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에 부치는 제언" 그리고 방향에 대하여

2013. 4. 28. 23:37경제/대안사회경제, 협동조합

 

 

                                  " 전라북도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에 부치는 제언"

                                                 (사회적 경제 최종 소비자는 시민이다 )----------

 

                                전북발전연구원의 사회적 경제의 지역 조직 실태 조사나 방안의 제시는

                                시기적으로 적절한것 같다,  이미 전국이 사회적 경제를 이미 실천해 왔던

                                NGO나 NPO들의  관리 운영 방법도 혼용해서  고민하자라는

                                바램 이며 발표된 실태및 방안의 덧붙임을 위해

                                전북의  방향은  조정력을 상실하지 않았으면 하며 

                                미리 보기  제언을 통해 소통하길 바래며

 

                             #,방향성이니 만큼   우리사회 지속가능성을 사회적 경제에 어떻게 진입할것인가

                                전북도와 전북발전연구원이 이슈화 한다면 공공적 차원의 사회적경제 추진이라고

                                전제 하겠다.  평가나 환류과정에 지표나 지수화에  활용할수 있는

                                지역지속가능성을  필히 담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 본방안이 이슈브리핑 차원이래도 참여 연구진의 다양성을 필요로

                                하는것이다,  사회적 경제 범위가 농업분야에 치우친다고 우려 하기전에 연구원내의

                                다양한 연구원들의 공동 연구 범위로 넓히라고 권고하는 것입니다 영역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 하면서 기획단계 부터 고려 해야 하는 안목이 담겨지길 바랩니다

 

                             #, 당연히 중장기적 지역계획하에 진행 된다면   처음부터 중앙지원을  의존

                                하기 보다는  작지만 지역의 자립력을 바탕으로 소박하게 실험적 출발이길 바라며

                                이는 하향식 중앙의 사업명칭이나 정권 교체 동시에 소멸하는 사업으로  중앙의

                                하위 조례에 의한  지속적이지 못한 방향을 우려하는 것입니다

 

                             #, 전국이 사회적경제 의 고민을 동시에 하고 있는 만큼 전북지역의 사회적  생태계의

                                구성이나 색갈은 어떻게 담는게 좋을지  다양한 지역 전문가들의 지속적 참여에

                                과거의 지역경제발전방향의 생산보다는  다양한 측면과 계층을 고려한 사회적 경제는

                                지금까지  전북이 살아왔던 지역경제 운용 방식의 특성을 담아  

                                판을 새롭게 하자는 것이기  때문이다.

 

                             #, 지금까지 광역도에서

                                 내려 주는 사업으로 진행 되는 전철이라면   다른 사업과 차이는 없다

                                 네트워크 라는  결합력으로 가기에는 멀다는것이다. 시작부터 책임성을 부여한 참여다

                                 해답은 기초 지자체의  참여가 성패의 여부이다  기초지자체가 이 경제 시스템의

                                 그릇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지속성이 있다는 것이다 

                                 기초지자체와의 기획의공유, 정책의 공유, 교육의 공유 , 사업의 공유,

                                 인재의 공유를 원류부터 고민해야 한다

 

                             #, 중앙의 지원 시스템도 적절히 활용한다면  전북의 사업 방향은 용어의 취사 선택에서

                                 차별화 한다면 어떨지 한다. 같은 사회적 경제라고 제시 하기 보다  이를테면

                                "지역자치와 자립을 위한 사회적 순환 경제"라고 한다면  타지역과 차별성이

                                 중앙의 설득력도 득으로 올수있음을 심사과정이나 논의 과정에 이슈화 하도록

                                 그리고 서민적 접근이 소박한 용어의 선택도  염두에 있길 바란다

 

                             #,  사회적 경제만이 살길인것으로  편협되지 않길 바란다,

                                 작년 브라질 리우에서 열렸던 지속가능발전 세계회의는

                                 2012년 이후 자본주의경제를 대체한 경제로 녹색경제를 표방하고 세계에

                                 권고 하고 있고  자본주의적 경제를 대신할

                                 방향성으로 제시 되는 만큼  성장과 기업유치 제일주의 지역경제를  성장제일이 아닌

                                "생태적 경제와 지속가능 경제, 사회적 경제,순환경제"의 배치를 고민하여

                                 전북과 지역경제가 패러다임의 혁신을 준비하는 시작이여야 한다 

 

                             #, 기존 기업의 자본경쟁적 경제분야에서 충돌되는 중간적

                                 역할에서   행정기관이  걸림적 역할에  경계를 지어 주어야 하며

                                 민간추진영역의 관여를 최소화 하는것  지나친 관여는 관치경제 로 갈수있다

                                 그간  NGO의 영역에서  새로운

                                 사회 변혁의 운동들을 다양하게 공공영역으로 담아가는 시기라면 

                                 행정이 NGO 처럼  일해야 하며  광역과 기초의 지원조직의  사업진행이 

                                 지역 거버넌스운영 관리 시스템으로 무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최종 문제는 시스템이다  컨베어 벨트는 필수다

                                  운용 방법을  한가지로 결론 짓지 말자 

                                  탄력적 조직운용은 기업의 생명이듯이  복수의 안을 지역 논의를 통하여 결론화를

                                  돌출해 내는 과정도  사회적 경제을 가는 묘미이며 기초 지자체의

                                  운용이 살아야 전북 광역이 산다는 것을 우선순위에서 잊지 말자는 것이다

 

                              #, 교육에서 대학의 전문가 과정 초중고 과정 의 미래세대 교육도 공감한다

                                 그러나 사회적 경제 최종 소비자는 시민이다  시장은 시민이 접근하지 않으면

                                  시장은 소멸한다 시민교육의 다양한 접근을 위한 민간영역의 활용화도 필요하다

                                  전북 사회적 경제의 새로운 접근은 그래도 지역과 업조에서 경쟁속에서 시작함을

                                  느리고 멀리가는 시각으로 추진되길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