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열발전소 가동
풍부한 석유자원을 가진 아부다비(Abu Dhabi)는 지난 일요일 세계 최대 규모의 집광형 태양열발전소(Concentrated Solar Power, CSP)의 가동을 시작하였다.
이 발전소는 약 6억 달러의 건설비용을 소요하였으며, 약 20,000가구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할 계획이다. 친환경 도시인 마스다르(Masdar)의 책임자인 Sultan al-Jaber는 100 MW규모의 Shams 1 발전소가 가동면에 있어 세계 최대 규모라고 강조하였다.
![]() 이번 프로젝트의 파트너 기업 중 하나인 Abengoa Solar의 CEO인 Santiago Seage는 “Shams 1는 모든 면에서 최대 규모”라고 말했다. 전세계 많은 다른 발전설비들은 태양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태양광발전 기술(Photovoltaic Technology)을 적용하고 있지만, CSP는 집열기 또는 렌즈를 사용하여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Seage는 마스다르에서 생산되는 태양열발전량은 전세계의 약 10%를 차지한다고 설명하였다. 태양열발전 단지는 아부다비 남서부로부터 약 129km 떨어진 서부 지역(Western Region) 사막에 위치하여 있다. 축구장 약 285개에 달하는 광활한 지역에는 파라볼릭 트르프(Parabolic Trough) 반사경이 길게 늘어서 있다. 768개의 파라볼릭 트르프 집열기는 일출부터 일몰까지 태양을 추적하여 오일이 들어있는 중앙 튜브에 태양에너지를 집중시킨다. 여기서 가열된 오일은 물을 스팀을 변환하는데 활용되며, 스팀은 터빈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어 최종적으로 전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열발전은 도로 위의 자동차 15,000대가 연간 배출하는 약 1750,000톤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태양 집열기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인 사막 모래를 제거하기 위해 자동화된 트럭이 사용된다. 마스다르는 이번 프로젝트의 60%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프랑스 Total과 스페인 Abengoa Solar는 각각 20%를 갖고 있다.
![]() 아부다비는 아랍에미레이트 연방을 구성하는 7개의 아랍족 중 가장 부유한 국가이다. 아부다비는 UAE 석유매장량의 95%인 982억 배럴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세계 7번째로 큰 규모이다. 또한 아부다비는 많은 양의 가스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Jaber는 “오늘날 UAE는 석유 수출뿐만 아니라 중동과 OPEC(Oil Exporting Organization)에서 최초로 재생가능 에너지를 생산하는 국가가 되었다”고 말한다. 아부다비는 지금까지 중동의 재생가능 에너지 중심지가 되기 위해 노력하였다. 친환경 도시인 마스다르를 조성하였으며, 국재 재생에너지기구인 IRENA의 본부를 마스다르에 설립되게 하였다.
IRENA의 Adnan Amin은 이번 CSP 설비 가동 기념식에서 “이번 행사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순간이다. Shams 1은 풍부한 석유자원을 갖고 있는 중동지역이 재생가능 에너지의 중심지가 되기 위한 의미 있는 첫 번째 결과”라고 밝혔다.
Shams Power Company의 관계자들은 2020년까지 아부다비가 대부분의 재생가능 에너지를 태양열발전이 아닌 태양광발전을 통해 얻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참고로 아부다비는 2020년까지 7%의 재생가능 에너지를 활용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Shams 1과 같은 발전소는 원하는 시기에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가동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고 있지만, 태양광발전은 태양열발전 대비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낮으며, 주택 및 건물 등 다양한 지역에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외부 기술 등에 의해 조만간 변화될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
[출처 : KISTI 미리안(http://mirian.kisti.re.kr) 『글로벌동향브리핑(GTB)』2013. 03. 21] [원문보기]
U |
세상에 있는사막을 푸르게 만들고 기후변화를 되돌리는 법 (0) | 2013.04.14 |
---|---|
환경부2013 국정업무보고 (0) | 2013.04.05 |
태양광,베드제드작센에너콘 (0) | 2013.03.31 |
기후변화와 건강(장재연교수 ) (0) | 2013.03.27 |
외국의 기후변화대응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화일 첨부화) (0) | 201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