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주간 브리프
(2014년 7월 제20호)
메일 내용
![서울도시연구](http://www.si.re.kr/newsletterimg/title11_new.jpg) |
|
![인포그래픽](http://www.si.re.kr/newsletterimg/title02_new.jpg) |
서울의 맞벌이 부부 현황은? |
![서울의 맞벌이 부부 현황은?](http://www.si.re.kr/sites/default/files/info_95_hp_news.jpg) |
2014년
서울의 맞벌이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43.1%이다. 소득별 맞벌이 비율은 가구소득이 연 4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50% 이상이고, 연
4천만 원 이하인 경우 30% 미만이다. 맞벌이 가구의 체감 생활수준은 평균 3점(5점 척도) 이하로 낮은 수준이며, 맞벌이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생활비가 부족해서'가 29.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의 소득별 체감 생활수준은 가구소득 2천만 원 이하가 1.97점으로
가장 낮고, 그 다음은 2천만~4천만 원(2.10점), 4천만~6천만 원(2.45점), 6천만 원 초과(3.03점) 순이며, 소득별 맞벌이
이유에 대해서는 가구소득 4천만 원 이하는 '생활비가 부족해서', 4천만~6천만 원은 '여유롭게 돈을 쓰고 싶어서', 6천만 원 초과는 '각자
일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서'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서울연구원](http://www.si.re.kr/newsletterimg/footer_logo.jpg) |
137-071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 길 57 (서초동) 57, Nambusunhwan-ro 340-gil, Seocho-gu, Seoul,
Korea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 |
본
메일은 발신전용입니다. 메일수신을 원치 안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해 주십시오. |
![](http://ems.sdi.re.kr/WEOMTRACK.html?CPKN=O&CPSQ=4358426&CPSC=0&CPID=14072500000002&CPMEM=tc2848@hanmail.net&CLID=000&CLKN=OP&CPCED=20140805&DRTMF=5&DRTMT=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