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개혁, 한은총재 ‘리디노미네이션’ 필요성 강조
[TV리포트=김명석 기자]
한국은행 총재가 화폐개혁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이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화폐개혁, 리디노미네이션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한은 국정감사에서 류성걸 새누리당 의원은
“우리 경제 규모에 비해 환율의 숫자가 크다. 올해 제일 큰 이슈는 화폐개혁”이라고 말했다.
화폐개혁이란 화폐의 단위를 하향조정하는 것으로
1000원을 10원이나 1원으로 하향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박명재 새누리당 의원도 “화폐개혁을 적기에 추진하면 경기회복과 지하경제
양성화를 잡을 수 있다”며 리디노미네이션의 추진을 제안했다.
이주열 총재는 “한국은행에서도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중앙은행의 독자적인 판단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답했다.
한편 화폐개혁은 구화폐의 유통을 정지시키고 단기간에 신화폐로 강제교환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인위적으로 화폐의 가치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폐개혁의 방식으로는
구권을 신권으로 교환하거나, 고액권을 발행하거나, 통용가치를 절하하고 유통화폐의
액면가치를 법으로 정한 비율에 따라 절하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특히 통용가치절하의 방식을 디노미네이션이라 하며 우리나라에서
이런 의미를 갖는 화폐개혁은 1905년, 1950년, 1953년, 1962년 4차례에 걸쳐 실시됐다.
디노미네이션과 비슷한 말인
1,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의 액면 표시 방법은 그대로 두고 액면단위만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2, 디노메이션은 우리나라에서 1950년대에 실시된 화폐개혁으로 화페가치 절하와 함께 액면표시
방법도 환에서 원, 원에서 환으로 변경된 것을 의미하지만,
3, 히디노미네이션은 액면표시 방법은 그대로 유지하며 화폐가치만 절하하는 것을 의미한다.
김명석 기자 kms0228@tvreport.co.kr / 사진=화폐개형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화폐개혁 필요성 공감한다…사회적 공감대 필요”
동아일보
화폐개혁. 사진=동아DB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화폐개혁 필요성 공감한다…사회적 공감대 필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리디미노네이션(re-denomination 화폐개혁)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을 표했다.
17일 이 총재는 서울 남대문로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화폐개혁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이날 첫 질의자로 나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류성걸 의원(새누리당)이
“우리나라 화폐단위가 조 다음 경, 경 다음 해라고 하는데 법적 근거가 어디에도 없다”고 운을 뗐다.
류 의원은 그러면서 “이미 시중 메뉴판에 5000원은 5.0으로 쓴다”며
“경제규모에 비해 달러 대비 환율 숫자가 크다는 지적이 있다”며 화폐개혁의 필요성에 대해 물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그런 필요성에 따라 논의가 제기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에 공감한다”고 답변했다.
다만 이 총재는 “기대효과도 있지만 부작용도 있는 게 사실”이라며 “10여 년 전에 검토한 바 있지만 독자적으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고 그러한 노력이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화폐개혁. 사진=동아DB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화폐개혁, 벌써 바꿀 때가 온 건가... 이주열 한은 총재 '필요성 공감'
[일간스포츠] 입력 2015.09.17 15:50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키우기 글자크기 줄이기
사진 중앙포토DB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7일 화폐개혁(리디노미네이션)을 요구하는 일각의 주장과 관련,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본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우리 경제의 규모에 비해 환율 숫자의 크기가 크다는 논의가 있다'는 새누리당 류성걸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밝혔다.
류 의원은 "우리나라 화폐 단위가 조 단위 다음에는 경, 경 다음에 해라고 하는데 법적 근거가 없다"며 "우리나라처럼 숫자를 4자리로 환율을 쓰는 나라가 있느냐, 리디노미네이션을 검토해야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같은당 박명재 의원도 "화폐 단위가 커져서 '0'을 붙이는게 불편해지면서 민간 분야에서 자연스럽게 리디노미네이션이 확산되고 있다"며 "거래의 편의성 증대, 원화의 대외위상 제고 등 리디노미네이션의 필요성과 긍정적인 기능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 총재는 "우리나라의 화폐개혁은 1962년이 가장 최근"이라며 "최근 (리디노미네이션의) 필요성에 따라 논의가 제기된 것으로 알고 있다.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폐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