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한평공원 만들기의 의미 2. 한평공원 만들기는 주민참여를 기본으로 합니다. 3. 한평공원, 이렇게 만들었습니다. 4. 한평공원을 만드는 과정들 5. 한평공원에 함께 하는 사람들 * 22p | |
|
|
|
|
- Past and Present_Insa-dong - Hidden alleyways, hidden pleasure_in and around Insa-dong - A 'fool' who has devoted himself only to papering?_Go Suik - Have you ever heard about Cang Saeng Ho_an antique shop located in Insa-dong?
|
|
|
|
- 인사동의 어제와 오늘 - 간송 전형필 선생과 한남서림 - 인사동 숨은 그림찾기 - 한 우물을 판 ‘바보’?-고수익 선생님 편 - 골동품점 장생호를 아시나오? - 인사동에서 갤러리를 묻다 * 2004 겨울호, 23p
| |
|
|
|
- 생활공간과 풍수지리 - 미술밖의 미술-‘self-taught' 아티스트의 세계 - 민화이야기 및 감상_민화란 무엇인가? - 인사동 사람들과의 만남_나의 공동 70년 - 북촌과 옛사람들 - 인사동 골목길의 의미 및 탐방_인사동 숨은 그림 찾기 - 북촌의 근현대사 살펴보기_북촌의 역사문화유적지 - 인사동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이야기 마당 * 인사동학교 자료집, 87p
| | |
|
|
|
1. 안전한 도로는 주민들의 관심에서부터 시작됩니다. 2. 참여는 좀 더 나은 교통환경을 만듭니다. 3. 통학로 안전을 위한 다양한 주민참여 방법들 4. 통학로 개선사업을 위한 다양한 시설물들 5. 통학로 안전을 위한 또 다른방법, 주민간의 약속 | | | |
2003년 한평공원 조성 프로그램을 활용한 주민참여 공간만들기 | |
|
|
1장 한평공원의 의미찾기 2장 2002년 주민 참여를 통한 계획 및 설계-2003년 시공 금호동의 주차장과 휴식공간 / 옥수동의 공터와 계단 공간 3장 2003년 새로이 발굴하여 시공까지 가회동 한평공원 만들기 4장 2003년 주민참여를 통한 계획 및 설계 불광동 연천초교 통학로 주면 / 불광동 삼각형 자투리 땅 5장 2002년 시공 - 2003년 모니터링 원서동 한평공원 모니터링
| |
|
|
|
|
1.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와 주민자치센터 2. 사례지역 주민자치센터의 활용 3. 주민자치센터, 동사무소, 주민 그리고 마을만들기 4. 주민자치센터, 지역연계활동의 가능성
| | |
2003년 소도읍 육성사업 정책과 지역활성화 전략에 대한 워크샵 | |
|
|
- 본 자료집은 2003년 11월 29일 강화읍사무소에서 개최한 워크샵의 발제문과 토론문을 중심으로 구성 -
발제 : 강화읍 소도읍 육성사업 추진/한상순 (강화군 도시개발과장) 지역활성화 전략으로서의 에코뮤지엄 적용가능성 /최효승(청주대 건축공학부 교수)
토론 : 소도읍 육성사업의 실효성과 과제/김혜란((주) 대흥ENG 도시계획부 이사) 마을가꾸기, 소도읍 그리고 지역개발/임경수((주) 이장 대표) 홍성읍 육성사업의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김오열(홍성YMCA총무) 소도읍 육성사업 추진계획/이중재(행정자치부 사무관)
| |
2003년 인천중구 구도심권 지역활성화와 가로환경개선사업을 위한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 |
|
|
1. 사업개요 2. 주민참여의 개념 및 사례 3. 지역현황 및 여건변화 검토 4. 2002년 가로환경정비사업 추진일정 5. 2003년 가로환경정비사업 추진일정 6. 2004년 가로환경정비사업 제안 | |
|
2003년 지하철과 연계를 통한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 | |
|
|
제1장 서 론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지하철-자전거 연계의 필요성 검토 제2장 지하철-자전거 연계를 위한 지하철 실태조사 실태조사를 위한 기본 정의 / 조사 대상역의 일반현황 / 유출입 현황 및 배차간격 / 시설물 현황조사 / 제도적 규제현황 제3장 설문조사 한강 시민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자전거 이용실태 / 지하철과 자전거 연계방안에 대한 시민의견 제4장 개선방안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시설개선 / 제도의 정비 제5장 결과 및 기대효과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