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ISO26000(사회책임) 전문가 양성과정 12기 ■

본문

 

 

 

■ ISO26000(사회책임) 전문가 양성과정 12기 ■

 

 

 

 

 

ISO26000 제정에 직접 참여한 전문가(Experts)들이 직접 강의하는 국내 최초 교육과정 !

 

 

                                 - 국내 주요기업의 중대성(중요성) 평가 사례 및 개선방향

                                 -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진단 및 평가 사례 개설

 

- 모시는 말씀 -

 

사회적 책임(SR)을 규정한 국제표준 ISO26000(SR)이 제정된 후, 벌써 3년이 지났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 70여개 나라는 5년여 동안 8차 총회를 개최한 끝에 ISO26000(사회책임) 국제표준을 93%의 찬성으로 채택한 바 있습니다. 그동안 산업계를 중심으로 '녹색경영', '윤리경영', '지속가능경영'을 추진해 왔는데, 앞으로는 글로벌 스탠더드가 된 ISO26000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ISO26000이 제정됨에 따라 기업은 물론, 공공기관, 정부, 지자체, 대학교, 병원, 사회단체에 이르기까지 모든 조직들은 지배구조, 인권, 노동, 환경, 소비자, 공정경쟁, 지역사회참여발전 등 7개 핵심 주제(Core Subjects)별로 국제적 가이드라인에 따라 운영 규범을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ISO26000이 추구하는 목표는 무엇일까요? 바로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입니다. GRI 가이드라인에 따라 보고서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업을 포함한 이제 우리사회의 주요 조직들은 글로벌 스탠더드가 된 ISO26000(사회책임)에 따라 조직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주요 주제별로 사회적 보고를 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때입니다.

ISO26000이 중요해짐에 따라 한국전문가포럼(KEF)은 정기적으로 ISO26000(사회책임) 전문가 양성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과정에 강사로 참여하는 분들은 그 동안 ISO26000 총회에 한국대표로 직접 참여해 온 전문가(Experts)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본 과정을 통하여 많은 분들이 ISO26000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해관계자 관점을 각급 조직에 적용할 수 있도록, ISO26000 제정 과정의 구체적인 흐름과 ISO26000의 핵심적인 내용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다 음 -

 

   ■ 주 최 : ISO26000한국전문가포럼(KEF)

   ■ 주 관 : SR코리아, ERISS

   ■ 일 시 : 2014. 2.6(목)~2.7(금) 09:30~18:00

   ■ 장 소 : 숲연구소 강당 (국회의사당역 5번 출구, 산림비전센터11층)

   ■ 교 재 : 강의자료집, 사회책임의 시대(틔움출판)

   ■ 수강료 : 440,000 원 (VAT포함, 비영리기관은 50% 할인)

   ■ 문 의 : SR코리아 사무국 (02-337-7357, www.SRKorea.Asia)

   ■ 수료증 : 테스트 후 수료증 발급

 

  

 

■ 참가신청

 

 

온라인신청 (클릭)

 

 

 

 

 

■ 프로그램

 

일시

(2014)

시간

ISO26000 강의 주제 (12기)

강사

2.6

(목)

09:30~10:00

등록

 

10:00~12:00

■ ISO26000 제정 의의와 지속가능한 발전

■ 환경 분야의 이슈와 대응방안

황상규 대표

(SR코리아 대표,

ISO26000한국전문가포럼 공동대표)

13:00~15:00

■ 조직의 거버넌스(지배구조) 규정과 실제

■ ISO26000 국내외 향후 추진 동향과 대응방안

김종열 대표

(리딩경영연구소 대표,

전 유한킴벌리 이사, ISO26000한국전문가포럼

공동대표)

15:00~16:00

[연구1] 주요기업의 중대성(중요성) 평가사례

 

16:00~17:30

■ ISO26000 논의와 소비자 이슈

■ 소비자 분야의 이슈와 대응방안

문은숙 원장

(전 식품안전정보원장,

ISO26000한국전문가포럼

공동대표)

17:30~

[연구2]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진단 및 평가사례

 

 

2.7

(금)

09:30~11:00

■ 지속가능경영과 ISO26000의 상호 관계

■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와 사회적 보고

안치용 소장

(ERISS 연구소장,

ISO26000한국전문가포럼 공동대표)

11:00~12:30

■ 조직에의 통합(Integration) 방법론

(ISO26000/TG6 의장 Prof. Martin Neureiter 사례)

송준일 박사

(한국품질보증원 대표,

ISO26000한국전문가포럼 공동대표)

13:30~15:30

■ 인권 및 공정운영관행 이슈와 대응방안

■ 지역사회 참여발전 이슈와 대응방안

김성천 박사

(ISO26000한국전문가포럼

공동대표)

15:30~17:30

■ 노동 분야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

■ 노동조합의 사회적 책임(USR) 국제 동향

강충호 박사

(국토해양부장관 보좌관,

전 한국노총 본부장, (ISO26000한국전문가포럼

공동대표)

17:30~

테스트 / 수료식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