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주간 브리프
(2014년 7월 제19호)
메일 내용
![서울경제](http://www.si.re.kr/newsletterimg/title07_new.jpg) |
-
비즈니스서비스업(BS산업)의 현황 및 과제 서울시는
비즈니스서비스업(Business Services, BS산업)과 연관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BS산업을 육성하는 일련의 노력과 효과는
자연스럽게 제조업 등 BS 수요기업에 혜택이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BS산업의 육성은 해당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제조업 부문 기업들의 성장을
촉진하는 윤활유 역할을 함으로써 서울시 경제 전반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비즈니스서비스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기업의
대형화를 유도하여 규모의 효과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수 인력 유치 및 교육 강화 등을 통해 인적자본을 확충하여 전문인력 양성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률·회계·광고 등 전문서비스업이나 BS지원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인적자본에 비해 자본축적의 중요성이 경시되는 경향이
있으나 실제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설비자본과 같은 물적 요소의 확대를 통해 자본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
![인포그래픽](http://www.si.re.kr/newsletterimg/title02_new.jpg) |
점점 빨리지는 고령화, 서울시 노인은 무엇이 부족할까? |
![점점 빨리지는 고령화, 서울시 노인은 무엇이 부족할까?](http://www.si.re.kr/sites/default/files/info_94_hp_news.jpg) |
2013년
현재 서울시 노인 인구는 10.9%로 10명 중 1명꼴이다. 향후 노인 인구는 매일 200명씩 늘어나, 2020년에는 7명 중
1명(14.6%), 2030년에는 5명 중 1명(22.9%), 2040년에는 3명 중 1명(30.4%)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서울시
노인은 소득(서울에서 가구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미달하는 노인 비율은 19.3%로 전국 평균(28.5%)보다 낮은 수준)보다 사회적 관계와 건강
부문에서 더 부족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노인이 부족함을 느끼는 요인은 사회적 관계(49.6%)가 가장 크며, 그 다음은
건강(48.5%), 소득(31.9%) 순이다. |
![서울연구원](http://www.si.re.kr/newsletterimg/footer_logo.jpg) |
137-071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 길 57 (서초동) 57, Nambusunhwan-ro 340-gil, Seocho-gu, Seoul,
Korea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 | |
![](https://i1.daumcdn.net/mimg/10mail/blank.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