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전 지구적 기후 변화의 원인과 밀란코비치 이론 : 문명의 지도를 바꾸는 기후 변화

본문

 

ㅣ 전 지구적 기후 변화의 원인과 밀란코비치 이론 ㅣ

 

  과연 급격한 기후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지구 온난화의 주원인이 인간 때문에 일어난다는 견해에 과학자들은 대체로 동의한다. 하지만 변화의 원인이 인간과 현대문명이 아니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주기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1)      

  현재의 미시적인 변화가 아닌 거시적인 기후 변화는 태양 활동과 지축의 기울기, 공전궤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데 대부분의 학자들은 동의한다. 크로아티아 출신의 수리기상학자인 밀란코비치Milankovic는 이 거시적인 지구 기후 변화의 비밀을 밝혀냈는데 그의 이론은 기후학 사상 최고의 업적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 이론의 최종 결론은, 지구 자전축과 공전궤도의 주기적 변화가 지구에 거시적 기후 변화를 주기적으로 몰고 온다는 것이다. 밀란코비치는 빙하기와 간빙기를 주기적으로 오게 하는 거시적 기후 변화의 원인을 세 가지 주기로 설명하였다.

 

  첫째 원인은 태양 주변을 도는 지구의 궤도와 관련 있다. 지구 공전궤도는 10만 년을 주기로 하여 바뀌는데, 공전 궤도는 완벽한 원이 아니라 타원형이며 이 모양도 주기적으로 변한다. 이 궤도에 따라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바뀌어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둘째 원인은 42,000년을 주기로 하는 지구 자전축의 경사도와 관련이 있다. 지구 자전축은 21.8도에서 24.4도까지 변화하는데, 기울기 변화는 태양 복사열이 도달하는 지구상의 위치를 결정한다.

  셋째 원인은 약 25,920년 주기의 세차운동2)  에서 찾고 있다. 세차운동은 계절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직녀성이 진북(眞北)에 놓이면 겨울은 혹독하게 추워지고 여름은 찌는 듯이 더워진다.

 

  이러한 세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따라 지구에 유입되는 태양의 입사에너지가 주기적으로 달라진다는 것이 밀란코비치 이론의 핵심이다. 이런 가설 하에 여러 복잡한 계산을 통해 과거 수십만 년 동안의 기후 변화 그래프를 추정해 낼 수가 있다. 이 세 가지 주기 중에 지구 공전궤도가 바뀌는 10만 년 주기는 신비스럽게도 10만 년마다 들이닥치는 빙하시대의 주기와 대략 일치한다. 최근 극지방의 얼음 분석, 해저와 호수 바닥에 침전된 꽃가루 분석3) 등을 통해 기후의 주기가 정밀하게 측정되면서 밀란코비치 이론은 든든한 뒷받침을 받게 되었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과학도 대개벽의 한소식을 분명하게 증명하고 있다. 비록 변화의 전체적인 논리가 과학적으로 완전히 해명된 것은 아니지만 빙하기와 간빙기의 교체, 지구 생물계의 대변화와 새로운 시대의 도래는 지구의 극이동과 공전궤도의 주기적 변화를 계기로 하여 시작된다는 사실이 점차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과학도 이 변화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원인과 변화의 종결점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답은 과학이 아닌 천지대도(天地大道) 차원에서만 분명하게 밝혀질 수 있다.

  그러면 지구 이변에 대한 천지대도 차원의 종합적인 진단 내용은 무엇인가? 그것이 바로 4부에서 살펴볼, 129,600년을 일원(一元) 주기로 하는 '우주 1년의 개벽 운동'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IPCC 보고서에 일부 오류가 있고, 인간이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다는 주장이 최근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가이아

    이론'으로 유명한 제임스 러브록은 『가이아의 복수』에서 지구 온난화가 주로 태양이 점차 뜨거워지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주장했고, 호주 애들레이드대 이언 플리머 교수는 "이산화탄소보다 태양 활동이 기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라고 주장

    했다.

2) 세차운동 : 팽이가 쓰러질 때 좌우로 비틀대듯이 지구의 자전축이 비틀거리며 원운동을 하는 현상. 이로 인해 북극성이 주기적

    으로 바뀌며, 13,000년 후에는 직녀성이 북극성이 되고, 25,920년 후에는 현재의 북극성이 다시 북극성이 된다.

3) 1999년 권위 있는 과학지 <네이처>지에는 헝가리 푸라 분화구의 침전물을 분석하여 과거 기후 변화가 124,000년의 주기로

    변화하였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출처 : 이것이 개벽이다 上

출처 : 개벽(開闢)! 상생(相生)의 길(道)
글쓴이 : 의롭고진실한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