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
대한민국의 2012년은 "사회적경제" 싹틔운 원년 희망제작소는 2012년을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의 원년으로 보고, 사회의 다섯가지 변화를 발표했다. 열쇳말을 통해 확인해보자. |
한겨레뉴스 |
|
1% 승자 독식이 아닌, 99%의 삶을 위한 경제, "사회적경제" 왜 '사회적경제'인가? 정상훈 희망제작소 사회적경제 센터장이 말하는 저성장 시대의 대안으로써 사회적경제를 알아보자. |
경향신문 |
|
경쟁이 아닌 협동의 성공모델,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은 아직까지 부각되지 않았을 뿐 협동의 성공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사회적경제 정책 지원과 함께 사회적기업은 더욱 혁신에 나설 필요가 있다. |
한겨레뉴스 |
|
새정부가 "사회적경제펀드"를 조성해야 하는 이유 '충남발전연구원'의 박진도 원장과 '서울사회적경제네트 워크'의 송경용 이사장은 대담을 통해 사회적경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자생적 성장을 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부와 민간이 함께 '사회적경제펀드'를 조성하고, 민관협력사업 에서 시민의 참여를 확산시켜야 한다. |
한겨레뉴스 |
|
"사회적경제" 생태계 갖춰야 복지사회 희망 있다 올해 본격화되는 협동조합에 대해 전문가들은 공통적인 과제를 제시한다. '사회적경제'를 국가정책 어젠다로 삼아 적극적으로 정책과 금융 지원을 하고, 협동조합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
한겨레뉴스 |
|
성장경제에서 사회적 경제로의 전환을 준비하라 성장 위주의 경제가 끝나가고 있다. 기존의 시장경제는 단기적 이윤을 창출하지만, 사회적경제는 '함께 만들어 나가는 시장'을 추구한다. 선진국의 사례를 적용하여 한국 에서도 사회적경제를 국민총생산의 5% 수준까지 성장시킬 필요가 있다. |
경향신문 |
|
"사회적기업 2.0시대에 필요한 것은?" 내년부터 '제2차 사회적기업육성 기본계획'이 시행된다. 사회적기업가는 정부의 지원과 상관없이 '기업가' 정신을 가져야 한다. 또한 그 가운데 기업의 소셜미션이 중심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
아시아경제 |
|
사회적경제로 도시재생에 성공한, 프랑스 "릴" 프랑스의 릴 광역시는 쇠락해가던 탄광촌이 있었던 공업 도시이다.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인프라를 조성하고 엄격한 기준을 통해 육성하면서 사회적경제 도시로 변화하였다. 그 결과, 경제위기 속에서도 사회적경제 일자리가 6.6% 증가 하고 각종 사회투자기금 유치에도 성공하고 있다. |
머니투데이 |
지역화폐 |
지역화폐 "성남누리", 준비를 끝내다 작년 12월 27일, 지역화폐 '성남누리'는 사회적협동조합 설립과 본격적인 유통을 선언했다. 이번에 발행한 지폐는 가맹점에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차액은 공익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지역화폐의 준비과정을 살펴보자. |
아시아 뉴스통신 |
협동조합 |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다양한 협동조합 사례 작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 후 여러 분야에서 협동 조합이 설립되었다. 정부는 향후 5년 내에 취업자 수가 4만 ~5만명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취약한 자금력 지원책과 법률 보완이 필요하다. |
경향신문 |
해외동향 |
[협동조합] 협동조합 학교가 교육의 새로운 답이 될 수 있을까? 현재 영국에서는 협동조합 학교들을 중심으로 교육 시스템의 본질을 바꾸기 위한 개혁이 진행 중이다. 협동조합 학교는 일반적인 협동조합의 가치를 공유하는 조직이며, 학부모, 학생, 교사, 지역사회와 같은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협력을 중시하는 커리큘럼과 교육학을 따른다는 몇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협동조합의 기본 원리들을 '지역협력 협약'이라는 법적인 틀 안에서 실천해가는 학교들이 늘어 나고 있으며, 이러한 학교들의 전국적 네트워크인 'the Schools Co-operative Society'가 형성되었다. 2012년 여름을 기점으로 약 300여개의 학교가 협동조합 트러스트나 협동조합 아카데미에 속해 있으며, 이러한 학교들은 분명한 가치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교육 환경과 시스템에 대한 다양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Independent Labour Publications |
|
[사회적경제] 경제 위기 속에서도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스페인 스페인의 재정위기 속에서 새로운 방식의 사회혁신과 사회적 비즈니스가 깊게 뿌리내리고 있다. 청년 실업,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연금 독립 등과 같은 중대한 사회적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풀뿌리 단위의 새로운 경제적 시도들이 이뤄 지고 있는데, 크게 세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먼저, 협동조합 역할 및 효과에 대한 인식의 확산이다. 현재 스페인의 협동조합은 22,000여개 정도로, 통계기관에 따르면 120만개의 직간접 일자리를 창출하고, 600억 유로 규모의 수익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최근 주거,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동조합들이 형성되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둘째, 대학을 중심으로 젊은 사회적기업가들을 지원하는 새로운 파트너십이 구축되고 있다. 전문 교육기관들은 청년들이 사회적 비즈니스를 개발하고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 멘토쉽을 제공한다. 셋째, 사회혁신을 위한 협력의 공간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혁신가들이 서로 만나고 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사회혁신의 공간들은 마드리드, 빌바오, 바르셀로나와 같은 대도시 뿐만 아니라 지역의 작은 도시들을 중심으로도 퍼져 나가고 있다. 이러한 세가지 주요한 움직임들이 스페인의 새로운 청사진을 만드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The Guardi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