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도시란 무엇인가 -- 이창우

2015. 1. 30. 19:35환경과 기후변화/생태도시

 

 

생태도시란 무엇인가

이창우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1. 서론

1.1 그간 우리나라에서 생태도시와 관련한 많은 문헌들이 나왔다.1) 생태적인 도시계획, 생태도시 조성, 생태자치구, 생태지향적 공간 등의 용어들을 여러 저자들이 사용하고 있으나 진작 생태도시에 대한 개념 정의는 내려져 있지 않다.


1.2 외국 문헌도 예외가 아니어서, 생태도시 또는 녹색도시 관련 많은 문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명하게 개념 정의를 내린 경우는 거의 없다.


1.3 현대도시를 “자연과 인위적으로 멀어지게 계획된 공간”으로 정의한다면, 현대 도시계획가는 생물적 요소, 자연적 요소를 도시공간에서 추방하면서 오직 인간만을 모든 사고의 잣대로 삼았다. 그러나 생태도시는 도시공간을 “자연과 인위적으로 가까워지게 계획”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꾀한다.


1.4 그런데 생태도시와 함께 녹색도시, 환경도시, 환경공생도시, 환경친화적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 에코시티 또는 에코폴리스 등의 용어들이 혼용되면서 개념적 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1.5 이 강의에서 생태도시 개념을 정립하고, 생태도시 사업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생태도시 개념

2.1 루이스 멈포드는 도시의 진화 단계를 자연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한 바 있다.

- 제1단계: 인근 배후지의 자원에 종속되는, 바빌론과 같은 고대도시

- 제2단계: 음식, 물, 에너지 기타 자원을 광범위한 외부지역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로마와 같은 제국 도시

- 제3단계: 유럽이나 북미에서 보는 것과 같은, 후기 산업사회의 광역도시권

- 위와 같이 3단계를 거치면서, 도시주민과 자연과의 관계는 점점 멀어지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완전하게 독립하고자 노력해왔다.


2.2 현대도시의 문제상황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 종합과 대규모에의 무조건적인 신뢰, 소비중심사회, 기업의 주도권, 인간의 자연으로부터의 소외 등이 그러한 문제다. 이러한 문제상황을 극복하는 차원에서 생태도시 논의가 필요하다.


2.3 1975년 리차드 레지스터(Richard Register)가 몇몇 동료와 함께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Urban Ecology라는, 자연과 조화로운 도시를 재건하기 위한 비영리단체를 만들었다. 이후 이 단체는 버클리 시에서 “느린 거리”를 만들고, 80년전에 복개된 하천을 복원하고, 거리에 유실수를 심으며, 태양열 온실을 만들고, 에너지 조례를 제정하고, 버스전용차로제를 도입하고, 자동차 대신 자전거와 보행자전용도로의 보급을 확대하며, 생태도시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생태도시 만들기 운동을 펼쳐왔다.


2.4 레지스터가 1987년 「Eco-city Berkeley」를 출간하면서 Urban Ecology는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1990년 버클리에서 제1회 국제 생태도시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 세계에서 700명 이상이 모여 도시문제를 논의하고 기존 도시를 생태적 원리에 따라 재구축하는 여러 제안이 있었다. 1992년 호주 아델레이드에서 제2차 회의, 1996년 세네갈의 요프에서 제3차 회의가 열렸다.


2.5 호주의 공동체운동가 데이비드 잉위히트(David Engwicht)는 1992년 「생태도시를 향하여(Towards and Eco-City)」를 출간하였고, 1년 뒤 북미에서 「우리 도시 되찾기(Reclaiming Our Cities and Towns)」라는 제목으로 재출간했다. 엥위히트에 의하면, “도시는 교환을 최대화하고 교통을 최소화하는 이노베이션이다.” 이 때 교환의 대상은 제품, 화폐, 아이디어, 감정, 유전물질 등을 포괄한다. 그는 사람들이 도보, 자전거, 대중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면서 교통혼잡과 대기오염에 대한 우려 없이 자유롭게 서로 접촉하는 그런 생태도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6 생태적으로 건강한 도시(ecologically healthy city)인 생태도시는 다음의 10가지의 원칙에 의해 만들어지는 도시다.

