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초록 ] 도시정책이 국가별 정책 의제의 주요 부분으로 대두되고 있다. 도시와 대도시권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중요성은 도시를 세계시장에서의 주역으로 만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각국 정부는 도시에 대한 지원을 재개하고 있다. 세계화와 국제적인 투자 경쟁이 심화되는 시대에 도시는 광범위한 공공투자의 주요 대상이 되어 왔다. OECD 회원국에서 이러한 정책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 버려진 지역, 빈곤과 같은 전통적인 도시문제뿐 아니라 경쟁력 제고, 도시 마케팅, 환경적 지속가능성 및 혁신과 같은 새로운 과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을 아우르고 있다.
국가도시정책보고서(National Urban Policy Review) 시리즈는 OECD지역발전정책위원회(TDPC)의 주관으로 회원국의 요구에 부응하여 지역 발전과 국가 성과에 있어 도시의 역할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OECD의 국가보고서는 OECD의 대표적인 업무 중의 하나로, OECD는 거시경제, 교육, 산업, 조세, 환경, 지역 개발 정책과 기타 주요주제들을 검토한다. OECD 국가도시정책보고서의 목표는 중앙정부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OECD 회원국의 도시정책에 대한 통합적인 비교를 제공하는데 있다.
[ 목차 ]
용어정리 13
평가 및 권고 17
제1장 한국 도시구조의 변화와 과제 27
서 론 29
1.1. 거시경제적 동향 30
1.2. 도시화 추세 40
1.3. 도시의 경제적 성과와 주요 과제 60
1.4. 환경문제의 중심지로서의 도시 81
주 102
참고문헌 104
부록 1.A1 108
제2장 도시발전을 위한 국가정책 115
서론 117
2.1. 한국 국가도시정책의 지속적인 개혁 117
2.2. 한국 도시정책의 공조와 일관성 강화 : 4대 정책과제 126
주 151
참고문헌 154
부록 2. A1 157
제3장 녹색성장전략과 도시지역에서의 실행방안 159
서론 161
3.1. 녹색성장전략과 지방정부의 역할 162
3.2. 도시의 녹색성장 아젠다 발전을 위한 과제 189
주 208
참고문헌 209 |
지역생활행복권 (0) | 2014.02.01 |
---|---|
지역별 농촌 일자리 창출 방안 (0) | 2014.02.01 |
도시의 마을만들기 동향과 쟁점 (0) | 2014.02.01 |
삶의 질 향상은 주민 행복에서부터. (0) | 2014.02.01 |
지역행복생활권을 통한 행복사용설명서.pdf (0) | 201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