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 20. 18:59ㆍ지역 뉴스/서울시 뉴스
○ 2016년 서울시민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경제 분야는 ‘체감 생활물가 상승’
- 2016년 서울시민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경제 분야는 ‘체감 생활물가 상승’(3.42점)이었으며, 그다음은 ‘노후대비 미비/은퇴 후 재취업 난항’(3.33점), ‘전월세 가격 인상’(3.21점) 순으로 생계 관련 비용 문제에 관심이 많음
- 연령대별로는 차이를 보여, 30대 이하는 ‘전월세 가격 인상’, 40대는 ‘체감 생활물가 상승’, 50~60대는 ‘노후대비 미비/은퇴 후 재취업 난항’ 문제에 각각 관심도가 가장 높아
표 1. 2016년 서울시민의 10대 경제 분야 관심도 (단위: 점)
분야 | 평균 (4점 만점) | 연령대별 관심도 | |||
---|---|---|---|---|---|
30대 이하 | 40대 | 50대 | 60대 | ||
체감 생활물가 상승 | 3.42 | 3.40 | 3.49 | 3.38 | 3.34 |
노후대비 미비 / 은퇴 후 재취업 난항 | 3.33 | 3.14 | 3.30 | 3.47 | 3.40 |
전월세 가격 인상 | 3.21 | 3.43 | 3.22 | 3.05 | 3.16 |
가계수입 정체 및 고정지출비용 증가 | 3.17 | 3.21 | 3.18 | 3.19 | 3.07 |
주택대출 및 가계 빚 증가 | 3.10 | 3.29 | 3.14 | 3.02 | 2.86 |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 | 3.01 | 2.83 | 2.94 | 3.18 | 3.14 |
주택 거래량 감소 | 2.94 | 3.07 | 3.03 | 2.77 | 2.87 |
자녀 사교육비 증가 | 2.88 | 3.25 | 3.20 | 2.54 | 2.30 |
저출산 및 고령화 인구 증가 | 2.87 | 2.83 | 2.81 | 2.89 | 3.02 |
어린이집 및 복지 시설 감소 | 2.65 | 3.17 | 2.55 | 2.35 | 2.53 |
주: 각 분야별 관심도는 ‘매우 관심’(4점), ‘약간 관심’(3점), ‘별로 관심 없음’(2점), ‘전혀 관심 없음’(1점)으로 응답자별 가중평균 점수(n=1,054)
자료: 서울연구원(2015.11), 소비자 체감경기 전망 조사 부가조사(2016년 경제 관심사)
○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도 ‘체감 생활물가 상승’이 전 연령층에서 상위권을 차지
- 10대 경제 분야 중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중요도) 역시 ‘체감 생활물가 상승’(50.6%)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
- 이를 제외하면, 30대 이하는 ‘전월세 가격 인상’과 ‘주택대출 및 가계 빚 증가’를, 40대는 ‘전월세 가격 인상’과 ‘노후대비 미비/은퇴 후 재취업 난항’을, 50~60대는 ‘노후대비 미비/은퇴후 재취업 난항’과 자녀와 관계 깊은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
표 2. 2016년 서울시민의 10대 경제 분야 중요도 (단위: %)
분야 | 1+2+3순위 | 연령대별 중요도 | |||
---|---|---|---|---|---|
30대 이하 | 40대 | 50대 | 60대 | ||
체감 생활물가 상승 | 50.6 | 50.9 | 57.2 | 48.4 | 42.2 |
노후대비 미비 / 은퇴 후 재취업 난항 | 40.5 | 18.7 | 39.0 | 51.7 | 57.3 |
전월세 가격 인상 | 39.7 | 50.6 | 39.3 | 35.0 | 31.7 |
주택대출 및 가계 빚 증가 | 38.3 | 48.6 | 37.2 | 33.6 | 32.4 |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 | 34.2 | 21.9 | 27.7 | 48.1 | 41.2 |
가계수입 정체 및 고정지출비용 증가 | 33.1 | 34.0 | 31.8 | 36.2 | 28.7 |
저출산 및 고령화 인구 증가 | 18.9 | 18.9 | 12.9 | 19.8 | 27.6 |
자녀 사교육비 증가 | 15.9 | 15.9 | 28.8 | 8.5 | 5.2 |
주택 거래량 감소 | 11.6 | 15.7 | 11.1 | 6.8 | 14.4 |
어린이집 및 복지 시설 감소 | 8.8 | 20.1 | 7.2 | 2.3 | 5.3 |
주: 위의 10대 경제 관심사 중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될 상위 3개 분야에 대한 중복응답 비율(n=1,048)
자료: 서울연구원(2015.11), 소비자 체감경기 전망 조사 부가조사(2016년 경제 관심사)
'지역 뉴스 > 서울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과 떨어져 사는 서울시민 얼마나 될까? (서울인포그래픽스 제159호) (0) | 2016.06.20 |
---|---|
서울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새는? (서울인포그래픽스 제164호) (0) | 2016.06.20 |
서울시민, 환경을 생각한 행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서울인포그래픽스 제175호) (0) | 2016.06.20 |
서울의 문화시설, 무엇이 가장 많이 늘었나? (서울인포그래픽스 제179호 (0) | 2016.06.20 |
서울의 차들은 얼마나 빠르게 달릴까? (서울인포그래픽스 제187호) (0) |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