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광덕산환경교육포럼 나누기

본문




[광덕산환경교육포럼 참여 위원 연락처-24명]

이름(ㄱㄴ순)

소속

전화/이메일

비고

김인호

신구대학 식물원장

010-3745-7620

kimih@shingu.ac.kr

김찬국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

010-4110-6867

ckim@knue.ac.kr

김택천

KEEN 상임대표

010-4699-1835

tc2848@hanmail.net

문인아

갯벌센터네트워크 의장

010-5778-8150

kwhold@naver.com

민성환

생태보전시민모임

lpsky@hanmail.net

010-5618-4131

박완희

두꺼비친구들 사무국장

010-3872-6133

pwh55o5@hanmail.net

복권승

지천생태모임대표

dilletante@hanmail.net

010-6823-2646

양경모

에코샵홀씨 대표

010-5395-2184

yangkm77@hanmail.net

오창길

자연의벗연구소 소장

010-2418-5737

doyosae88@hanmail.net

육경숙

녹색교육센터 소장

010-8163-4318

jiwoo@greenkorea.org

이계숙

시화호생명지킴이 대표

010-6347-4958

leeks13@naver.com

이선경

청주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011-332-2521

sklee@cje.ac.kr

이인식

우포늪지킴이

010-4556-9009

upo2008@hanmail.net

이재영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

010-4900-7206

keep@mail.kongju.ac.kr

이종훈

수원시 기후변화체험교육관

greenymca@gmail.com

010-4474-5672

이평주

푸른충남21실천협의회 사무처장

cnagenda@hanmail.net

010-5432-1144

장미정

환경교육센터 소장

010-3475-8911

changmj@kfem.or.kr

정대수

교사

010-2812-7951

chewkey@empas.com

정병준

분당환경시민의모임 대표

019-388-5730

bandi21@chol.com

정호선

부산환경교육센터 사무국장

010-3372-6540

jhs@kfem.or.kr

제종길

전 KEEN 공동대표/현 안산시장

1666-1234/010-3715-6218

jgje1231@korea.kr/chj1305@korea.kr

차수철

광덕산환경교육센터 사무국장

csc@kfem.or.kr

010-3373-2535

최병조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 사무처장

010-3193-7968

cbj7968@hanmail.net

채진영

제주환경교육센터 사무국장

010-2338-2162

jeju@kfem.or.kr





[2016 겨울] 광덕산환경교육포럼




2016. 1. 08 - 1. 09
광덕산환경교육센터
< 목 차 >


1. 포럼 안내  3

2. 주제발표
   가. 대전광역시 환경교육종합계획 검토 05
환경교육센터 장미정
   나. 부산환경교육센터 활동 현황과 평가 8
부산환경교육센터 정호선
   다. 협동조합 환경교육연구소 설립 기획 검토 12
‘(가칭)협동조합 환경교육연구소’ 준비위원 차수철
   라. 제12회 한국환경교육한마당 기획안 검토 14
CEEN 사무국장 김문옥
   마. 2016 한국 환경교육을 위한 단상 18
KEEN 상임공동대표 김택천
   바. 기업과 환경교육의 만남 19
KEEN 사무처장 최병조
   사. 생태계서비스로서 생태교육 개발 25
공주대학교 이재영


3. 별첨1. 원고 양식 31

4. 별첨2. 참여위원 명부 32


[2016 겨울] 광덕산환경교육포럼 안내


▢ 취지와 기조
   광덕산환경교육포럼이 이제 3회째를 맞이했습니다. 나누고 더해야 할 한국 환경교육의 소소한 이야기, 평가와 과제를 위한 경험과 제안의 마당을 만들어 보자는 취지가 조금씩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작년 포럼결과보고서를 주변에 나누었더니 여러 분들이 감사 인사를 보내주셨습니다. 각자 일에 바쁜 와중에 서로의 이야기, 우리가 당면한 환경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짚어볼 수 있는 이야기마당이 참 소중해 보인다는 말씀들이었습니다. 이렇게 한발씩 나아가 보려고 합니다. 올 해는 겨울이지만 생명이 예비되고 있는 연초에 모였습니다. 더불어 행복한 시간이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모임 대표 준비위원 드림
  ▪ 김택천(KEEN 상임공동대표)
  ▪ 오창길(지구의벗 소장)
  ▪ 이재영(광덕산환경교육센터 센터장)

▢ 목적
   한국 환경교육 발전을 위한 전문가, 운동가들 간의 교류와 集談會

▢ 개요
  -일시 ; 2016년 1월 8일(금) 15:00〜9일(토) 11:00까지
  -장소 ; 광덕산환경교육센터(충남 천안시 광덕면 안심대길 50)
           http://www.natureschool.or.kr ☏041.572.2535

▢ 주제
   “2016 한국 환경교육 내다보기”

▢ 집담회 진행 방식
  -주제별 발표와 자유토론
  -이후 집담록 정리 및 공유

▢ 회비, 재정
  -운영비 ; 포럼 참가비(1인당 30,000원)와 교육센터 후원(숙박 등) 

▢ 프로그램

일시
내용
비고
1/8일(금) 15:00
집결
광덕산환경교육센터
 15:00〜15:20
접수 및 센터 소개

 15:30〜18:00
집담회
-내가 생각하는 한국 환경교육 진단과 제안-
각 10분 발언
 18:00〜20:00
저녁식사/뒷풀이
자연밥상
1/9일(토) 08:00
산책
광덕사
 09:00〜10;00
아침 밥

