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N 전주교통방송과 함께하는 전북의 강이야기 63회까지 진행 되었습니다

2017. 2. 24. 12:57소나무맨의 경력 및 활동/방송출연과 동영상


  

방송시간 12:10~13:52
진행자 : 이백희, 이지영 | 프로듀서 : 이진웅 | 작가 : 이은정
프로그램소개
배는 부르고, 나른함이 몰려온다...
눈꺼풀의 무게를 덜어드립니다.
우울증을 날려드립니다.

방송내용안내

◯매일 코너
- 사회풍자콩트 - 2017판 신전래동화
- 생활정보콩트 - 우리동네백수 이백수 (화,목)

◯요일 코너
1부) 같이 삽시다
월 - 마음편하게 삽시다 - 김경희 심리치료사
화 - 안전하게 삽시다 - 이세경 취재리포터
수 - 상식적으로 삽시다 - 정아영 취재리포터
목 - 글로벌하게 삽시다 - 다문화 이야기
금 - 강에서 삽시다 - 전북 강살리기추진단 김택천 이사장
          전북의 강이야기 나눕니다 ==========

2부) 놀아봅시다
월 - 법대로 놀아봅시다 - 정우진 & 오동현 변호사
화 - 청취자와 놀아봅시다 - 애청자 전화연결
수 - 스타와 놀아봅시다 - 초대가수 출연
목 - 세대공감하며 놀아봅시다 -방송인 조세희
금 - 배우며 놀아봅시다 - 음치클리닉 가수 정혜인 



2017. 2. 24(금)일자 - 교통방송 63회차 질문지(콘티-효녀 심청이야기편).hwp

============================================================================================================



# 교통방송 63회차 질문지 - 2. 24일자

질문1

- 우리의 삶에 지니며 흐르는 전북의 강, 섬진강에 대해서

전라북도 강 살리기 추진단

김택천 이사장을 모시고 함께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

답변1

○ 섬진강, 중류의 또 다른 상징은 효녀 심청입니다.

오늘은 섬진강 중류지역의 설화인 ‘효녀 심청’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의 효 문화를 상징하는 심청은 곡성 출신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 ‘섬진강 기차마을’이 곡성의 외형적인 상징이라면

‘심청’은 내면적인 상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곡성군은 심청이야기를 효(孝) 문화 선양사업을 벌이고 이를

새로운 문화자산으로 가꿔 나가고 있다 하는데요. 사연을 들어 보시죠

.

질문2

- 효녀, 심청이야기 많이 들었던 사연이지만 숨겨진 유래가 있다구요 궁금한데요?

답변2

○ 심청이야기의 근거가 되는 것이 ‘관음사 사적기’입니다.

○ 조선 영조 5년(1729) 송광사의 ‘백매자(白梅子)’ 선사는

그 동안 전승돼 오던 이야기와 ‘원통전’ 해체 보원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 기록 등을 통해 관음사 창건설화를 기록으로 남기고 있는데요.

○ 당시 발행한 목판은 한국전쟁 때 화재로 소실되고 송광사

성보박물관에 판본이 유일하게 남아 있습니다.

○ 관음사 연기설화의 내용을 간단히 말씀드리면,

○ 충청도 대흥현에 살던 맹인 원량은 처를 잃고 흥장이라는

딸과 함께 살고 있었는데 홍장은 정성으로 아버지를 모시니

그 효행이 바다 건너 중국에 까지 소문날 정도였다고 합니다.

○ 어느 날 홍법사 성공 스님이 부처님의 계시라면서 시주를 간청하고,

논밭 한 뙈기 없던 원량은 홍장을 딸려 보냅니다.

○ 성공 스님을 따라 나선 홍장이 소랑포에서 쉬고 있을 때

진나라 황제가 황후간택을 위해 파견한 사신 일행을 만나게 된다.

○ 용모를 살피고 진나라 황후가 되어 달라고 간청하는 사신들에게

홍장은 예물로 가져온 금은보화를 모두 스님께 드리게 했는데요.

○ 사신들을 따라 진나라로 건너간 홍장은 진나라 황제인 혜제의 황후가 되었다고 합니다.

○ 황후가 된 홍장은 선정을 베풀고 덕을 행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고국에 두고 온 부친을 늘 잊지 못했다고 합니다.

○ 그래서 황후는 정성을 다해 관음상을 만들어 바다 건너 동국으로 보냈는데

석선에 실린 관음상은 표류 끝에 낙안포에 도착해 성덕 처녀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

○ 성덕 보살은 그 관음상을 업고 고향인 옥과현 성덕산으로 와서

지금의 관음사를 창건했고 원량은 홍장과의 이별로 많은 눈물을 흘려 눈을 뜬 후

95세까지 복을 누렸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질문3

- 이후 효녀 심청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답변3

○ 곡성군은 1999년 연세대학교 심청연구팀(팀장 양권승)에 용역을 의뢰해

연기설화와 심청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줄 것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 심천연구팀은 이듬해 초 발표한 보고서에서 “소설 ‘심청전’의 주인공

‘심청’은 1,700년 전 곡성군 오곡면 송정 마을에서 태어난 실존 인물이라고 발표했는데요.

