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에선 강물 유속의 급격한 저하에 따른 수질 악화가 확인됐다. 특히 과거에는 90% 이상이 모래였던 강바닥에서 점토질 같은 미세양토(실트질)의 비중이 크게 늘어나는 바람에 물속의 산소가 급격하게 줄었다고 한다. 예컨대 낙동강 강정보와 함안보 주변의 강 아래쪽 용존산소량 측정치는 각각 0.05ppm, 0.5ppm에 불과했다. 용존산소량이 2ppm 미만이면 현행 환경정책기본법의 수질 등급으로 6등급(매우 나쁨)에 해당한다. 이런 상태에선 물고기가 살 수 없으며, 고도정수처리를 거쳐도 공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다. 4대강은 생물체가 더는 살 수 없는 죽음의 강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는 4대강 사업 추진 당시 ‘하천생태계의 복원’을 내세웠다. 그러면서 흐르는 강물을 보(댐)로 막아 거대한 물그릇을 만들고, 막대한 준설작업을 통해 자연정화 기능을 하는 모래와 자갈을 제거해버렸다. 그 결과가 현재 재앙과 같은 4대강의 모습이다. 올해는 이른 무더위와 가뭄의 영향까지 겹쳐 독성 남조류(녹조)가 무성해지고 큰빗이끼벌레가 창궐하는 등 생태계 교란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의 대응은 주먹구구식이다. 환경부는 낙동강 등의 녹조 현상이 심각해지자 6월 말과 7월 초 일부 보의 수문을 개방해 막대한 물을 방류했다. 하지만 이는 녹조를 단지 눈에 보이지 않게 하는 땜질 처방일 뿐이다.
4대강조사위원회의 이번 현장조사는 인력과 장비, 예산 등의 제약으로 4대강 사업 전후의 변화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제는 정부가 나서야 할 때다. 4대강 수질과 생태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동시에, 문제가 생길 경우 수문 개방 등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춰야 한다. 이명박 정부가 저지른 4대강 사업이 국가적 재앙으로 발전하기 전에 4대강을 다시 살릴 방안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