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북-충남 금강하굿둑 ‘물꼬 싸움’

본문

 

전북-충남 금강하굿둑 ‘물꼬 싸움’

등록 : 2013.09.11 20:18 수정 : 2013.09.11 20:18

 

군산, 농업 피해줄 “해수유통 반대”
서천, 경제·생태계 위해 “해수유통”

금강하굿둑에 바닷물을 부분 유통시키자는 주장이 충남 서천군에서

 

충남권 전역으로 확산되자, 이를 반대하는

 

전북 군산시와 농어촌공사가 정면 대응에 나서고 있다.

 

군산시 11일 “금강 하굿둑에 해수를 유통하면 염분이

 

상류 쪽으로 24㎞까지 확산해 농업·공업 용수를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염분 때문에 금강호 저수 기능의 80%를 상실한다”고 밝혔다.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금강용수보전 대책위원회는

 

10일 회의를 열어 해수유통 반대 입장을 밝혔다. 군산시 관계자는

 

“올해 5~8월 서천군의 부분 해수유통 용역 결과, 개방하는 배수갑문 수가

 

많아져 해수유통을 해도 염분 확산 범위가 큰 차이가 없다고

 

밝히고 있지만, 경제성 검토 등 단서가 붙어 있는데다

 

가장 중요한 농업·공업 용수에 대한 대안이 빠져 있다”고 강조했다.

충남 서천군은 금강 하굿둑을 일부 개방해 해수유통을

 

하면 생태계를 복원하고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며 적극 홍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 4일부터 서산시를 시작해 11월 중순까지 일정으로

 

15개 시·군에 걸쳐 순회강연회를 시작했고, 15만명을 목표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충남도 시·군의회 의장협의회도 지난달 30일

 

“부분 해수유통을 끊임없이 건의했지만 정부가 이를 외면하고 있다”며

 

책임있는 조사와 환경복원 대책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천군 관계자는

 

“부분 해수유통 때 배수갑문을 조절해 해수 유입량과 시간을 제한하면

 

염분 확산 거리를 5㎞까지 조절할 수 있어 피해가 없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며 “또 하굿둑을 개방해 바닷물이 드나들게

 

되면 민물장어 등 고급어종이 다시 금강을 찾게 돼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고

 

파괴된 생태계 복원도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다.

군산시 성산면과 서천군 마서면을 연결하는 금강 하굿둑은 1990년 완공했다.

 

총연장 길이가 배수갑문 714m, 방조제 1127m를 합쳐 모두 1841m이다.

 

 

전북과 충남 일대에 용수를 공급하고, 농어촌공사가 관리해 금강 주변 지역의 홍수를 조절한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금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