 10:00〜11:00
정리 및 소감 나누기

 11:00〜
해산


 
 &. 문의 ; 차수철(광덕산환경교육센터 사무국장)/
           csc@kfem.or.kr(010-3373-2535)


[대전광역시 환경교육종합계획] 장미정(사․환경교육센터 소장)


[대전광역시 환경교육 종합계획]

※ [제 2차 대전광역시 환경교육종합계획 연구(박재묵, 김종남, 장미정, 황선찬, 성이혁수, 이찬우, 2015.12)]에서 본 연구자가 작성한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였습니다.
1. 비전 : 인간과 자연이 함께 행복한 환경교육도시, 대전
2. 목표
1) 생태시민 양성
○ 자연과 미래세대를 배려할 줄 알며, 참여하고 실천하는 생태시민 양성
2) 모두를 위한 환경교육
○ 생명-생태-공감-정의-배려-책임의 가치를 아우르는 환경교육 실현
○ 사회적 약자(교육소외, 자연소외 등)를 아우르는 다양한 대상에 교육기회 제공
3. 추진전략

1) 환경교육 기반 구축
(1) 추진전략1. 민관협력체계와 관리체계 개선
(2) 추진전략2. 제도적 인프라 확대


<그림 3-1> 제 2차 대전광역시환경교육종합계획 비전도출 개요


2) 학교 환경교육 강화
(1) 추진전략3. 학교 환경교육 저변확대
(2) 추진전략4. 대전형 환경교육 모델 개발과 확산

3) 사회 환경교육 활성화
(1) 추진전략5. 환경교육의 일상화
(2) 추진전략6. 생애주기 맞춤형 환경교육 기회 확대
4. 추진체계도

<그림 3-2> 대전광역시 환경교육종합계획 추진체계도









[부산환경교육센터 활동 결과와 평가] 정호선(부산환경교육센터 사무국장)


[부산환경교육센터 활동 결과와 평가]


제 목
1-1) 초록키움나무 교재 및 교구 개발
1-2) 물교육 프로그램 체계화
사업
효과/
평가
○ 토의 수업을 통해 지역 환경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해결(실천)방안을 스스로 찾아내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주에 맞춘 카드게임 형식의 교구를 개발하여 참여도를 높임
○ 2013년부터 진행한 물 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10차시 수업으로 정리하고 차시에 따른 교육안, 시나리오, 교육자료(PPT), 활동지를 매뉴얼화 작업
2-1) 부산지역 시민환경교육을 위한 허브 역할 _ 시민환경교육지도자
 2-1-1) 북구 기후변화교육체험관 기후해설사 양성자 과정
 2-1-2) 부산진구청 물 보호 안내자 양성자 과정
 2-1-3) 영도구 해양생태지도자 양성자 과정
 2-1-4) 서구 송도해양생태 해설사 양성자 과정
 2-1-5) 부산진구청 친환경 생활을 위한 자원순환 양성자 과정

2-2) 부산지역 환경교육 허브 역할
 2-2-1) 부산환경교육 심포지엄 _ 학교-민간 연계
사업
효과/
평가
○ 부산시 4개 지역구에서 지역에 맞는 주제 별 양성자 과정 시행 및 시민모임 구성
○ 구청 소속 시민모임을 구성하고 향후 지역 내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치원, 초등학교 등에 환경교육 파견
○ 부산환경교육센터에서는 향후 해설사들의 활동을 모니터링 진행하고 보수교육 시행
○ 부산환경교육센터 주요 활동인 환경교육 허브로서의 역할로서 학교와 민간이 함께 2015년 환경교육 활동에 대해 교류 할 수 있는 심포지엄 개최
○ 부산 지역 환경교육과 관련 교류를 진행 할 수 있도록 2월에는 부산 환경교육 박람회(가), 12월에는 부산환경교육심포지엄을 개최하기로 결정
3-1) 지속적 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
 3-1-1) 2015 방과후 환경교실
 3-1-2) 2015 학교민간연계 지원 사업
 3-1-3) 4해4색 해양환경교육 지원 사업
 3-1-4) 부산환경교육센터 궁금이 기자단 네 번째 이야기

3-2) 지역주민 연계 교육 사업 운영
 3-2-1) 습지보호지역 주민 역량강화 사업
 3-2-2) 부산진구 호천마을 친환경 생활제 만들기 교육
 3-2-3) 기장군 자원봉사센터 “그린에코스쿨”사업
 3-2-4) 부산광역시 반딧불이 시민학교(가) _ 멘토 역량강화 워크숍
 3-2-5) 부산진구종합사회복지관 “우리 동네 에코맘” 프로그램

