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 환경성과지수
미 예일대 환경법.정책센터 및 컬럼비아대 국제지구과학정보센터가 공동으로
국가별 환경개선 성과를 평가하는 환경분야 종합지수로서 2년마다
WEF를 통해 발표한 자료들을
알아볼수 있는 곳이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살다가
환경부 블로그 기자단을 하면서
환경성과지수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환경에 대한 관심을 좀 더 갖고
주부로써 가정에서 환경개선을 위해서 할수 있는
일들을 찾아서 실천 해 보는것이
EPI 지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미지 출처 : http://www.epi2010.yale.edu
전세계적으로 환경개선에 대한 마음가짐을 가질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지구 환경에 대한 변화로 찾아오는 피해사례가 많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환경개선에 대한 성과지수는 환경에
대한 마음가짐을 다시 한번 짚어보는 시점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죠.
우리나라가 132개국 중 43위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2010년 EPI 순위(94위)보다 51계단 상승한것은
특히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Trend(개선추세) 평가에서는 우리나라가 전체 13위의 높은 순위로 나타나,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의 성과가 얼마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해 주었다.
지구환경변화로 인하여 피해 사례가 점점 늘어나는 것을 뉴스보도를 보면서 환경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린계열의 색상으로 표시된 나라들이 EPI 평가 결과가 좋은 나라라고 할수 있겠죠.
▣ 2012년 EPI 평가 결과
EPI
순위 |
국가명 |
트렌드EPI
순위 |
EPI
순위 |
국가명 |
트렌드EPI
순위 |
EPI
순위 |
국가명 |
트렌드EPI
순위 |
1 |
스위스 |
89 |
45 |
헝가리 |
18 |
89 |
모잠비크 |
102 |
2 |
라트비아 |
1 |
46 |
우루과이 |
115 |
90 |
앙고르 |
6 |
3 |
노르웨이 |
84 |
47 |
조지아 |
68 |
91 |
가나 |
28 |
4 |
룩셈부르크 |
106 |
48 |
호주 |
79 |
92 |
콩고 민주공화국 |
83 |
5 |
코스타리카 |
113 |
49 |
미국 |
77 |
93 |
아르메니아 |
49 |
6 |
프랑스 |
19 |
50 |
아르헨티나 |
112 |
94 |
레바논 |
91 |
7 |
오스트리아 |
71 |
51 |
쿠바 |
101 |
95 |
콩고 |
99 |
8 |
이탈리아 |
12 |
52 |
싱가폴 |
36 |
96 |
트리니다드 & 토바고 |
114 |
9 |
영국 |
20 |
53 |
불가리아 |
16 |
97 |
마케도니아 |
75 |
9 |
스웨덴 |
63 |
54 |
에스토니아 |
128 |
98 |
세네갈 |
39 |
11 |
독일 |
56 |
55 |
스리랑카 |
11 |
99 |
튀니지 |
40 |
12 |
슬로바키아 |
7 |
56 |
베네수엘라 |
85 |
100 |
카타르 |
121 |
13 |
아이슬란드 |
64 |
57 |
잠비아 |
48 |
101 |
키르기스스탄 |
127 |
14 |
뉴질랜드 |
50 |
58 |
칠레 |
117 |
102 |
우크라이나 |
82 |
15 |
알바니아 |
4 |
59 |
캄보디아 |
44 |
103 |
세르비아 |
109 |
16 |
네델란드 |
92 |
60 |
이집트 |
5 |
104 |
수단 |
94 |
17 |
리투아니아 |
104 |
61 |
이스라엘 |
78 |
105 |
모로코 |
37 |
18 |
체코 |
25 |
62 |
볼리비아 |
122 |
106 |
러시아 |
132 |
19 |
핀란드 |
54 |
63 |
자메이카 |
53 |
107 |
몽골 |
54 |
20 |
크로아티아 |
74 |
64 |
타자니아 |
93 |
108 |
몰도바 |
67 |
21 |
덴마크 |
45 |
65 |
벨라루스 |
40 |
109 |
터키 |
17 |
22 |
폴란드 |
107 |
66 |
보츠와나 |
21 |
110 |
오만 |
80 |
23 |
일본 |
60 |
67 |
코트디부아르 |
42 |
111 |
아제르바이잔 |
2 |
24 |
벨기에 |
9 |
68 |
짐바브웨 |
87 |
112 |
카메룬 |
110 |
25 |
말레이시아 |
33 |
69 |
미얀마 |
47 |
113 |
시리아 |
62 |
26 |
브루나이 |
119 |
70 |
에티오피아 |
70 |
114 |
이란 |
118 |
27 |
콜롬비아 |
34 |
71 |
온두라스 |
86 |
115 |
방글라데시 |
32 |
28 |
슬로베니아 |
51 |
72 |
도미니카 공화국 |
88 |
116 |
중국 |
100 |
29 |
타이완 |
34 |
73 |
파라과이 |
46 |
117 |
요르단 |
76 |
30 |
브라질 |
23 |
74 |
인도네시아 |
66 |
118 |
아이티 |
111 |
31 |
에콰도르 |
65 |
75 |
엘살바도르 |
108 |
119 |
나이지리아 |
59 |
32 |
스페인 |
30 |
76 |
과테말라 |
31 |
120 |
파키스탄 |
72 |
33 |
그리스 |
81 |
77 |
아랍에미리히트 공화국 |
27 |
121 |
타지키스탄 |
38 |
34 |
태국 |
10 |
78 |
나미비아 |
98 |
122 |
에리트레아 |
26 |
35 |
니카라과 |
15 |
79 |
베트남 |
73 |
123 |
리비아 |
61 |
36 |
아일랜드 |
8 |
80 |
베냉 |
120 |
124 |
보스니아 |
129 |
37 |
캐나다 |
52 |
81 |
페루 |
96 |
125 |
인도 |
95 |
38 |
네팔 |
14 |
82 |
사우디아라비아 |
130 |
126 |
쿠웨이트 |
131 |
39 |
파나마 |
103 |
83 |
케냐 |
105 |
127 |
예멘 |
29 |
40 |
가봉 |
57 |
84 |
멕시코 |
22 |
128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24 |
41 |
포르투갈 |
24 |
85 |
토고 |
90 |
129 |
카자흐스탄 |
126 |
42 |
필리핀 |
43 |
86 |
알제리 |
58 |
130 |
우즈베키스탄 |
69 |
43 |
한국 |
13 |
87 |
몰타 |
97 |
131 |
투르크메니스탄 |
123 |
44 |
키프로스 |
116 |
88 |
루마니아 |
3 |
132 |
이라크 |
125 |
세계경제포럼에서 각 국의 환경성과지수(EPI)를 발표 우리나라 환경성과지수 51계단 상승한
요인들을 살펴보니...
▶ 10년보다 순위가 대폭 상승한 원인
물 위생 : 68->1위
식수 접근성 :77->50위
환경성질병부담 : 37->23위
1인당 SO2 배출량 : 58위
GDP당 SO2 배출량 : 17위
▶EPI 순위가 낮은것
농업보조금 : 120위
1인당 온실가스배출량 :116위
신재생에너지 : 110위
국토면적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은 열악한 환경에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석유,가스량은 줄어가고
온실가스배출량은 증가 하다보니 자연적으로 농업에 투자하는 비율이 적었던것은 결국 EPI순위를 낮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을 했다고 봅니다.
EPI순위가 낮은 분야에 많은 투자와 각자 개인이 감당해야 할 1인당 온실가스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환경부 8기 블로그 기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