○ 보고서는 “관음사와 중국 절강성 등 국내외 현지를 13차례에 걸쳐 답사하고

역사 자료 고증 등을 통해 송정 마을 곤방산 밑에는 당시

무릉도원과 도화천, 옥녀탕 등의 흔적이 남아 있고, 철을 주조했던

‘사적터’가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심청이 살던 고향으로 판단된다.”고 밝혔습니다.

○ 곡성군은 이를 바탕으로 섬진강변인 송정마을에 ‘심청이야기 마을’을

조성하는 등 대대적인 효 문화 선양 사업을 벌이게 되었지요.

질문4

- 관음사 연기설화가 심청의 모태라는 설이 있는데 다른설화도 많다구요?

답변4

연세대 연구팀이 관음사 연기설화가 소설 ‘심청전’의 원류라고 본 것은

줄거리가 대부분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 우리나라에 전해져 내려오는 심청전의 근원설화로는

‘황천무가 바리공주’, ‘심청굿 무가 사설’, ‘효자 지은설화’, ‘거타지 설화’ 등 무수하게 많다고 합니다.

또한 인도의 ‘전동자.법묘장자설화’, ‘목련존자설화’, 일본의 ‘소양희 설화’등

동양 각국에도 산재있다고 하는데요.

○ 그 중에서도 ‘효행’-‘인사공희’-‘개안’으로 이어지는 기본적인 줄거리가

가장 일치하는 것이 ‘관음사 연기설화’라고 합니다.

○ 때문에 ‘관음사 사적기’에 나오는 ‘원흥장’은 실존 인물로

곡성 출신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연세대 연구팀의 주장입니다.

○ 만해 ‘한용운’도 일찍이 1930년 10월에 발행된

‘불교’ 제76호에서 심청전이 ‘관음사 연기설화’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고 하는데요.

○ 그 동안 심청전 근원설화를 연구해온

김태준, 장덕순, 김기동, 황패강, 김태곤, 신동일, 사재동, 정화영 등동

논문에서 결론은 약간씩 달라도 모두 관음사 연기설화를 거론하고 있습니다.

○ 1990년대 들어 광민 스님의 ‘심청정의 원형 관음사 연기설화(1994)’ 등

심청전과 원흥장의 관계를 다룬 책자가 잇따라 발간되면서

‘관음사 연기설화’가 심청전의 모태라는 주장이 확산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질문5

- ‘심청가’가 판소리를 통해서 알려지게 된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5

○ 우리나라 판소리 200년사에서 남원, 순창, 구례, 담양, 곡성 등은 명창들을 다수 배출한 곳입니다.

○ 특히, 판소리 ‘춘향전’과 ‘흥부전’의 배경이 남원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데요.

○ ‘심청가’ 또한 이곳 출신의 판소리 명창들에 의해 처음 불려지고

그 모태가 ‘관음사 연기설화’에서 출발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심청가가 수많은 명창들에 의해 불려지게 되면서

오늘날의 ‘심청가’내지 ‘심청전’으로 자리를 잡았을 것으로 보인다.

○ 지난 2000년 초 방영된 한방송사 -TV의 ‘역사스페셜-심청의 바닷길’은

관음사 연기설화의 시간적 배경인 서기 300년경에 중국 무역선이

섬진강 중류인 곡성에 드나들었다고 주장했는데요.

○ 당시에 변한 땅인 곡성은 ‘철’의 주산지로 ‘철’을 구하기 위한 ‘중국 무역선’들이

섬진강을 통해 활발히 왕래했다는 것입니다.

○ 그 과정에서 심청이 중국 양쯔강 어귀의 보타섬으로 건너가 귀인이 되고,

중국에서 관음상이 실려 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판소리 심청가도 “옛날 황주 도화동에 한 소경이 있었으니

성은 김가용 이름은 학규라.” 라고 시작하면서

그 무대가 황해도 황주라고 밝히고 있는데요.

○ 심청이 빠져 죽은 인당수도 황주에서 가까운 백령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어디에도 심청가나 심청전의 무대가 곡성이고 심청이 곡성 출신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하지만 곡성이 효녀 원흥장의 이야기를 간직해온 것만으로도

심청을 모실 자격은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방송 인터뷰 : 전라북도 강살리기 추진단 이사장 김택천

- 자료제공 및 질문지 작성 : 전라북도 강살리기 추진단 상임이사 오문태






2017. 2. 24(금)일자 - 교통방송 63회차 질문지(콘티-효녀 심청이야기편).hwp
0.0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