3-3) 학교 환경교육 운영
 3-3-1) 승학초등학교 환경교육 소풍
 3-3-2) 충렬고등학교 에코동아리 교육 지원

3-4) 기타 환경교육 지원
 3-4-1) 해양과학기술연구소 해양해설사양성과정 강의
 3-4-2) 환경교육기관잔체 운영실무자 역량강화 워크숍 강의
 3-4-3) 부산진구청 평생교육한마당 친환경 생활부스 운영
 3-4-4) 학장종합사회복지관 자연보호 동아리 교육 강의
 3-4-5) 순천의제21 시민환경교육지도자 역량강화 연수 진행
 3-4-6) 재송어린이도서관 가족이 함께하는 “물”이야기
 3-4-7) 중앙도서관 가족이 함께하는 “기후변화”이야기
 3-4-8) 개금종합사회복지관 청소년 환경교육
사업
효과/
평가
○ 10차시 이상의 교육에 있어 학교 전담강사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교육 효과를 높임
○ 초등학교 4학년 아동들을 3년간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환경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부산 지역이 가지고 있는 해양에 대한 특수성을 교육 프로그램에 접목하고 어촌계, 해녀, 상인회 등 지역 구성원들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자체에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모델 제시
○ 학교 구성원 전체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으로서 학생들만의 환경교육이 아닌 학교 전체 환경교육을 진행. 예로 학부모 교육을 통하여 녹색 학부모회 구성
○ 학교 교과과정에 맞춘 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많아지면서 환경문제 현안 내용이 교육 내용 속에서 줄어들어 사회환경교육 단체로서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발생. 물교육 내용 중 4대강 사업의 문제, 에너지 교육 중 원자력 발전소 문제 등 
○ 부산 전체지역의 환경교육에서 구별, 동별 환경교육으로 변화를 진행
○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환경과 관련하여 인식도 및 호감도를 높일 수 있는 생활과 근접한 교육 프로그램 진행.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생활제 만들기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진행
○ 마을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지역 환경 보전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생태 모니터링을 진행 할 수 있는 역량강화 사업 시행. 반딧불이 서식지 주민들의 지속적인 반딧불이 식생 모니터링, 출퇴근 거리의 식생 모니터링 등
4-1) 부산환경교육센터 환경교육강사단 운영관련 체계화
4-2) 회원대상 친환경 생활제 분기별 프로그램
4-3) 초록 독서모임 운영
사업
효과/
평가
○ 부산환경교육센터 사무국 내 총 3명의 환경교육 전문강사 팀 운영
○ 전문강사들에게 강사비의 일부분과 사무실 출근 수당 제공
○ 전문강사들은 사무국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진행 및 보완을 진행하고 교구 및 교재들에 대한 관리 역할 부여
○ 전문강사들은 사무국에서 준비한 교육안 및 교육시나리오를 통해 통일된 부산환경교육센터 환경교육프로그램 진행
○ 회원대상 프로그램은 회원이 부산환경교육센터 활동에 대한 이해와 참여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지만 회원 확대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 못함. 회원 확대에 대한 환경교육단체만의 모델을 발굴해야하는 필요성이 높음


[메모]












[(가칭)협동조합 환경교육연구소 설립] 차수철(협동조합 환경교육연구소 준비위원)


[(가칭)『협동조합 환경교육연구소』 설립 기획안]

□ 취지
  - 지역 내 우수 환경교육 인적 역량을 총화하고 활용하며
  - 시민의 성장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일상적 학습,연구,실천단위

□ 개요
  - 이  름 : (가칭)“협동조합 환경교육연구소”(We are one)
  - 성  격 : 협동조합 법인
  - 주소지 : 광덕산환경교육센터 내
            (우.31220)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안심대길 50
  - 사무실 : 사무실은 주소지에 두고 선임연구원 중 1인이 총무겸임
  - 로고(미정)

□ 설립의 기조
  - 지역 환경&환경교육 분야 연구를 위한 학습공동체
  - 지역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선제적 과제 연구와 적용

□ 조직 구성과 체계
  - 구  성 : 15명 내외의 조합원으로 구성
  - 체  계 : 조합원 총회와 이사회(대표와 수석연구원, 선임연구원)                로 구성. 용역 수행은 연구원을 중심으로 하되 조합원                도 참여 가능
  - 권  한 : 모든 조합원은 협동조합 원리에 따라 1인 1표 동등한                 권한을 가짐(등기이사는 연구원이 겸임)

□ 주요 사업
  - 환경&환경교육 분야 공부, 학술 활동, 도서 집필, 용역 사업
  - 지역 지속가능성과 환경교육 일상화를 위한 기타 사업

□ 운영 방향
  - 월례회 : 월 1회 정기 월례회(매월 2째주 일요일)
  - 임시회 : 사안에 따라 개최

□ 조합비 & 재정 운영 계획
  - 출자금은 이사진 50만원, 일반조합원 20만원으로 함(연납 가능)
  - 출자금은 유지비용으로 적립하고 별도 회비로 운영비 충당
  - 용역사업 등 수입에 대한 적립 등의 사용은 별도 규정으로 정함
  - 별도 지출 구조를 최소화 해 용역사업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 설립 일정(안)
  - 2015. 12월 말 조합원 모집 및 확정
  - 2016. 1월 초 연구소 정관안, 운영기획안, 등록서류 작성 및 회람
  - 2016. 1월 20일(수) 14:00(광덕산환경교육센터)3차준비위원회의
  - 2016. 2월 27일(토) 15:00(장소 미정) 연구소 창립총회, 발족식







[제12회 한국환경교육한마당 기획 검토]
김문옥(충남환경교육네트워크 사무국장)



Catch Phrase


환경교육으로 하나 되는 대한민국


❏ 행사 개요
   일정 : 2016년 8월 18일-20일(2박3일)
   장소 : 충남 홍성군 일원 (주 행사장 : 청운대학교)
   주관 : 충남환경교육센터, 푸른충남21실천협의회, 충남환경교육네트워크,              홍성의제21, 홍성생태학교 나무,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
   주최 : 충남환경교육네트워크, 국가환경교육센터,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
   후원 : 충청남도, 충청남도 교육청, 환경부
   참가 대상 : 약 3천여명
    - 국내외 환경교육 관련 기관·단체 200여개
    - 환경교육 종사자 500여명
    - 일반 시민 : 2천여명

