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역사 이야기』는 다섯 명의 저자가 전라도 역사 전체를 다섯 시기로 나누어 정리한 책이다. 고대 사회 및 고려 사회, 조선 사회, 근대 사회, 현대 사회로 나누어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여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학문과 문화 창달에 이바지한 전라도를 살펴본다. 아울라 기존의 정치체제와 정권에 저항하는 항쟁의 불길을 들어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데에 앞장선 점들을 정리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Ⅰ. 고대 사회
1. 지석묘와 광주 신창동유적 12
지석묘사회 | 광주 신창동유적
2. 마한과 백제 18
마한의 대형 옹관고분 사회 | 백제의 석실분 사회 | 장고분
3. 장보고와 해상왕국 29
장보고 | 장보고의 해상왕국
4. 통일신라의 교종과 선종 36
경전중심의 교종 | 수행위주의 선종
5. 호족과 후삼국시대 45
견훤의 호족-동부지역 | 왕건의 호족-나주호족
Ⅱ. 고려 사회
1. 십훈요(十訓要), 과연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54
제8조에 담긴 왕건의 정치적 의도 | 역사적 사실이 아닌 호남지역민들의 정치적 차별
2. 백제부흥운동과 삼별초항쟁 62
무신정변과 고려사회의 변화 | 담양 이가당(李家黨)의 ‘백제를 부흥시키자’ |진도에서 삼별초는 무엇 때문에 싸웠나
3. 교단의 세속화에 맞선 불교개혁운동 72
지눌, 송광사에서 불경 읽고 참선하세 | 요세, 백련사에서 염불하고 참회하세
4. 공예품의 지존, 고려청자 79
청자의 메카 강진과 부안 | 배에 실려 개경나들이 | 수중발굴, 청자 살아있네
5. 격변기 민중의 신앙 89
민중의 염원이 담긴 천불천탑(千佛千塔) | 왜구의 침략과 매향(埋香)활동
Ⅲ. 조선 사회
1. 고을을 합치고 읍성을 쌓다 98
고을을 합쳐 수를 줄이다 | 바닷가 고을에 읍성을 쌓다
2. 양반 사회의 이모저모 107
양반으로 산다는 것은 | 특정 성씨만 사는 마을 | 향안에 이름을 올라야 진짜 양반
3. 호남 사림과 정여립 사건 116
호남 사림의 성장 | 누정 건립과 성리학 연구 | 정여립 사건으로 목숨 잃다
4. 임진왜란과 호남 의병 125
참혹한 전쟁 피해 | 호남 의병, 경상도를 막다 | 전후 포상과 『호남절의록』 간행
5. 국가 경제의 중심지 134
조선의 곡창 지대 | 수산업과 해운업의 발달 | 전국에서 최초로 연 장시
6. 조세 수탈과 농민 항쟁 143
문란한 조세 행정 | 정한순이 주도한 함평 농민 항쟁 | 병란 성격을 띤 광양 농민 항쟁
Ⅳ. 근대 사회
1. 노사학파의 위정척사운동 152
전라도 해안에 출몰하는 서양의 선박들 | 노사학파의 조선을 지키기 위한 방안 | 노사학파의 서양 문물에 대한 관심
2. 동학농민전쟁 160
다가오는 말세, 새로운 희망 | 보국안민의 깃발 아래 | 파랑새 날개 꺾이고 녹두꽃 스러지다
3. 근대 문물의 유입 170
‘목포는 항구다’ | 기찻길과 신작로에 묻힌 조선인의 피와 땀 | 하늘의 부름을 받는 길
4. 일제의 침략과 호남의병 179
유생들, 붓을 던지고 칼을 들다 | 머슴까지 의병대열에 앞장서다 | 의병들은 어떻게 싸웠을까 | 전라도의 산과 들, 의병의 피로 물들다
5. 3·1운동 189
아이의 울음도 그치게 하는 헌병경찰 | 두려움에 떨던 민중, 장터에 모여 만세부르다 | 검푸른 파도에 광복의 꿈을 싣고
6. 광주학생독립운동 197
식민지의 사슬을 끊고 깨우쳐 나아가자 | 빛고을 넘어 전국 각지로
7. 일제강점기 사회운동 203
소작료와 각종 세금에 찌든 고단한 농민들 | 농민들의 굳센 의지, 노농의 깃발로 펄럭이고 | 굶어 죽을지라도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 청년·노동자여 단결하자!
