회 내부에서 신빙성 있는 대안들 : 연대 의식과 지속 가능성
행동 논리들 : 등가성, 상호성, 재분배, 연대 의식
'아래로부터의 신자유주의'
시장에 대한 인간의 안전
사회 운동을 통한 시간과 공간의 탈환
'아래로부터의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 : 연대적 경제
지속 가능성 : 태양 에너지 사회
9.가능한 세계들, 과학에서 유토피아로
자본주의의 종말과 새로운 시스템
동북아 권력지형의 변화, 한국의 선택 (0) | 2013.05.27 |
---|---|
과연, 자본주의의 종말은 오는가 (0) | 2013.05.26 |
모션블러(motion blur) 효과 (0) | 2013.05.23 |
그린스트레스가 기업의 새로운 기회 보고서 (상큼한 보고서 같네요) (0) | 2013.05.07 |
일자리창출-거버넌스-선진화 방안 (0) | 201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