❏ 주요 내용
   국제환경교육교구 박람회
   환경교육 전문 부스
   환경교육프로그램 공모전
   환경영화제, 전시전 등 환경교육 홍보전
   주민과 함께하는 환경교육 마당
   개막식, 연찬회, 폐막식 등 부대 행사
   환경교육 문화제
 


2016 한국환경교육한마당 구성(안)
 
❏ 방향성


기존


변화






 지역 자원을 적극 활용
   (여성단체, 마을자치조직 등)

 홍성읍 전체를 환경교육 부스로 구성
   (2일은 행사장, 1일은 홍성읍에서, 상징물, 벽화 등)

 청년과 문화와 환경교육
   (길거리 음악회, 공공미술, 플래시몹 등)

 한국환경교육 방향성 제시
   (정책제안, 선언문, 기조강연 등)

 지역에 도움이 되는 행사
   (지역화폐사용, 지역 상점 이용 등)

 누구나 배울 수 있는 부스
   (국제교구박람회, 초청부스, 일반부스)

 지역 모두가 함께 준비하는 한마당
   (지역언론,단체,관,주민 모두 함께 기획, 준비, 진행)

 모두의 환경교육 한마당
   (환경교육에 바란다(주민), 정부에 바란다(사회환경교육)등)
 환경교육의 씨를 뿌리다
   (해설가들이 지역에 봉사하고 이를 통해 환경교육 에너지를      남긴다)








환경교육인만의 한마당


국민 참여 확대









장소만 사용


장소(지역)와 함께









우리만의 울림


지역에 씨를 뿌리자









결과 공유 위주


환경교육 비전(방향) 제시









관행화된 부스


모두가 배우는 한마당














 
❏ 세부 내용
   준비(지역 내 준비)
    - 준비위원회 확대 : 지역 언론(홍성신문등), 관(도, 군, 교육청), 주민(홍         성군 단체) 참여
    - 모든 내용을 기록 : 준비회의부터 모든 과정을 기록(영상,사진,자료 등)
    - 환경교육 한마당 분위기 조성
      · 행사 전(3~4개월)부터 신문 특집 기사 등으로 충남과 한국의 환경교         육 자원 및 현황 소개 기사 게재
      · 도민, 군민, 공무원, 한마당 참가자들에게 한마당에 어떤 내용을 어떻         게 할 것인가 를 묻는다.

   한마당 내용 구성
    - 부스 구성 : 3가지로 구성
      · 국제환경교육교구 박람회 : 행사장 주변, 한마당 참가자 대상
      · (전문가) 초청 부스 : 행사장 주변, 한마당 참가자 대상
      · 일반 부스 : 홍성읍 전역, 주민과 참가자 대상
    - 행사 내용(1일차) : 주 행사장
      · 개회식
      · 기조강연 : 한국환경교육의 방향성 제시
          대회기간 중 참가자 합의를 통해 폐막식 때 한국환경교육 선언문             등의 형식을 통해 방향성 제시
      · 해설가 대회(사례발표)
      · 환경음악회(지역 자원 중심), 환경영화 상영 등
    - 행사 내용(2일차) : 주 행사장, 홍성읍 일원
      · 길거리 부스 : 홍성읍 전역에 부스 설치, 주민 대상
      · 해설가 대회(본선) / 청소년 동아리활동 사례 발표(교육청)
      · 참가자 퍼포먼스 : 홍성천에 환경교육 흥성 기원 솟대 세우기 등
      · 환경교육을 묻는다 : 참가자, 주민 의견 수렴
      · 길거리 환경교육문화제 : 플래시몹(대학생), 공공미술(벽화, 걸게그림 등)
      · 환경교육 처음부터 : 홍성읍 길거리 쓰레기 줍기(참가자 전원)
      · 지역과 함께 : 지역화폐 이용 지역 상점 이용(식사 등)
      · 만찬회(홍성군청 안회당 앞 잔디광장) : 바비큐 콘서트팀 활용
      · 초청 공연
      · 전국 교육용 이동차량 전원 집합 : 푸르미 이동차량, 에코롱롱, 등등           (환경)교육 관련 전국의 이동 차량 전체(약 50여대) 집합
    - 행사 내용(3일차) : 행사장, 홍성읍 전역
       · 폐막식 : 시상 및 한국환경교육선언
       · 지역 환경교육 자원 탐방 등

  기타 내용
    - 전체 일정을 한 편의 집체극으로 구성한다
    - 행사 안내문을 행사당일판 신문에 싣도록 해서 신문 자체를 행사 안내
    - 도지사나 교육감, 환경부장관등 초청 인사 : 인사만 하고 가는 게 아닌,         함께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자원봉사자로 활용 등
    - 충남네트워크 확대의 계기로 삼는다. 녹색농촌마을 등 환경교육활동을         하는 다양한 영역 적극 참여 유도.
    - 행사 전, 후 공무원 주민 인식 변화 조사
    - 청년을 환경교육의 공간으로 끌어 들일 수 있는 행사를 만든다
    - 홍성군 차원의 환경교육조례 제정 등, 지역 내에 환경교육이 뿌리 내리         고 확산할 수 있는 제도적, 문화적 결과를 남긴다.
    - 적정기술 부스
    - 자전거 무상 수리(고장난 자전거 수리해서 행사 때 타고 행사 후에 기         증)등 주민생활과 환경교육이 결합되는 접점들을 찾아 적극 활용

  





[2016 한국 환경교육을 위한 단상] 김택천(KEEN 상임공동대표)


[2016 한국 환경교육을 위한 단상]


