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의 글
국토연구원 원장 김경환
발간의 글
동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고이즈미 히데키
여는글
지속가능한 우리마을만들기를 향한 연대와 협동의 노력
한국마을만들기지원센터협의회 정책국장 류태희
마을을 둘러싼 동향과 이슈
변화하는 지형, 새로운 전환을 꿈꾸는 우리 마을만들기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새로운 전환을 꿈꾸며
류태희 한국마을만들기지원센터협의회 정책국장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에서 민간지원조직의 역할과 과제
한승욱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의원
안전행정부 마을관련정책의 동향과 시사점
전대욱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최인수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마을만들기의 제도화(制度化), 제도화(制度禍)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의원
‘동네 민주주의’는 느릿느릿
손경년 부천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장
도시재생 네트워크
지역중심・주민주도의 도시재생을 위한 마을로부터의 경험과 생각
‘사회적경제조직 네트워크’에 기반한 주거재생의 전략으로서 혁신클러스터
이주원 주식회사 두꺼비하우징 대표이사
주민주도의 근린생활형 도시재생 방안과 네트워크의 필요성
안정희 도시재생주거환경개선 시민연대 대표
민간협력을 통한 전주시 마을 만들기 | 전주마을재생코디네이터협의회를 중심으로
권대한 전주시정발전연구소 연구원
마을네트워크
연대의 협동의 재구성, 지역 마을만들기의 변화와 시나리오
우리 마을만들기를 위한 지역 저마다의 고민과 생각
류태희 한국마을만들기지원센터협의회 정책국장
마을만들기와 네트워크 | 안산지역 마을만들기 운동사례를 중심으로
류홍번 안산 YMCA 사무총장
‘생태교통 수원 2013’을 통해 본 마을의 거점・관계・지향에 대한 고민과 생각
고경아 장풍마주넷 마을사무소
인천 마을만들기, 네트워크의 경험과 생각
이혜경 인천시 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 사무국장
새로운 관계의 출발은 어디서 오는가 | 일본 NPO법인 COCOROOM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진애 일본희망제작소 인턴연구원
마을과 마을의 네트워크는 가능한가 | 진안군마을만들기지구협의외 경험을 중심으로
심수진 진안군마을만들기지구협의회 사무국장
관계의 연결, 지역의 재구성
서울지역 마을 네트워크의 경험과 현재, 전망
마을만들기 네트워크 전개과정과 그 의미 |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성균 성결대학교 지연사회과학부
마을을 지속가능케 하라! ‘관계의 연결’ | 서울시 마을공동체만들기에서의 네트워크 과정
하경환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마을생태계지원단장
또 한 번, 네트워크
김정찬 네트워크 고리 대표
성미산마을 경험으로 본 ‘지역 재구성’의 가능성
위성남 마포마을넷 운영위원장
사회적경제와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의 통합, 성북구의 실험
남철관 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장
마을을 만난 청년, 청년을 품은 마을
사회적 주체로 성장하는 학습과 활동의 장으로서 마을
‘청년’은 변화와 혁신의 주체인가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
청년과 마을에 대한 긍정적 착가
최융선 수원 KYC 대표
마을, 마을만들기 그리고 청년
마성헌 마을아놀자 대표
또 한번의 전환을 향하여
지속가능한 우리 마을만들기를 향한 고민과 생각
사이 넘어, 결핍은 네트워크로 메운다
류태희 한국마을만들기지원센터협의회 정책국장
우리 마을만들기의 변화를 위한 몇 가지 생각
김택천 전북의제21추진협의회 상임의장
시민적 공공영역(Public Sphere) 형성을 위한 또 하나의 제언, 공동체・공동체적 관계망
전은이 고베대학교대학원 학술추진연구원
마을만들기를 둘러싼 네트워크의 의의
고이즈미 히데키 동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조미향 동경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과정
마을만들기의 네트워크, 그 특성과 방향
구자인 진안군마을만들기지원센터 센터장
닫는 글
마을만들기, 결핍은 네트워크로 메운다
류태희 한국마을만들기지원센터협의회 정책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