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짝별 잡아먹는 백색왜성 발견 '동족상잔'

본문

 

 

 

짝별 잡아먹는 백색왜성 발견 '동족상잔'

 

서울신문|입력2015.07.18. 10:20|수정2015.07.18. 10:28

[서울신문 나우뉴스]

지구에서 730광년쯤 떨어진 쌍성계에서 짝별의 질량을 빨아들이는

초고밀도의 백색왜성이 발견됐다고 천문학자들이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8월 유럽우주국(ESA) 가이아 위성이 발견한 이 쌍성계는 ‘Gaia14aae’로 명명됐다.

당시 이 항성계는 단 하루 동안 지금보다 5배 이상 밝게 빛났기에 발견될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이런 현상은 백색왜성이

 다른 쪽보다 큰 수반별로 가스를 빨아들였기에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고온에서 초고밀도의 백색왜성은 중력 효과도 매우 크므로 짝별이

 거대한 풍선처럼 크게 부풀기를 계속해 별 사이 거리도 좁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짝별의 부피는 태양의 약 125배이지만, 백색왜성의 것은 지구와 거의 같다.

이는 열기구와 구슬 정도의 차이지만, 질량 면에서는

 짝별이 가벼워 백색왜성의 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앞으로 이 백색왜성이 짝별을 삼켜버릴지 아니면 초신성 폭발의 단계로 접어들지는

과학자들도 알 수 없다고 한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영국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MNRAS)에 게재될 예정이다.

사진=마리사 그로브/케임브리지 천문학연구소

 

윤태희 기자th20022@seoul.co.kr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