  ▧ 환경운동과 환경교육의 적극적 결합이 필요한 시대
  ▧ 일반 시민이 환경운동의 이슈파이팅에 동조하거나 참여하기가 쉽       지 않기에 어린이 참여 프로그램 등 시민 접근성이 높은 환경교       육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


  ▧ 시민환경교육의 현실 적용 전략을 위한 구체성이 요구됨
  ▧ 도시조경을 실시할 경우 환경적 배려를 어떻게 할 것인가?
  ▧ 도시계획의 위원 선정과 계획의 시작 단계에서 환경적 배려는 도       시 교통에서의 환경적 반영은 어떻게 할것인가? 녹색건물이란 조       례화와 전통과 환경의 조화는 어떻게...
  ▧ 지방자치  즉 행정자치 교육자치 치안자치 녹색자치를 준비하는       시점에 지역 색깔있는 녹색도시전략 시민교육화, 시민참여를 위       한 녹색시민도시대학을 통한 우리 고장 녹색 고장 만들기에 시민       참여를 제도화
  

  ▧ 파리 기후 협정 체결 후 국내와 지역에서의 역할들을 홍보와 교       육 접근을 통한 시민 실천화
  ▧ 지역의 목표 설정 필요성 교육,, 5개년 계획속에서 시민 인식 증       진과 지자체의 역할중에서 행정의 교육적 접근을 준비하며 지역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실천화 사업 교육 의회의       지방제도화를 전제로 시민사회,전문가,행정들 기후변화 거버넌스       의 구성시 교육의 중요도 반영


  ▧ 시민환경교육을 넘어 민주시민교육의 확산을 위한 보폭을 넗혀        나갈 필요성이 요구됨. 법제화를 통한 재정적 지원, 교사 지원,        인프라 확산 전략 등으로 접근


[기업과 환경교육의 만남]
최병조(KEEN 사무처장)


[기업과 환경교육은 만나야 한다]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은 주로 학교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환경교육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사회환경교육 역시 사회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못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모든 연령층과 모두를 대상으로 폭넓은 환경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환경교육의 영역이 평생교육의 영역으로 기업, 노인, 농촌을 적극적인 환경교육의 대상으로 확장시켜야 한다.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환경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지만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업은 매우 적다. 기업의 환경교육은 기업의 사회공헌과 기업의 직원은 대상으로 하는 교육으로 나누어지고, 직원을 대상을 하는 환경교육의 직원의 역량증진과 삶의 질을 높이는 교양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은 결과적으로 기업의 근무환경과 기업의 생산 활동에서 환경부하를 줄이는 노력으로 이어 질수 있고 이러한 노력을 결과적으로 사회의 공헌과 기업책임을 실현하는 것이다.

1.  사회환경교육의 주요활동 분야
  이소영(2002)이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 중국, 일본의 삼국에서 교류차원에서 조사된 “환경교육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을 분석한 것에 의하면 한국 36개 단체의 주요활동분야는 환경운동차원으로 활동하는 단체가 30.6%를 차지하고 자연보존을 활동하는 단체가 22.2%라고 하였고 환경교육만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는 16.7%라고 했다. 당시에 주어진 단체 36개로 한정하였기에 전체를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환경운동, 자연보존, 환경교육만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비중이 70%정도라는 데는 의미를 둘 수가 있을 것이다. 환경교육이 목적하는 바가 환경문제의 해결 또는 환경소양인의 양성이라고 할 때 이러한 결과는 본래의 목적에 맞게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정의 차원의 환경교육을 하는 단체가 없는 것으로 표현하였는데 이는 사회정의 차원의 활동을 하는 단체에 대한 조사가 36개 단체에 포함되지 않았거나 환경운동차원의 활동에 포함되어 있는데 따로 분리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환경교육단체 총람(2011)을 분석하면 또 다른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된다. 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전국교사모임이 ‘자연이 가장 좋은 교실이다’는 주제로 진행한 ‘새만금 바닷길 걷기’(2003)나, 사람과 두꺼비의 공존을 위한 도전이라 주제로 활동하는 “원흥이 생명평화회의”의 ‘두꺼비친구들’, 환경갈등을 넘어 생명과 평화의 마을공동체로주제로 활동하는 부안지역의 ‘생명평화마중물’과 ‘부안시민발전소’는 자연보존의 분야보다는 사회정의적 차원에서 환경교육을 접근한 것이 크다고 보아야 하며, 종교와 환경, 여성과 환경 역시 사회정의적 접근이 필요한 분야이어서 사회정의적 활동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표1> 사회환경교육단체의 활동 분야
활동
분야
자연
보존
사회
정의
연구및 정보
제공
환경
교육
기금
지원
환경
운동
종교와
 환경
여성과
 환경
백분률
22.2
0
8.3
16.7
2.8
30.6
13.8
5.6
* 2002년 한국 일본 중국 사회환경교육 단체 비교 연구


  사회환경교육의 목표는 환경문제의 해결보다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정보제공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기회로 작용해야 한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환경교육 그리고 우리 모두를 위한 환경교육으로 적극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2. 교육대상
  사회환경교육의 대상은 주로 자기 단체의 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외부 강의를 중심으로 하는 형태인 환경부 홍보단의 경우 약 70%가 유아(5.2%), 초등학교(41.7%), 청소년(22.7%)에 집중되어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군인(23.8%)을 제외하면 성인을 위한 교육은 6.2%로 전체 교육의 10%를 넘지 않고 있다. 이는 환경부의 환경교육인증 프로그램의 대상자에서도 성인은 10%를 간신히 넘고 있다. 이는 사회환경교육 대상인 농민, 기업의 노동자들에 대한 교육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일부 기업에서 진행되고 있는 환경교육은 교양수준의 강좌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어 환경이 우리의 삶에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에 공감을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
<표2> 사회환경교육의 프로그램 대상
구분
이소연(2002)
환경부(인증)
환경부(홍보단)
횟수
백분율
개수
백분률
횟수
백분률