- 토지이용의 우선순위를 바꾸어, 고밀도의, 다양하고, 푸르며, 안전하고, 즐거우며, 활발하고, 그리고 토지이용이 복합적인 공동체를 대중교통의 결절점 부근에 만든다

- 교통의 우선순위를 바꾸어 자동차 대신 도보, 자전거 등을 선호하게 만들며 접근성(access by proximity)을 강조한다.

- 소하천, 해안선, 산 능선, 습지 등 파괴된 도시환경을 복원한다.

- 값싸고 안전하고 편리하며 인종과 계층이 혼합된 주거단지를 만든다.

- 사회정의를 세우고 여성, 유색인종, 장애인의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한다.

- 지역 농업, 도시 녹화사업 및 도시텃밭 조성을 지원한다.

- 환경오염과 유해폐기물 발생을 저감하면서 재활용, 혁신적인 적정기술, 자원절약 등을 증진한다.

- 기업과 협력하여 오염 및 폐기물 발생과 유해물질 사용을 억제하는, 생태적으로 건전한 경제활동을 벌인다.

- 자발적으로 단순한 삶을 살면서 과도한 소비를 억제한다.

-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일반시민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환경운동 및 교육활동을 통해 지방 환경과 생물지역(bioregion)에 대한 인식을 제고한다.


2.7 레지스터는 생태도시 만들기의 원칙을 다시 다음의 5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 살아있는 시스템이 그러하듯 도시를 만든다. 즉 유기적인 도시(organic city)가 되어야 한다.

- 도시기능이 진화의 패턴에 적합하도록 만든다. 도시가 지속가능해야 할 뿐 아니라 도시 속에서 창조성과 열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 건축가가 건물을 세우듯 기초부터 차근차근 만들어간다. 전체 도시의 건강성에 기여하는 토지이용 패턴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 기존의 교통 계층(transportation hierarchy)을 역전시킨다. 즉 도보, 자전거, 철도, 버스, 자동차의 순서가 되어야 한다.

- 토양을 보전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킨다.


2.8 레지스터, 잉위히트, Urban Ecology에 의해 발전되어온 생태도시 개념은 지난 20여년간 다른 유사 개념 및 활동들과 결합하면서 점점 진화해가고 있다. 그러한 운동들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WHO의 건강한 공동체 또는 건강도시 프로젝트

- 슈마허의 중간기술 또는 적정기술

- 지역사회 경제발전(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CED)

- 사회생태학

- 환경운동

- 생물지역주의(Bioregionalism)

- 북미 인디언 등 원주민의 세계관

- 지속가능한 발전


2.9 “생태도시”는 환경활동가의 용어이다.


<표 1> 생태도시 관련 용어의 사용 범주

설계자 그룹(건축가, 도시계획가, 컨설턴트 등)

실무전문가 그룹(정치가, 공무원, 도시계획가, 교수 등)

전망가 그룹(농업인, 경제학자, 건축가, 계획이론가 등)

활동가 그룹(작가, 공동체활동가, 사회생태주의자, 환경운동가 등)

- 도시확산의 비용

- 설계를 통한 지속가능성 추구

-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 지속가능한 도시

- 지방의 지속가능성(지방의제 21)

- 지속가능한 공동체

- 공동체의 자급성

- 녹색도시

- 생태도시

- 생태공동체

 

출처: Mark Roseland, "The Eco-City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Urban Areas", in Dimitri Devuyst ed., How Green is the Ci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p93.


2.10 생태도시는 다음과 같이도 이해할 수 있다.


<표 2> 생태도시의 유형 분류

생태도시 유형

정의

주도적 학문

주요 과제

주요사업 및 활동

생물다양성

생태도시(A)

: A

생물다양성을 증진하는 생태도시

식물학, 동물학, 생태학

서식지 보호, 인간과 자연 공존

에코 브릿지, 비오톱, 스텝핑 스톤, 옥상녹화, 동물보호

자연순환성

생태도시(B)

: A+B

자연순환체계를 확립하는 생태도시

조경학, 도시계획학, 건축학, 환경공학

물질대사, 물순환, 에너지 순환, 교통체계 개편, 환경오염 저감

자연형 하천, 투수성 포장, 중수도, 재생가능에너지, 솔라 시티, 도시농업, 그린빌딩, 자전거도로

지속가능성

생태도시(C)

: A+B+C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생태도시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철학

생산소비패턴 변화, 지속가능성 지표, 환경의식 제고, 환경정책 선진화

녹색소비운동, 지방행동 21, 환경교육, 환경거버넌스, 생태마을, 성주류화, 환경분쟁 저감

 



2.11 또한 생태도시는 “생태도시 개발에 관한 심천 선언”, “요하네스버그 생태도시 전략”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를 통칭하기도 한다. 이렇게 볼 때, 생태도시는 완벽하게 정리된 개념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요소들이 모여 계속 진화해가고 있는 개념이다.


