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재가 남고 기업이 투자하는 지역만들기

본문

[2013 업무보고]산업통상자원부 주요 과제 및 정책③
인재가 남고 기업이 투자하는 지역만들기


산업통상자원부의 업무보고 세번째 과제 및 정책은 지역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다.

지역의 활력제고를 위해, 첫째 일자리창출 중심의 지역산업 육성, 둘째 지역 투자환경 기반 개선, 셋째 기업과 인재가 남고 싶은 지역환경 조성 정책이 추진된다.

 

ㅁ
 

 

먼저 일자리 창출 중심의 지역산업 육성 정책이다.

광역선도사업은 성장선도·주력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시도별 특화사업은 고용효과가 큰 전통·뿌리산업 등을 육성하기로 했다.

광역사업(13년, 3600억원)은 충청의 경우 의약바이오, 호남은 광융복합, 동남권은 조선해양 등이며, 특화사업(13년, 2300억원)은 대구의 경우 의류·안경, 전남은 도자기, 경남은 기계부품 등이 있다.

또,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연계해 10개 혁신도시에 지역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나주혁신도시의 경우 한전 전산센터 등 17개 공공기관 이전으로 약 3천억원 이상의 발주 수요가 예상되는데 이를 IT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과 연계한다는 것이다.
 

둘째, 지역투자 촉진, U턴기업 지원 등 매력 있는 지역투자 여건 조성 관련 정책이다.

이를 위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개편(3.12시행) 및 U턴 기업에 대한 지역투자 보조금 등 대규모 지역투자에 대한 패키지 지원이 강화된다.

또, 고용효과 중심의 직접투자(FDI) 인센티브 개편방안을 5월 중 마련하고, 경제자유구역별 중점유치업종 산업클러스터 조성 등 지역투자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셋째, 기업과 인재가 지역에 남고 싶어하는 환경 조성 관련 정책이다.

이와 관련해 지역본사기업 우대제도(R&D지원 가점제 등)를 도입하고, ‘행복산단’ 조성 확대(‘17년까지 10개 산단) 등을 통해 지역에서 일하고 싶은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교통·편의시설, 어린이집, 문화기능 확충 및 작업환경 첨단화·자동화 등이 포함돼 있다.

산학융합지구 본격화, 지역거점산업과 연계한 미니 R&D클러스터 조성(‘14년, 3개 시범사업) 등을 통해 지역기업 R&D역량 강화 및 인재양성도 추진된다.

산단에 대학캠퍼스·기업연구관 집적화(6개 지구)를 통해 근로자 평생학습과 산학공동R&D를 지원하고, 비수도권 R&D 지원은 현재 29%에서 2017년까지 35% 이상으로 확대된다.
 

지역기업의 글로벌화 지원을 위한 마케팅 인프라도 구축된다.

KOTRA 지방무역관을 활용한 지역기업 해외진출 지원 및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전시회가 활성화된다.

산업부는 이같은 정책을 통해 지역기업-기술-지역인재가 선순환하는 생태계가 조성되어 지역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전문기업으로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