유아


46
9
314
5.2
초등학생
어린이
23
13.6
220
43
2,503
41.7
청소년
청소년
28
16.6
192
37.6
1,375
22.7
대학생
6
3.6
성인
군인


53
10.4
1,443
23.8
회원
11
6.5
378
6.2
가족
11
6.5
관련종사자
5
2.9
교사와 교수
13
7.7
시민
18
10.7
모두
35
20.7
주부
14
8.3
노인

0

0

22
0.4
합계
164

511
100
6,035
100
* 이소영은 2002년 한국 일본 중국 사회환경교육 단체 비교 연구
* 환경부(인증)의 환경교육프로그램 인증제 환경교육포탈에서 가져옴
* 환경부(홍보단)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환경부 홍보단이 진행한 프로그램 수


  환경교육 한마당에서 이재영(2012)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주요 대상의 교육대상은 대부분 영, 유아와 청소년을 대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한 것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3> 교육 주관기관에 따른 교육대상 현황
교육대상
단체
시설
지자체
기업
① 영, 유아  
10(25%)
7(41.2%)
6(26.1%)
6(75%)
② 초등학생
35(87.5%)
10(58.8%)
19(82.6%)
③ 중,고등학생
28(70%)
7(41.2%)
11(47.8%)
④ 대학생
9(22.5%)
7(41.2%)
0(0%)
0(0%)
⑤ 일반인  
25(62.5%)
9(52.4%)
11(47.8%)
2(25%)
⑥ 교사
13(32.5%)
3(17.65%)
0(0%)
가. -
⑦ 공무원
7(17.5%)
6(35.3%)
3(13%)
나. -
⑧ 가족
14(35%)
5(29.4%)
2(8.7%)
2(25%)
- ⑨ 장애인
-
다. -
-
1(12.5%)
- ⑩ 소년소녀가장 등
-
라. -
-
0(0%)
- ⑪ 사회 저소득층
-
마. -
-
0(0%)
자료 : 2012년 환경교육 한마당 자료집 (이재영)


3. 기업의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
 기업과 관련된 환경교육중 기업이 사회에 기부금을 제공하거나 기업이 운영하는 환경교육이 있다. 그러나 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은 찾기가 어려웠다. 기업과 관련된 환경교육의 논문을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검색하였더니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중에 기업의 구성원에 대한 환경교육은 매우 적었다.

기업의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문헌
최종민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환경정보 공시에 대한 영향요인들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김형덕
기업특성에 따른 환경규제 위반과 환경회계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013
김이성
환경경영과 환경교육을 위한 기업환경교육의 의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김이성
일본의 기업 환경교육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韓國環境敎育學會
2010
김이성
기업 환경교육의 가능성
한국환경교육학회
2009
이용환
환경관련지표와 기업 이익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교육학회
2009
박혜경
지속가능성보고서 분석을 통한  기업의 환경교육 현황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07
남상민
환경교육에 관한 일본기업의 동향
韓國環境敎育學會
2006
김광태
기업과 환경경영 교육
한국환경교육학회
1994
곽일천
기업환경주의와 환경교육의 역할
한국환경교육학회
1994
※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검색 정리


  곽일천은 1994년에 ‘기업환경주의와 환경교육의 역할’에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기업의 변화를 유도해내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기업의 환경주의는 마케팅차원에서 그치지 말고 기업이 체질화한 장기적 안목으로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손익산출의 자세가 요구하였다. 그러나 기업의 환경보호를 위한 부담이 기업의 수익성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환경비용이 효용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사업에는 관계를 보이지 않으나 제조업에서는 유의함을 보였다(2009, 이용환). 이는 환경비용이 기업의 직접적인 이익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하고 환경에 대한 투자를 늘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고 기업이 환경경영에 대해서는 선언적인 언어들은 내놓고 있지만 지속가능한 기업의 경영을 위한 노력과 실천은 요구되고 있으나 환경문제해결을 기업의 경쟁력을 접근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김광태(1994)는 보고이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는 환경회계 도입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기업은 도입이 늦어지고 있다는 보고이다.
그렇지만 남상민(2006)과 김이성(2010)은 일본이 사례를 연구하고 기업환경교육의 가능성과 환경경영과 환경교육의미를 부각시키고 있다. 김이성c(2009)은 기업과 NGO가 서로 이질성의 문제가 있지만 서로의 장점과 전문성을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다고 하였다. 그 내용으로 기업은 환경교육을 통해서 “사원교육”과 “사회공헌”을 NGO는 “시민교육”과“자연복원 ”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기업은 더불어 ‘광고효과’, ‘NGO의 역량인식’, ‘기업간의 커뮤니케이션’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2009,김이성). 이어서 김이성은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 제시한 기업환경교육의 의의는 “첫째 기업이 직면한 과제인 환경 문제에의 대응과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환경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한다. 셋째 이질적인 성격을 가진 NGO와 기업이 ‘긍정적인동상이몽’의 관계를 맺을 수 있다.”으로 기업환경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김이성a(2011)은 기업의 환경교육을 위한 잠재력을 ‘기본요소’, ‘전문요소’,‘네트워크요소’로 범주화하면서 환경교육이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어한다고 했다.