2.12 생태도시란 “생태적으로 건강한 도시”를 말한다. 생태도시는 “생태원리에 기초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도시”다.


3. 사업방향 제언

3.1 ‘야생동물이 찾아오는 풀빛마을 만들기 사업’에 있어 야생동물은 도시 속에서 분리된 인간과 자연을 다시 결속시켜주는 연결끈 또는 “펌프의 마중물” 역할을 한다. 생태도시 개념을 잘 살릴 수 있는, 앞으로 발전할 여지가 있는 사업이다. 하지만 단순히 야생동물만 다룰 것이 아니라 “도시 흙 살리기”나 “향기로운 도시 만들기”와 같이, 다른 사업과 결합하는 형태여야 더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3.2 생태도시가 고밀도시에서의 교통 접근도를 중시한다는 차원에서, “거리를 어린이 놀이터로 만드는 사업”도 좋은 생태도시 만들기 사업이 될 수 있다.


3.3 “문화란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벗어나는 지평이 문화의 선험적 조건이다. 그렇다면 의미란 바로 자연으로부터 문화로 넘어가는 바로 그 경계선/지평에 존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의미란 바로 자연과 문화와 접하는 바로 그 접면, 그 표면에서 발생하는 것이다”(이정우, 2003, p131). 이렇게 볼 때, 요즈음 환경음악, 환경연극, 환경미술 등 환경적 메시지를 던지는 환경예술이 넘쳐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생태도시 만들기 운동에서 문화의 요소가 중요하다. 야생동물과 예술을 접목시키는 생태도시 만들기 사업도 구상해볼 필요가 있다.


3.4 “도시 자체가 환경친화적”이라고 우리 생각을 한 단계 더 진전시켜보자.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을 도시 경계내에 한정시키지 않고 광역권으로 확장해서 도시와 농촌을 하나의 권역으로 볼 필요가 있다. 도시교외 및 농촌지역에 비해, 도시는 공간을 덜 낭비하고, 수자원을 덜 요구하며, 대중교통수단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가 고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인간의 간섭으로 인한 농촌지역의 자연파괴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만약 우리 모두가 전국적으로 농촌지역에 퍼져 산다면, “돌아갈 자연”이란 것이 과연 있기는 할 것인가?


3.5 생태도시 만들기에 참여하는 환경활동가에게 도시, 특히 도심부를 야생동식물의 정글로 만든다는 비전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심부의 새로운 매력에 눈떠야 한다. 도심부는 사회적 접촉 용이성, 보행가능성, 문화다양성 등의 측면에서 생태계의 원칙과 부합되는 측면이 많다.

4. 결론

4.1 전 세계에 걸쳐 도시 자체가 “멸종위기종”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 도시들은 공공투자의 감소, 자본의 역외 유출, 도시문제에 대한 무감각 등으로 인해 멸종의 위기에 처해 있다. 죽어가는 도시를 살리기 위해 생태도시의 비전과 원칙, 그리고 전략이 필요하다.


4.2 리차드 레지스터가 1975년에 제안한 생태도시는 이후 여러 가지 운동과 결합하면서 발전해온 매우 복합적인 개념이다. 하지만 생태도시는 “생태적으로 건강한 도시” 또는 “생태원리에 기초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도시”라고 일단 정의해볼 수 있겠다.


4.3 생태도시란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는 도시를 말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논의에 있어 생태계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어 인간활동부문, 문화영역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 생태도시는 계획이나 설계만으로 달성되기 어려우므로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차원에 있어서의 총체적 사회개혁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4.4 생태도시는 환경활동가의 용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도시 또는 환경친화 도시와 구별된다.


