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사례 모음
공동체![](http://blogimgs.naver.net/imgs/nblog/spc.gif)
2014/03/12 11:29
http://bong78.blog.me/90191964909
함께하는 마을·따뜻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지역 특색에 맞는 마을공동체 복원에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모아서 공유합니다.
1) 서울시 마을공동체
1.1 성미산마을 (마포구)
도심형 생태마을
- 1994년 젊은 부모 30여 세대가 60평대 단독주택을 구입해 공동육아를 위한 어린이집을 열면서 시작된 공동체로, 현재 30~40대를 주축으로 400여 가구 1,000여명이 가족중심의 커뮤니티 형성
- 2001년 마을 뒷산인 성미산에 배수지 시설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는 운동을 하면서 주민들이 결집하여 두레생협, 마을극장, 성미산학교 등 교육․문화․마을기업․복지돌봄․커뮤니티를 활발하게 운영
※ 서울특별시 마포구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조례(제정 2009.12.31)
![](http://gov.seoul.go.kr/files/2012/03/4f72c03a2f1483.05809879-300x225.jpg)
1.2 장수마을 (성북구)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 성북구와 장수마을대안개발연구회 간 사업지원 협약식 체결 및 마을 기업 선정 등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자립형 일자리 마련
- 성곽 등 문화재 주변의 노후주택 밀집지역에 대해 재개발 대신 주택 개보수로 주거여건 개선 및 커뮤니티 재생방안 등 대안적 재개발 추진
※ 서울특별시 성북구 마을만들기 지원조례(시행 2011.10.21)
1.3 백사마을 (노원구)
재개발지역 중 보존구역 지정으로 공동체 회복 및 지역특성화
- 당초 아파트 위주의 전면개발 방식으로 지구단위계획 및 재개발 정비 구역이 지정되었으나 주거지 생활사의 보존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와 사회 각계 의견을 반영하여 4만2000㎡를 보존구역으로 지정
- 기존 노후주택을 한옥으로 리모델링하고 가로를 정비하여 마을형태 보존
1.4 서원마을 (강동구)
서울 휴먼타운 조성
- 마을만들기 프로세스를 도시관리계획인 지구단위계획과 접목하여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형 지구단위계획 시범사업지로 지정․개발
1.5 북촌한옥마을 (종로구)
마을공동체 활성화 및 전통성 회복
- 북촌가꾸기사업, 역사문화미관지구, 북촌지구단위계획 수립 추진
- 역사적으로 유서 깊은 공간에서 현재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으며 외부인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공동체 삶 활성화 및 전통성 회복 조성
1.6 두꺼비하우징사업 (은평구)
단독,다세대 주택을 아파트처럼 관리하여 주민의 정주권을 확보하고 주민고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상공인 연계로 지역공동체 형성
민관합자 (주)두꺼비하우징 설립
- 은평구청과 비영리단체(나눔과미래,녹색연합)가 함께 은평구 주택관리 유지보수와 주민지원 등을 위해 설립
1.7 함께 Green마을 만들기 시범사업 (도봉구)
마을만들기 과정을 통한 지역공동체 회복 및 자치역량 강화
마을경제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
- 자치공동체사업, 문화공동체사업, 경제공동체사업
※ 서울특별시 도봉구 주민참여 기본 조례(제정 2011.6.10)
2) 타 지방자치단체 사례
2.1 마을공동체 회사 육성 (전북 완주군)
커뮤니티 비즈니스로 더불어 잘사는 마을공동체 조성
- 2008년부터 마을공동체회사 100개소 운영, 두레농장, 로컬푸드사업 등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업 추진으로 지역 공동체 활성화
- 대규모 투자 없이 지역이 가진 자산을 활용해 지역문제를 주민 주도로 해결하고, 발생되는 이익은 지역에 환원
2.2 무지개프로젝트 (대전광역시)
취약지역 4개구 176개 사업 추진
- 빈곤상태 지속으로 지역공동체가 붕괴되고 지역슬럼화 가속으로 사회적 소외현상이 심한 지역의 정주환경 및 교육여건을 개선하고 자활능력 배양
- 현지 주민 중심의 취약동네 재생 프로그램으로 선택과 집중 방식의 행정, 재정 지원과 주민참여의 삶터 가꾸기 사업추진
2.3 마을만들기 현황조사 및 고유모델 연구 (전라북도)
전라북도 마을만들기 현황조사 및 고유모델 연구,제안
