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도시와 도시계획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지음

본문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지음

 

제1편 도시와 도시계획

제1장 도시화와 도시문제
1.1 도시의 본질
1.2 도시화(urbanization)현상
1.3 도시문제

제2장 도시계획의 역사
2.1 고대 도시
2.2 중세 도시
2.3 근대 도시
2.4 현대 도시

제3장 도시계획의 개념과 계획이론
3.1 도시계획의 개념
3.2 계획 이론

제4장 도시계획제도와 도시계획체계
4.1 도시계획제도의 의의와 역할
4.2 현행 도시계획제도의 주요 내용
4.3 도시계획체계의 구성과 선진화

제2편 도시조사분석
제5장 도시조사
5.1 도시조사의 의의와 목적
5.2 도시조사의 범위와 내용
5.3 도시조사의 방법
5.4 자료의 정리와 표현
5.5 행정중심복합도시 계획을 위한 도시조사 사례

제6장 도시분석방법론
6.1 도시 및 지역경제 분석
6.2 회귀분석

제7장 도시정보시스템
7.1 도시계획과 도시정보시스템
7.2 도시계획에서 GIS의 활용분야
7.3 정보의 수집과 표현
7.4 정보화 기반 도시계획
7.5 도시정보시스템(UIS)의 미래

제3편 부문계획
제8장 계획인구추정
8.1 계획인구추정의 의의
8.2 도시인구예측모형
8.3 인구예측과 관련된 몇 가지 이슈
8.4 계획인구추정 사례 : 행정중심복합도시

제9장 토지이용계획
9.1 토지이용계획의 개요
9.2 토지이용계획의 구성과 수립과정
9.3 토지이용면적의 수요 추정
9.4 토지이용의 입지배분
9.5 토지이용계획의 사례 : 행정중심복합도시

제10장 교통계획
10.1 교통계획의 개요
10.2 교통계획과정
10.3 수요추정
10.4 부문별 계획
10.5 교통계획사례 : 행정중심복합도시

제11장 기반시설계획
11.1 기반시설과 도시계획시설
11.2 도시계획시설의 특성
11.3 주요 기반시설의 정의와 결정기준
11.4 기반시설계획 사례 : 행정중심복합도시

제12장 공원 및 녹지계획
12.1 공원 및 녹지의 개념
12.2 공원 및 녹지의 유형별 기준
12.3 공원녹지계획
12.4 친환경의 공원녹지계획

제13장 경관계획
13.1 경관계획의 개요
13.2 도시경관 기본이론
13.3 경관계획 수립
13.4 경관관리제도
13.5 경관계획 사례

제4편 집행계획
제14장 용도지역지구제
14.1 토지이용계획의 실현수단
14.2 우리나라의 지역지구제
14.3 유연한 지역제

제15장 지구단위계획
15.1 토지이용계획의 실현수단
15.2 지구단위계획 제도의 특성과 내용
15.3 지구단위계획 제도의 발전 방향

제16장 도시계획시설사업
16.1 도시계획시설사업의 개요
16.2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
16.3 도시계획시설사업과 민자유치

제17장 도시개발사업
17.1 도시개발사업의 의의와 유형
17.2 도시개발법에 의한 도시개발사업
17.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사업
17.4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의한 사업

제18장 계획평가와 재원
18.1 계획평가
18.2 도시계획과 재정

제5편 새로운 조류와 전망
제19장 도시계획의 최근 동향
19.1 주요 정책변화와 도시계획적 대응
19.2 균형개발과 거점형 신도시
19.3 수도권 주택문제와 제2기 신도시
19.4 국가경쟁력 제고와 경제자유구역
19.5 삶의 질 향상과 '살고 싶은 도시'

제20장 도시계획의 새로운 조류
20.1 새로운 도시계획의 흐름
20.2 새로운 도시개발의 기법들
20.3 최근 도시계획 동향과 시사점

제21장 미래 도시계획의 방향
21.1 새로운 미래사회 변화 방향
21.2 새로운 계획패러다임의 방향
21.3 추구해야 할 미래의 도시상

■법령색인
■일반색인
■집필진 약력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