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 묘포장 '전북 혁신공간'으로 재개발
도, 혁신도시 옆 완주 이서 묘포장 활용방안 본격 검토
제2혁신도시, 의료단지, 인쇄단지, 생태공간 등 떠올라
축구장 29배 넓이로 빠르면 올 연말 활용방향 결정키로
기사 작성: 정성학 - 2020년 07월 23일 18시30분
23일 전북도가 전북연구원에서 주최한 정책 토론회 참석자들이 도립 이서 묘포장 활용방안을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사진제공= 전북도
빠르면 올 연말 전북도립 이서 묘포장 재개발 방안이 결정될 전망이다. 기본적인 방향성은 ‘전북 혁신공간’으로 정해졌다.
완주군 이서면에 있는 묘포장은 축구장 29배 넓이인 약 21만㎡에 달한다. 그동안 산림 가꾸기용 묘목을 키우고 병해충 시험연구 등에 활용됐지만 현재는 그 용도를 다해 재활용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주변에는 공공기관이 집적화된 전북혁신도시, 전래동화 콩쥐팥쥐전 탄생지로 잘 알려진 완주 이서 앵곡마을과 김제 금구 둔산마을 등이 있다.
교통여건 또한 나쁘지 않다. 호남고속도로 서전주 나들목과 4㎞가량 떨어졌고, 현재 공사중인 새만금 전주간 고속도로 분기점도 들어설 예정이다.
전북도는 그 활용방안을 본격 모색하겠다며 23일 전북연구원에서 최용범 행정부지사 주재로 정책 토론회를 갖고 각계 고견을 청취했다.
이 자리는
김택천 강살리기추진단 이사장,
송해안 전주대 교수,
황태규 우석대 교수
이정현 환경운동연합 사무부총장,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대표,
성창엽 완주군 도시재생지원센터장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전북도는 앞으로도 몇 차례 더 이 같은 토론회 등을 거쳐 그 활용방안을 연내 결정하겠다는 계획이다.
최 부지사는 “이서 묘포장의 우수한 접근성과 잠재적 가치를 최대한 활용해 전북 대도약을 위한 혁신공간으로 만들었으면 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라며 “도민들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최적의 활용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앞서 연구용역 등을 통해서도 다양한 재개발 방안을 검토해왔다.
대표적으론 수도권 공공기관 추가 이전과 연계한 제2혁신도시, 고령사회에 대응한 장수복지 의료클러스터, 출판 인쇄산업으로 특화된 전북판 북시티, 반려식물 시장 확대에 맞춰 체험형 애완식물 육묘장이나 도심형 힐링공원, 콩쥐팥쥐 탄생지란 점을 활용한 전래동화 테마파크 등이다.
최근 들어선 메르스와 코로나19 등 잇단 감염병 파동을 교훈삼아 생태문명의 중요성을 알릴 상징적 공간, 즉 랜드마크를 조성하자는 안도 떠올랐다.
/정성학 기자 csh@sjbnews.com
등록 2020-07-23 17:25:37 | 수정 2020-07-23 17:26:28
20만㎡ 규모 이서묘포장 활용방안 논의 본격화
학계·시민사회 전문가 참여 부지 활용방안 정책토론회 열려
지리적 특성 및 사회변화 검토, 최적의 활용방안 모색 노력 계속
[전주=뉴시스] 23일 전북연구원 컨퍼런스홀에서 진행된 ‘이서묘포장 부지 활용방안 정책토론회’ 모습. photo@newsis.com |
[전주=뉴시스] 김민수 기자 = 20만㎡ 규모의 전북 이서 묘포장 부지 활용방안을 두고 도내 학계와 시민사회단체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댄 가운데 미래적, 생태적 공간으로 재탄생해야 한다는 데 중지를 모았다.
전북도와 전북연구원은 23일 연구원 컨퍼런스홀에서 이서 묘포장 부지를 전북 대도약을 위한 새로운 내발적 혁신성장 거점 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공감 아래 ‘이서묘포장 부지 활용방안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김택천 전라북도강살리기추진단 이사장
송해안 전주대 교수,
허문경 전주대 교수,
황태규 우석대 교수,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 대표,
성창엽 완주군 도시재생지원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이서 묘포장은 완주군 이서면에 위치한 20만㎡ 면적의 도유지로 유실수·조경수 묘목 생산·보급 기능이 민간으로 이전함에 따라 전북도는 해당 부지의 최적 활용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날 정책토론회에서는 그동안 검토해온 이서 묘포장 활용방안 중 ▲혁신도시 시즌2와 연계해 기관 유치 과정에 활용하는 방안 ▲고령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장수·복지 의료클러스터’ 조성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 ▲남부지방의 출판과 인쇄중심의 산업클러스터로서 ‘책 도시(Book City)’ 조성 방안 ▲인간·기술·자연이 조화되는 지속가능 사회를 위한 혁신실험·교육공간 등 ‘생태문명 가치 구현 공간’ 조성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주제발표를 맡은 전북연구원 황영모 연구위원은 각각의 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장단점을 검토하면서 “도심권에 인접한 이서 묘포장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할 때 ‘공간의 사회적 편익 극대화’를 위한 활용방안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 등 사회적 변화에 대해 지역사회가 대응력을 높이는 방안으로써 이서 묘포장 공간을 ‘생태문명의 혁신거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토론회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지역사회와 전라북도 여건을 고려할 때 전통적인 공간 활용과 개발방식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활용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 대표는 “퍼머컬쳐(permanent+culture) 방식의 혁신공간 재생을 통해 문명의 생태화를 선도하자”고 제안했다.
최용범 전북도 행정부지사는 “이서 묘포장의 우수한 접근성과 잠재적 가치를 최대한 활용해 전라북도 대도약을 위한 혁신공간으로 만들어 가자”며 “도민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최적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eo@newsis.com
커뮤니티비즈니스재단 ( 이사장 김택천) 치매어르신 위치찾는 배회감지기 완주경찰서에 20대 전달 (0) | 2020.08.23 |
---|---|
고령친화 고산 마을만들기 준비위원회 에서 (0) | 2020.08.10 |
완주시니어클럽‧전북엽도협회, 완주군(박성일군수). 커뮤니티비지니스재단(김택천이사장)에 나눔 (0) | 2020.07.15 |
현대자동차, 완주군성인문해 진달래학교 지원 2천만원기부 (0) | 2020.07.08 |
나이 들수록 행복해지려면?-- 국민총행복전환포럼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