발전모델인 '도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설립
- 마을활성화지원회사 설립으로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자체 단위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설립
- 전라북도내 마을만들기 관련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 전라북도 마을만들기 지원 조례(제정 2009.12.28)
2.4 환경보전 중심의 녹색마을만들기 (안산시)
석수골 일반주택지역 마을정원 조성
-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 및 마을 공동의 일거리 제공
안산마을만들기 운동
- 우리나라 최초의 전원계획도시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이주율과 낮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마을만들기 운동 전개
2.5 마을르네상스 사업 (수원시)
마을공동체 시민운동
- (1단계) 2011년 지역형 마을르네상스 기반 구축
(2단계) 2012년 수원형 마을르네상스 모델 개발
(3단계) 2013년 이후 도시르네상스 및 한국형 마을르네상스 전개
- 사업발굴, 계획수립, 시범사업 선정 및 시행의 전 과정에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
※ 경기도 수원시 좋은 마을만들기 조례(제정 2010.12.29)
2.6 기타 국내 사례
2.6.1 임실 치즈마을 (전북 임실군)
- 1967년 임실치즈를 개발하여 특산품 생산 및 산양체험장,치즈아카데미 개최 등 녹색농촌체험마을 형성
2.6.2 지리산 일대 생태공동체 마을
(1) 간디생태마을 (경남 산청)
: 1998년 간디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생태마을로 생태환경 보전
(2) 두레마을 (경남 함양)
: 2002년 대안에너지(풍력,태양광) 이용확대 시민운동 전개
(3) 민들레공동체마을 (경남 산청)
: 대안기술센터(볏단황토집, 풍력발전) 운영 및 생태지향적 생활방식 추구
(4) 실상사마을(전북 남원), 청미래마을 (경남 함양)
2.6.3 변산공동체마을 (전북 부안군)
- 1996년 충북대 윤구병 교수를 중심으로 자연으로 돌아가 일반 공산품을 사용하지 않고 자급자족하며 친환경유기농법 시행
2.6.4 문당리마을 (충남 홍성군)
- 1958년 설립한 풀무학교 및 풀무생협을 운영하고 있으며 100년 대계를 가진 유기농 생태마을로 오리농법 쌀농사 시작
- 환경농업교육관과 농촌생활 유물관 운영
2.6.5 산안마을 (경기 화성시)
- 생태공동체운동의 산실로 天地人 조화,상생과 무소유로 행복한 일체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공생과 순환의 양계방식, 마음(心)공부 실천
3) 해외 마을공동체
3.1 로체스터 (미국)
NBN(Neighbors Building Neighborhood) 추진
- 1990년대 이후 미국 코닥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보유한 자원에 중심을 두고 시민이 시민을, 그룹이 그룹을 돕는 시민참여로 지역사회 문제를 지역주민 스스로가 고민하고 액션플랜 수립
3.2 토트네스 (영국)
자연주의 마을공동체
- 주민의 돈독한 유대관계를 상징하는 지역화폐(토트네스 파운드)를 사용하고 윤리적 상점,공정무역 가게가 마을공동체의 고리역할을 하고 있으며, 유럽의 대표적 유기농 농장인 리버포드 농장과 함께 치즈․그린슈즈 생산으로 유명
3.3 아만토마을 (일본)
젊은 예술가들이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며 새로운 삶의 길 모색
- 20~30대 젊은 예술가들이 카페,식당,영화관,공연장 등 필요한 것을 스스로 만들어 사용하며, 마을주민의 자격을 요하지 않는 열린 관계에 의한 구성원의 다양성 및 장기적인 안정성․지속성 확보
3.4 마치즈꾸리(まちづくり)(町作り)
마을의 거주환경을 정비하고, 주민들의 거주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민들의 참여로 마을을 만드는 운동
-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시민자치에 근거하는 지방자치제도로 자리잡은 제도로 지구계획, 마을만들기 협정과 조례로 발전
- 현재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마을만들기센터(마치즈쿠리센터)가 설립되어 주민자치가 확고히 정착되어가고 있음.
3.5 오르빌 (인도)
세계적인 실험 공동체 도시
- 인종,종교와 무관하게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모여사는 공동체마을로 UN, EU, OECD에서 매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