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담 당
상임대표 : 김택천
사무국장 : 이은성
연락처
063-231-4455
fax:063-244-5252
이메일
forestjb@hanmail.net
수 신: 각 언론사
발 신: (사)전북생명의숲
보도시점 : 2018. 6. 5(화) 조간부터
내 용: ‘환경의 날’을 맞아 시민에게 제안하는 환경실천활동 제안 보도 협조요청
제23회 세계환경의 날!
미래세대에 물려 줄 환경문제! 이제는 시민이 행동해야 합니다!
❒ 매년 6월 5일은 국제사회가 지정한 세계 환경의 날이다. 1972년 6월 스웨덴에서 열린 제27차 유엔인간환경 회의에서 고통받는 지구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 5일을 세계 환경의 날로 제정한 것이다. 우리나라도 1996년 6월 5일을 법정기념일인 ‘환경의 날’로 제정하였고, 이 날이면 여러 지역에서 환경의 날 행사를 갖는다.
❒ 이렇듯 환경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음에도 화석연료의 무분별한 사용과, 한계치를 초과한 많은 양의 쓰레기 배출 등으로 물과 땅은 오염되고 있고. 그로 인해 지구의 온도는 매년 올라가고 있으며, 북극의 빙하는 녹아 해수면을 상승시키고, 대륙의 사막화를 가속화 하는 등 많은 기후·환경 문제를 낳고 있다
❒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는 이제 시민의 힘이 아니면 해결 할 수 없다. 시민들의 작은 실천 하나가 지구를 살리는 힘이 된다. 전북생명의숲에서는 ‘환경의 날’을 맞아 시민들이 직접 실천할 수 있는 일상 속 환경실천활동 다섯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플라스틱을 포함한 일회용품 사용을 자제해야한다.
올해 세계 환경의 날의 슬로건은 ‘플라스틱 오염으로부터 탈출’이다.
석유를 원료로 하는 플라스틱은 현재 우리 생활 속에서 아주 편리하게 쓰여지고 있다. 하지만 이 플라스틱은 자연적으로 썩는데만 무려 350~500년이 걸린다고 하니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야 한다.
둘째, 나무를 많이 심어야 한다
요즘 길을 걷다 보면 미세먼지 때문에 마스크를 쓰고 걷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마스크는 미세먼지를 막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나무 한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미세먼지는 35.7g. 30평형 아파트의 미세먼지 35.7g을 흡수하려면 2시간 동안 공기청정기 1983대가 필요하다고 한다. 또한 숲은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높아지는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도 한다고 하니 도시숲 조성과 나무심기는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셋째, 가까운 거리는 자동차를 이용하지말고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해야 한다
2018년 3월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주시의 차량 등록 대수는 약 30만대라고 한다. 전주시 인구가 약 60만이니 2명당 1대꼴로 자동차를 이용하고 있다. 자동차 이용으로 인한 배기가스는 대기오염의 주요인이 되고, 오존층을 파괴하는 CFCs를 냉방장치에 사용하며, 이는 처리가 곤란한 폐기물이 된다고 한니, 환경을 위해서 건강에도 좋고, 다이어트에 좋은 걷기와 자전거를 이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
넷째, 에코백 사용을 생활화 해야한다.
비닐봉투 대신 에코백을 사용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하루만 1회용 비닐봉투를 안 쓴다면 하루 동안 사용되는 약 4천 1백만 장의 1회용 비닐봉투를 절약할 수 있고, 이는 5천3백 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효과를 낳는다고 하니 환경을 위해서 에코백 사용을 생활화 하자!
다섯째, 분리수거 후 쓰레기를 배출해야 한다.
주변에 보면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으로 분리수거도 하지 않은 채 버려진 쓰레기를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분리수거만 잘 해도 환경 보호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흔히 음식물 쓰레기로 착각하기 쉬운 닭 뼈, 생선 뼈, 어패류, 달걀껍질 등은 모두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또한 유통기한이 지난 약의 경우 일반 쓰레기통에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의 조제약에는 각종 화학 물질이 있어, 약을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토양오염은 물론 박테리아 같은 세균과 바이러스가 생겨날 수 있으므로 주변 약국에 있는 의약품 분리수거함에 배출해야 한다.
❒ 6월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시민 스스로가 환경을 살리는 작은 실천을 통해 환경에 대한 고마움을 알고 미래세대들에게 깨끗한 환경을 물려 줄 수 있도록 이제라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전북은행, 전북생명의숲 삼천동도시대학,그린트러스트 ‘2018 삼천공원의 친구 되는 날’ 환경봉사활동 (0) | 2018.11.10 |
---|---|
제9기 전북숲해설가 교육 수료식에서 ---김 택 천 (0) | 2018.10.20 |
도시공원일몰제 Ep.6_생명의숲이 제안하는 세가지 해결안 (0) | 2018.04.18 |
회원소풍DAY-한반도 숲을 지키기 위한 씨앗심기 (0) | 2018.04.18 |
2018년도 제1차 (총48차) 전북생명의숲 이사회 회의자료 및 회의록 (0) | 2018.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