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시스】유영수 기자 = 국제슬로시티(Slowcity)로 지정됐던 전남지역 2개 지역이 최근 슬로시티 재인증에 실패하면서 전주시가 주민 중심의 민간 활동 강화에 나섰다.
이는 슬로시티 재인증의 제일 주요 요건인 슬로시티 이념 철학 담아 한옥마을 정체성 확립 운동을 주민 주도 하에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29일 전주시에 따르면 도심형 국제슬로시티로 지정된 전주한옥마을의 공동체 활성화와 정체성 확립을 위한 주민 중심의 민간 활동이 본격화된다.
지난 4월 발족한 국제슬로시티 전주한옥마을협의회가 최근 비영리법인 등록을 마침에 따라 하반기부터 한옥마을 공동체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활동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국제슬로시티 전주한옥마을협의회는 주민 중심의 슬로시티 활동을 위해 공동체 활동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주민 공동체사업을 발굴해 주민 소득과 일자리 창출, 마을 활성화를 꾀하기로 했다.
특히 슬로시티 지역간 교류에 나서는 한편 한옥마을 미관을 흐리고 이미지를 해칠 수 있는 교통문제와 청소, 저가 불량제품 판매 방지 등에도 주민들의 힘을 모으는 등 주민 중심의 한옥마을 지킴이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제슬로시티 전주한옥마을협의회는 국제슬로시티연맹이 정한 국제슬로시티의 날 행사인 '슬로시티 선데이'를 개최하기로 하고 기념행사 및 주민활동, 즐거운 볼거리와 먹거리 장터로 기획해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 2010년 11월 27일 슬로시티로 인증 받은 전주한옥마을은 오는 2015년 11월 이후 재 인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전주 한옥마을은 음식점을 비롯한 각종 상업시설의 난립으로 '실제 주민이 거주하는 생활형 한옥마을'이라는 본래의 정체성이 사라지고 있다.
또 급증하는 관광객으로 숙박 및 주차난 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슬로시티의 목적이 전통문화, 고유음식 등을 보호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해 공동체적 삶을 영위한 것이라는 측면에서 볼때 커다란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전주 한옥마을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재정립하기 위한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강력 요구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남 장흥군은 탈락하고 신안군 증도는 1년간 인증이 보류됐다.
전주시는 전주한옥마을이 지속가능한 마을로, 주민의 삶이 윤택한 행복한 마을로 이어지기 위해 한옥마을 정체성과 공동체 확립에 나설 계획이다.
또 전주 한옥마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한옥마을내 상업적 기능을 제한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
yu0014@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