4.5 동반자적 참여의 과정을 중시하는 새로운 도시 만들기가 생태도시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귀곤, 「생태도시계획론-에코폴리스 계획의 이론과 실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3.

김귀곤, 「시범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사례-대전광역시에의 적용-」, 1996.

김해창,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에서 배운다」, 서울: 이후, 2003.

박용남, 「꿈의 도시 꾸리찌바: 재미와 장난으로 만든 생태도시 이야기」, 서울: 이후, 2002.

박종화, “생태도시 조성의 필요성과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개원 3주년 기념세미나, 「서울시정의 당면과제와 정책방향」, 1995, pp67-98.

성현찬, “생태도시의 실현을 위한 정부, 기업, 국민의 역할”, 「환경과 조경」, 1994. 4, pp66-71.

시민환경연구소, 「생태도시로 가는 길」, 서울: 도요새, 2001.

앨런 와이즈먼 지음, 황대권 옮김, 「세상을 다시 창조하는 마을 가비오따쓰」, 서울: 말, 2002.

양병이, “환경보존도시(Ecopolis) 조성을 위한 계획방향”, 「지속가능한 개발과 생태계 복원」, 한국조경학회 한국생태학회 공동심포지움 초록집, 1992, pp3-14.

이동근, “환경조화형 도시의 창조”, 「환경과 조경」, 1994. 4, pp56-60.

이정우, 2003, 사건의 철학, 서울: 철학 아카데미.

이창우, “도시농업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83회 정기학술 발표대회, 1995. 8. 18, pp55-74.

이창우, “도시계획 패러다임 변화와 지속가능도시”, 시민환경연구소 편, 「생태도시로 가는 길」, 서울: 도요새, 2001.

이창우, “도시정책과 제도의 녹색담론”, alt-c 편집 「de-sign korea: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상상」, 서울: 디자인미술관, 2001.

한국토지공사, 「환경친화적 단지계획기법」, 1996.

환경부, 「생태도시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사업」, 1996.

환경부, 「전국 그린 네트워크화 구상 -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 만들기 (도움자료)」, 1995.

Barton, Hugh ed., Sustainable Communities: The Potential for Eco-Neighbourhoods, London: Earthscan, 2000.

Beatley, Timothy, Green Urbanism: Learning from European Cities, Washington D. C.: Island Press, 2000.

Blowers, Andrew, Planning for a sustainable environment, London: Earthscan, 1993.

Breheny, M. J.,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Form, London: Pion, 1992.

Campbell Scott and Susan S. Fainstein eds., Readings in Plannning Theory, Oxford: Basil Blackwell, 1996.

Devuyst, Dimitri ed., How Green is the City?: Sustainability Assessment and the Management of Urban Environment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Elkin, Tim, Duncan McLaren, Mayer Hillman, Reviving the City - toward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London: Friends of the Earth, 1991.

Girardet, Herbert, The Gaia Atlas of Cities - New directions for sustainable urban living, London: Gaia Books, 1992.

Gordon, David, Green Cities-Ecologically Sound Approaches to Urban Space, New York: Black Rose Books, 1990.

Hough, Michael, City Form and Natural Process, London: Croom Helm, 1984.

Inoguchi, Takashi, Edward Newman and Glen Paoletto, Cities and the Environment: New Approaches for Eco-Societies, Tokyo: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1999.

Morris, David, Self-Reliant Cities-Energy and the Transformation of Urban America, SanFrancisco: Sierra Club Books, 1982.

Nicholson-Lord, David, The Greening of the Cities, London &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1987.

Platt, Rutherford H, Rowan A. Rowntree, and Pamela C. Muick, The Ecological City, Amhers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94.

Register, Richard, ecocities: building cities in balance with nature, Berkeley: Berkeley Hills Books, 2002.

Roseland, Mark, "The Eco-City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Urban Areas", in Dimitri Devuyst ed., How Green is the Ci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Spirn, Anne Whiston, The Granite Garden- Urban Nature and Human Design, New York: Basic Books, 1984.

Stren, Richard, Rodney White and Joseph Whitney, Sustainable Cities - Urbanization and the Environment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1992.

Thompson, George F. and Frederick R. Steiner eds.,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97.

White, Rodney R., Urban Environmental Management - Environmental Change and Urban Desig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