Ⅴ. 현대 사회
1. 해방과 미군정 216
해방의 기쁨을 누리다 | 미군이 진주하다 | 좌·우익이 서로 싸우다
2. 단독정부수립 반대와 여순사건 223
단정반대와 5·10선거 | 정부수립 이후의 모습 | 여순사건
3. 6·25전쟁과 민족의 아픔 230
전쟁의 조짐이 보이다 | 전쟁이 일어나다 | 전쟁의 잔상
4. 민주주의의 외침-성공과 좌절 238
4·19혁명-이승만 장기독재에 저항하다 | 5·16군사쿠데타-유신으로 | 근대화·산업화의 소외지역, 전라도
5. 광주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의 발전 250
민주주의로의 염원이 분출하다 | 항쟁의 불길이 치솟아 올랐다 | 민주주의를 향한 신념은 계속되다
찾아보기 | 261
혁명가인가, 반역자인가? 최초의 공화주의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올리버 크롬웰보다 50년이나 앞서 공화주의를 주창했던 정여립. 조선 시대의 '광주사태'로 불리우는 기축옥사로 우리 역사에서 이름조차 사라졌던 그가 재야사학자 신정일씨의 10년에 걸친 노력 끝에 '지워진 이름 정여립'으로 부활했다. 기록과 유적지들을 찾아내어 정여립의 활동사와 사상에 대해 평가하고 있으며, 그가 꿈꾸었던 대동 사상의 실체를 밝힌다.
저자 :신정일
문화사학자이자 이 땅 구석구석을 걷는 작가, 도보여행가. 현재 사단법인 ‘우리 땅 걷기’의 이사장으로 있으며 역사 관련 저술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1980년대 중반 ‘황토현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을 재조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사업을 펼쳤고, 1989년부터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한국의 10대 강 도보 답사를 기획하여 금강·한강·낙동강·섬진강·영산강을 비롯해 압록강까지 답사를 마쳤고, 우리나라의 옛길인 영남대로와 삼남대로·관동대로를 도보로 답사했으며 400여 개의 산을 올랐다.
부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바닷가 길을 걸은 후 문화관광부에 최장거리 도보 답사 길을 제안, 국가 정책으로 개발되고 있다. 2010년 9월 관광의 날을 맞아 다양한 우리 땅 걷기 코스 발굴을 통해 도보 여행의 대중화와 국내 관광 활성화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정부 포상으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현재 소외된 지역문화 연구와 함께 국내 문화유산 답사 프로그램과 숨은 옛길 복원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을 뒤흔든 최대의 역모사건』『한국사의 천재들』『똑바로 살아라』『그곳에 자꾸만 가고 싶다』『대한민국에서 살기 좋은 곳 33』『섬진강 따라 걷기』『풍류』『대동여지도로 사라진 옛 고을을 가다(3권)』『낙동강』『한강 따라 짚어가는 우리 역사』『영남대로』『삼남대로』『관동대로』『가슴 설레는 걷기 여행』『느리게 걷는 사람』『새로 쓰는 택리지(10권)』『가치있게 나이 드는 연습』 등 50여 권이 있다
신비의 파라오 투탕가맨 (너무 정성스러운 사진설명이네요) (0) | 2013.05.28 |
---|---|
『갑과 을의 나라』. (0) | 2013.05.28 |
불우한 이웃을 위한 '서스펜디드 커피운동' : 'Suspended coffee' (0) | 2013.05.22 |
부부의 날을 맞이하여 (0) | 2013.05.22 |
두꺼비하우징 (0) | 201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