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길 잃은 정보화마을 (상) 운영 실태] 교육 수요 감소 조성 취지 퇴색

본문

 

 

 

[길 잃은 정보화마을 (상) 운영 실태] 교육 수요 감소 조성 취지 퇴색

인터넷 보급 확대돼 / 도내 39곳 유명무실 / 예산 인건비만 지원

김정엽  |  colorgogum@jjan.kr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3.12.01  13:57:56
공감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정부가 ‘정보화마을’ 조성을 시작한 지 올해로 13년이 됐다. 농·어촌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정보화를 통해 지역발전을 이루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국내 정보화 여건에 그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 지난 2000년 당시 인터넷 보급률은 44.7%에 불과했으나 지난해는 84.1%를 기록했다. 정보의 사각지대에 있던 시골 마을에도 이제는 개인 PC 구비는 물론 인터넷망이 활성화됐다.

정보화마을 사업이 도·농간 정보화 격차 해소에 이바지 한 것은 사실이나, 처음 정책을 도입한 시점과 비교해 현재는 의미가 많이 퇴색된 상태다. 이에 본보는 도내 정보화마을의 실태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진단해 본다.

지난달 29일 전주의 한 정보화마을 정보센터. 관리자와 함께 잠겨 있던 출입문을 열고 들어가자 컴퓨터 책상에는 각종 생활물품이 쌓여 있었다. 상당 기간 교육이 이뤄지지 않은 인상을 풍겼다. 관리자는 주민들이 필요로 할 때만 교육을 실시한다고 했다. 10년이 넘는 기간 주민들이 정보화 교육을 통해 PC 사용에 대한 이해도 및 인터넷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교육수요가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1일 전북도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 조성된 361개의 정보화마을 중 도내에는 39개(10.8%) 마을이 있다. 그간 도내 정보화마을에 정보센터 구축, 관리자 인건비 등으로 투입된 예산은 국·도·시·군비를 포함해 모두 186억5500만원이다.

정부는 지난 2006년까지 정보센터 구축 등 하드웨어에 집중 투자했다. 하지만 부실 운영 등 문제가 불거지자 지난 2007년부터 관리자를 두고 소프트웨어를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선회했다. 이와 함께 평가시스템을 마련해 등급별로 국비를 지원하는 한편 2년 연속 하위 20%에 포함된 마을은 지정을 해지했다.

평가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부실하게 운영되던 33개의 마을이 해지 되는 등 성과도 있었지만 정보센터 이용률이 떨어지는 부작용도 함께 가져왔다. 이는 관리자들의 교육을 통해 주민들이 상당 부분 정보화 수준이 높아진 게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지만, 충분치 않은 예산 지원 때문이기도 하다.

올해 도내 정보화마을 정보센터 운영비 8억6200만원 가운데 관리자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80%에 육박하고, 4곳을 제외하면 인건비 비중이 평균 95%를 넘는다. 사실상 정보센터를 유지할 전기료 등 최소한의 비용은 지원되지 않은 셈이다.

이 때문에 관리자들은 정보센터를 활용한 교육보다는 잡무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도내 7개 정보화마을이 ‘농어촌 체험 휴양마을’로 함께 지정됐지만, 김제 수록골 마을 등 3개 마을에만 체험 휴양마을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무장이 따로 배치돼 있을 뿐이다. 나머지 4개소는 정보화마을 관리자가 체험 업무까지 도맡아하고 있다. 이 곳 외에도 상당수 정보화마을 관리자들은 각종 ‘농촌 활력사업’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동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 저작권자 © 전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