善漁夫非取(선어부비취)
옛날 중국 원나라때의 일이다.
어떤 마을에 한 어부가 살았는데...
그는 너무나도 착하고 어질어서 정말 법 없이도 살 수 있는 정도였다.
그래서 항상 그는 마을사람들로부터 신망이 두터웠고, 그를 따르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마을에 새로운 원님이 부임하게 되었는데...
그는 아주 포악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그 원님은 부임한 뒤 그 마을에 한 착한 어부가 덕망이 높고 마을 사람들의 신임을 얻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괴로워하기 시작했다.
'어떻게 하면 저 어부를 제거 할 수 있을까?'
한참을 생각하다가... 원님은 묘안을 하나 짜내게 되었다.
그 어부의 집 앞에 몰래 귀한 물건을 가져다 놓고 그 어부가 그 물건을 가져 가면 누명을 씌워 그 어부를 죽일 계획을 세운것이다.
첫 번째로 그는 그 어부의 집 앞에 쌀 한 가마니를 가져다 놓았다.
하지만 그 어부는 하루가 지나고, 이틀이 지나도 그 쌀 가마니를 거들떠 보지도 않는 것이었다.
그래서 원님은 두 번째로 최고급 비단을 어부의 집앞에 가져다 놓았다.
그러나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몸이 달을때로 달은 원님은 최후의 수단으로 커다란 금송아지 한 마리를 집앞에 가져다 놓았다.
그러나 어부에게는 금송아지마저 소용이 없었다. 어부가 손끝 하나 대지않은 것이다.
그러한 어부의 행동에 화가 난 원님은 그 자리에서 이렇게 탄식을 했다.
`선어부비취`(善漁夫非取)...착한 어부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구나.
그 뒤로 어부에게 감명받은 원님은 그 어부를 자신의 옆에 등용해, 덕으로써 마을을 다스렸다고 전해진다.
善漁夫非取(선어부비취) :
자신이 뜻한대로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약간 화가 난 어조로 강하게 발음한다.
이 고사성어는 그 때 당시 중국 전역에 퍼졌고, 급기야는 실크로드를 타고 서역으로까지 전해졌으며...
오늘날에는 미국, 영국 등지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고 한다
始發奴無色旗(시발노무색기) -- 듣기 거북한 한자성어 (0) | 2014.10.05 |
---|---|
趙溫馬亂色氣(조온마난색기) -- 듣기 거북한 한자성어 (0) | 2014.10.05 |
군령유소불수(君令有所不受) - <史記>--- 임금의 명령도 거부할 수 있다 - (0) | 2014.08.18 |
고사성어 백과사전 (0) | 2014.03.16 |
삼국지 바로읽기 -- 프레시안 (김운회) (0) | 201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