- NGO등의 교류를 통한 환경단체와 기업의 상호이해‘긍정적인 동상이몽의 관계’
- 기업의 생산 환경의 개선을 통한 노동조건의 향상과 환경부하 감소‘직접적인 기업의 환경문제 해결’
- 직원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사회공헌과 환경교육의 발전에 기여

  환경교육의 목적은 환경문제 해결에서 인류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발전으로 확장이 되고 있다. 이제는 어떠한 요소가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제시하며 기업의 구성원대한 환경교육에 적극적으로 프로그램 제시하는 접근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곽일천, 1994 <기업환경주의와 환경교육의 역할> 한국환경교육학회
김광태, 1994 <기업과 환경경영 교육> 한국환경교육학회
김형덕, 2013 <기업특성에 따른 환경규제 위반과 환경회계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김이성a, 2011 <환경경영과환경교육을위한기업환경교육의의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김이성b, 2010 <일본의 기업 환경교육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韓國環境敎育學會
김이성c, 2009 <기업 환경교육의 가능성> 한국환경교육학회
남상민, 2006 <환경교육에 관한 일본기업의 동향> 韓國環境敎育學會
박혜경, 2007 <지속가능성보고서분석을 통한  기업의 환경교육 현황>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이용환, 2009 <환경관련지표와 기업 이익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교육학회
이소영, 2002  <한국 일본 중국 사회환경교육 현화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재영, 2011 <환경교육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회> 2011환경교육한마당 자료집
정진승, 1993 <한국의 환경보전을 위한 사회환경교육> 환경보전
최종민, 2014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환경정보 공시에 대한 영향요인들> 한국경영교육학회
환경부, 2011 <환경교육기관·단체 총람> 환경부/환경보전협회
허정림, 2000 <시민단체와 공공기관의 사회환경교육 비교 연구 : 사회환경교육정책과 담당자의 환경인식과 태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생태계서비스로서 생태교육 개발]
이재영(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생태계서비스로서 생태교육의 유형 분류 및 평가 방법 개발]


1. 제목
  생태계서비스로서 생태교육의 유형 분류 및 평가 방법 개발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표는 생태계서비스의 관점에서 생태교육의 유형을 분류하고 생태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 문화 서비스, 교육 서비스에 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서비스의 특성과 성격을 규정하였다. 생태교육, 자연체험, 생태(환경)교육을 비교하고 세 차례의 자문회의를 거쳐 형식교육, 비형식교육, 무형식교육 영역에서 생태교육의 현황과 생태계서비스로서 교육적 가치의 의미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이론, 기존의 환경교육 이론, 생태계서비스 이론, 내발적 발전론, 자연체험 이론을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태교육의 여섯 가지 유형을 제시하고 서천지역에 적용,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태교육 유형분류표를 네 가지 환경교육 데이터베이스(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환경부의 체험환경교육 지원 사업, 환경교육 시범학교, 환경교육 한마당 발표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총 580 여개의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차후 생태계서비스로서 교육서비스의 가치를 평가하고 현실화하기 위한 연구와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4. 연구결과

가. 생태교육의 유형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두 가지 유형(인공생태계, 자연생태계)과 자연체험의 세 가지 유형(직접적, 간접적, 체험 없음)을 조합하여 총 여섯 가지의 생태교육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런 분류는 본 연구에서 처음 제안하는 것이며, 앞으로 생태계서비스의 관점에서 생태교육의 유형을 분류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분
자연체험의 유형
직접적 자연체험
(자연생태계)
간접적 자연체험
(인공생태계)
상징적  자연체험
(생태계 없음)
생태지식의
유형
보편적
과학지식
A
B
C
전통적
생태지식
D
E
F

<표 1> 생태교육의 유형

나. 생태교육의 네 가지 목표 영역
  본 연구에서는 생태교육의 목표를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구분
생태교육 목표의 대상
개인
사회
가치의 범위
환경생태
a
b
지속가능성
c
d

<표 2> 생태교육의 목표 영역

  개인적-생태 목표(환경소양)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여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환경소양(environmental literacy)에는 인식, 지식, 태도, 기능, 참여가 전통적으로 포함된다.
  사회적-생태 목표는 교육이 효과적이었다면 환경문제의 해결이나 조건의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며, 환경 조건이나 상태는 상대적으로 객관적이고 계량적으로 측정하기가 용이하다.
  개인적-지속가능성 목표는 자연체험과 생태교육이 환경소양 이외에 다양한 편익을 얻을 수 있음을 강조하며, 지속가능하고 좋은 삶을 설계하고 실현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의지의 변화를 추구함
  사회적-지속가능성 목표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유지하는데 관심이 있어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며, 마을과 지역에 대한 통합적 이해, 지속가능성 장벽 발견, 문제해결 실천을 강조한다.

