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5.03.08. 08:05 수정 2015.03.08. 15:53
(수원=연합뉴스) 이영주 기자 = "이미 아이들이 선행학습을 해왔기 때문에 가르치는 즐거움이 없었던 것 같아요. 이미 알고 와서는 되게 따분해하기도 하고 지루해하기도 하고"(6학급 규모 소규모 혁신초교 여교사)
경기도 초등학교 교장·교감,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바라보는 교실의 현주소는 어떨까.
8일 경기도교육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도내 학교 구성원 66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주제로 심층면담을 시행, 그 내용을 분석한 결과 '행복하지 않은 학교'를 핵심적인 문제로 꼽았다.
연구원은 수업의 비내실화·형식적 교육과정 운영·비본질적 평가·형식적인 수업공개 등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면담에 참가한 농촌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교장은 "상황에 따라 동기부여를 통해서 학생들이 배우도록 해야 하는데 20∼30년 된 선생님들 현실을 보세요. 그런가요? 과연 나만의 수업이 있느냐. 그게 우선 생겨야 선생님들이 자존감이 생기고 당당해지는 거죠"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한 학부모는 "(수업때 선생님이) 설명 없이 (PPT 화면을) 눌러만 주고 '봤지? 봤지?' 그렇게 하는. 그런 얘기를 (자녀에게) 전달받았을 때, 특히 고학년 아이들은 문제를 제기한단 말이죠"라고 지적했다.
교육연구원은 과도한 업무와 사회의 무리한 요구에 시달리는 '소진된 교사'와 구성원간 벽·불신·갈등 및 줄세우기 경쟁 속에 놓인 '단절·경쟁의 학교', '지시·감독의 교육청'이 행복하지 않은 교육환경을 조성한다고 진단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학교 구성원의 면담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선생님들이) 아이들을 집중적으로 가르치기에는 업무가 너무 많아요. 저희 집에서 학교가 보이는데 불이 7시, 8시까지 켜져있고(…)" (중소도시 일반학교 학부모)
"(예전엔) 선생님들이 도와가면서 하는 게 있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승진문제도 있고 그러다 보니까 (수업준비 할때) 참견 안 해주고" (혁신지구 대도시 초교 부장교사)
학교현장을 지원역할을 하는 교육청에 대해선 일관성 없는 교육정책으로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이밖에 선정된 학교에 예산을 몰아주는 혁신학교 일반화 문제와 여초현상이 극에 달한 교사 성비 문제, 코드인사와 같은 학교를 둘러싼 각종 제도와 비정상적인 현상들이 '행복하지 않은 학교' 문제를 더 악화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처럼 표출되는 문제들은 혁신교육에 도달하기 위한 성장통으로 규정하고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지속발전형·성장형·갈등형·안주형 학교로 나뉜다고 설명했다.
교육연구원은 교원의 자발성과 학교문화, 제도적 지원이 갖춰졌을 때 지속발전형 초등학교에 도달하는 '내실화'를 이룰 수 있다고 보고 교사 간 공동수업안 작성, 교원업무경감 등 정책을 제안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초교 5곳을 선정해 관리자·부장교사·경력교사(10년 이상)·신규교사(경력 5년 내외)·학생·학부모 등을 상대로 40분∼1시간 심층면담했다.
심층면담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육에 대한 구성원의 문제인식을 17개 범주, 108개 개념으로 분류하고 개념 간 원인관계를 규명해 '초등학교 교육 내실화 과정 이해'라는 연구보고서를 내놓았다.
사교육에 멍드는 아이들 (0) | 2018.05.02 |
---|---|
사교육에 멍드는 아이들에 이야기 (0) | 2018.04.22 |
아이를'부자'로 키우는 법 -- 변재용 한솔교육 대표이사 (0) | 2017.05.17 |
광주시 ‘학교 밖 청소년 자립 지원’ 전국 모델 됐다 (0) | 2017.03.09 |
미래교육은 어떻게 변하나? 교육은 변혁기에 접어들었고 인공지능기반의 교사 없는 교실이 부상하고 있다 (0) | 2017.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