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녹조가 기승을 부리고 낯선 외래동물이 출몰하고 바닥부터 썩어가는 강은 정상적인 하천 생태계가 망가졌음을 보여준다. 환경부가 최근 작성한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도 4대강에서 흰수마자 등 여울 물고기가 사라지고 가시박 같은 외래종 식물이 강변을 점령하는 생태계 교란 현상이 벌어지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게다가 수질오염과 생태계 파괴 현상은 갈수록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 모든 문제의 근원은 멀쩡한 강바닥을 깊게 파내고 대형 보를 세워 강을 호수로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자연스런 강은 구불구불 흘러 물살이 빠른 곳에서 깎아내고 느린 데에 쌓아 여울과 소를 형성한다. 유속에 따라 펼쳐진 자갈, 모래, 펄에 터잡아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면서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홍수 때는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구실도 한다. 4대강 사업은 이런 강을 단순한 물길로 만들었다. 물이 흐르지 않으니 하구호에서나 나타나던 녹조가 강 상류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낙동강물환경연구소 등 일부 정부기관은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등의 항목을 들어 “낙동강의 수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고 헛소리를 늘어놓고 있다. 감사원이 지난해 지적한 것처럼, 호수로 바뀐 4대강에서는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조류 농도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5000억원을 들여 총인처리시설을 앞당겨 설치했는데도 해마다 녹조가 심해지는 것은 그런 투자가 수질개선에 아무 효과가 없음을 말해준다. 그 돈을 애초 낙동강에 투입했다면 지금쯤 훨씬 맑은 물이 흐르고 있을 것이다.
정부는 댐에 가둔 물을 일시에 흘려보내는 비상방류로 녹조를 씻어내는 따위의 땜질식 처방에 기대서는 안 된다. 근본 대책은 이미 광주시와 전남도가 영산강에서 추진하기로 한 ‘재자연화’밖에 없다. 일단 보를 열고 물을 흘려 생태계 파괴와 녹조를 완화한 뒤 보를 어떻게 할지 검토에 나서야 한다. 감사원이 2차례나 감사 결과를 발표한 만큼 객관성을 의심받고 있는 총리실의 4대강 조사평가위의 결론을 기다릴 여유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