다. 우리나라 생태교육 현황 요약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전체 약 2천개의 데이터 중에서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갖고 있는 최근 5년간 환경생태교육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지원하거나 축적한 네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환경부의 체험환경교육지원사업(134개), 환경보전시범학교지원사업(124개), 환경교육프로그램인증제(157개),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의 환경교육한마당 프로그램 발표 사례(171개)이다. 분석한 프로그램은 총 586개이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태교육의 유형 측면에서 형식교육(339개)이 가장 많았으나,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이 연계된 경우가 상당히 많아서 기존의 학교 안팎 경계를 가로지르는 형태의 교육이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개인들의 환경소양 향상에 초점을 맞춘 개인-생태적 목표가 400개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사회-지속가능성 목표를 가진 프로그램이 67개로 나타났으나 환경소양 목표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었고, 개인-지속가능성 목표( 44개), 사회-생태적 목표(41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대상 중에서는 초등학생(348개)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성인(269개), 중학생(222개), 유치원생(212개)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아동과 성인이 함께 참여하는 가족형 프로그램이 많았다. 이는 현재 생태교육의 대상이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프로그램의 유형으로는 일회성(236개) 프로그램에 비해 연속성(358개) 프로그램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단기형(430개)이 숙박-체류형(104개)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무료 프로그램(417개)이 주를 이루었다. 생태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도 과거에 비해 연속적인 프로그램이 늘어난 것은 바람직한 현상으로 볼 수 있지만, 생태적으로 뛰어난 지역에서 체류형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어 개선의 필요성을 지적할 수 있다.
본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높은 생태계의 유형을 보면 숲이나 강 등 자연생태계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이 578개로, 공원이나 논밭 등 인공생태계에서 진행된 프로그램(363개)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시작된 자연체험형 환경생태교육의 활성화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상징적이고 언어적인 자연체험이 일어나는 학교 교실 등 기타 공간 프로그램은 128개로 나타났다.
자연생태계 중에서는 숲(215개)로 습지(148개)나 강(123개)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호수(38개), 바다(33개)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물과 관련된 활동이 다른 생태계의 활동에 비해 위험하다는 인식이 퍼져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인공생태계 중에서는 논밭(173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학교와 마을에서 텃밭을 가꾸고 이를 환경교육에 활용하는 최근의 동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공원(97개)이 높게 나타났다. 
생태교육의 주제는 생물(266개), 토양(181개), 에너지(155개), 물(133개)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후변화(96개)와 공기(96개)가 뒤를 이었다. 본 조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정보의 양이나 상세한 정도로는 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지식이 보편적 과학지식인지 전통적 생태지식를 분명하게 구분할 수 없었다.
활동방법에서는 체험활동(391개)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뒤를 이어 강의(174개), 실험실습(149개), 놀이(144개), 조사탐구(139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아이들과 생물을 주제로 하는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던 것과 연결된다.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87개)이 많이 나타났으나 이는 지도자의  많은 경우에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지 않았거나, 측정하였더라도 질문지(68개)나 간단한 면담(47개)를 통해 만족도 등을 묻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라. 생태교육의 가치 평가 방법
  생태계교육의 네 가지 목표 영역 안에서 하위에 세부목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전통적으로 환경교육에서도 유사한 분류를 적용해 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네 가지 목표 영역과 그 세부 목표 영역에 따라 그 효과 또는 목표 달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요약하면 아래 표와 같다.
  생태교육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형식교육, 비형식교육, 무형식교육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에 대해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계량적인 평가를 적용해 보았으며, 하나 또는 소수의 지표를 이용하여 생태교육의 가치를 정량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어떤 방법이 바람직하거나 적합하다고 판단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확보할 수 없었다.

5. 연구 결과의 활용 및 제언
  생태계서비스로서 교육서비스의 유형을 분류하고 효과를 평가하고 현실화하기 위한 연구 정책과제로 다음과 같이 세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제안된 생태교육의 네 가지 목표에 따라 효과적인 측정과 평가를 위한 최적의 지표를 선정하고 가치를 계량화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경제학, 생태학, 생태교육학의 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제안된 생태교육 유형분류 및 평가틀을 대도시지역, 중소도시지역, 농어산촌지역, 생태계보전지역 등에 시범적용하고 타당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생태계서비스의 현실화라는 측면에서 생태교육의 발전은 지역의 생물문화다양성의 보전과 전통적 생태지식의 발굴, 자료화 정도에 달려있으므로 전통지식 발굴, 디비화, 실용화 연구와 연계하여 추진될 필요가 있다.


목표 영역
세부 영역
측정방법
개인-생태적
목표
윤리, 가치
1) 검사지
2) 심층면담
인식, 태도
1) 자기보고형 질문지
2) Q검사
지식
1) 검사지(test): 일종의 시험
2) 논술형
기능
1) 검사지(사회적, 인지적 기능)
2) 수행평가(심체적, 도구적 기능)
행동
1) 직접 관찰
2) 행동일지의 작성
3) 자기보고형 질문지
사회-생태적
목포
직접 모니터링
1) 목표 환경 조건 직접 측정
사회적 의견 조사
1) 환경 변화에 대한 지각 조사
개인-지속가능성
목표
신체(생리)적 건강
1) 직접 측정(생리적 변화)
2) 검사(운동능력의 변화)
심리적 안정
1) 검사지
2) 면담(개인, 집단)과 일지
3) 창작, 표현 활동
인지적 능력의 능력
1) 검사지(표준화된 검사지를 사용)
2) 모니터링(결과 평가)
행동적 변화
1) 특정 행동의 빈도 모니터링
종합적 평가
(지표, 지수)
1) 삶의 질 지수
2) 역량 지표(양적)
3) 역량 지표(질적)
사회-지속가능성
목표
종합적 평가
(지표, 지수)
1) 지속가능성 지표(기관, 마을, 지역 등)
2) 집단의 삶의 질 지수


<표 3> 생태교육의 가치 평가 방법






별첨 1

광덕산환경교육포럼 주제발표
(2016, 한국 환경교육 내다보기)
발표자
000(소속)
발표 내용 : (제목 또는 주제)
-현재 환경교육 관련 동향, 정책, 관심사, 나누고 싶은 이야기, 제안, 인용 글, 관련 정보 기타 등등...(분량 1매 내외 제한 없음)
-

-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