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주간 브리프
(2014년 10월 제28호)
메일 내용
![연구보고서](http://www.si.re.kr/newsletterimg/title06_new.jpg) |
-
생활악취물질의 배출허용기준 점진적 강화 필요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생활악취를
사업장 생활악취와 하수관 생활악취로 나누고,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악취가 발생하고 있는 7대
생활악취배출원(직화구이 음식점, 도장시설, 인쇄공장, 화학섬유 제조공장, 아크릴제조, 세탁업종, 하수관) 관리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둘째, 정량적인 악취질 분석을 위해 사업장의 업종에 따라 측정항목을 대표물질 3~5개로 간소화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셋째,
주거지 등의 생활권에 분포한 생활악취배출 사업장의 배출허용기준을 점진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넷째, 사업장 생활악취 저감을 위해
배기장치 및 활성탄 흡착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
![인포그래픽](http://www.si.re.kr/newsletterimg/title02_new.jpg) |
서울 아파트 1㎡당 전세가격 현황은? |
![서울 아파트 1㎡당 전세가격 현황은? (서울인포그래픽스 제104호)](http://www.si.re.kr/sites/default/files/info_104_hp_news.jpg) |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 5년간 연평균 7.2% 상승하였으며 2013년 전세가격이 높은 자치구는 강남 3구와 도심권 위주로 나타났다. 서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중은 60.6%이며 전세가 비중이 가장 큰 자치구는 '성북구'로 70.1%를 차지했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중이
높은 10순위 자치구의 전세가격은 '성동구'를 제외하고 모두 평균 전세가격 295만 원보다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연구원](http://www.si.re.kr/newsletterimg/footer_logo.jpg) |
137-071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 길 57 (서초동) 57, Nambusunhwan-ro 340-gil, Seocho-gu, Seoul,
Korea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 |
본
메일은 발신전용입니다. 메일수신을 원치 안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해 주십시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