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별 잡아먹는 백색왜성 발견 '동족상잔'
서울신문입력2015.07.18. 10:20수정2015.07.18. 10:28
[서울신문 나우뉴스]
지구에서 730광년쯤 떨어진 쌍성계에서 짝별의 질량을 빨아들이는
초고밀도의 백색왜성이 발견됐다고 천문학자들이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8월 유럽우주국(ESA) 가이아 위성이 발견한 이 쌍성계는 ‘Gaia14aae’로 명명됐다.
당시 이 항성계는 단 하루 동안 지금보다 5배 이상 밝게 빛났기에 발견될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이런 현상은 백색왜성이
다른 쪽보다 큰 수반별로 가스를 빨아들였기에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고온에서 초고밀도의 백색왜성은 중력 효과도 매우 크므로 짝별이
거대한 풍선처럼 크게 부풀기를 계속해 별 사이 거리도 좁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짝별의 부피는 태양의 약 125배이지만, 백색왜성의 것은 지구와 거의 같다.
이는 열기구와 구슬 정도의 차이지만, 질량 면에서는
짝별이 가벼워 백색왜성의 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앞으로 이 백색왜성이 짝별을 삼켜버릴지 아니면 초신성 폭발의 단계로 접어들지는
과학자들도 알 수 없다고 한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영국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MNRAS)에 게재될 예정이다.
사진=마리사 그로브/케임브리지 천문학연구소
윤태희 기자th20022@seoul.co.kr
꽃댕강나무에 앉은 호랑나비 더위 보다 미모를 찾아서 -- (0) | 2015.07.19 |
---|---|
온난화 때문에 땅이 솟는다고?, 아이슬란드에서 (0) | 2015.07.19 |
"명왕성에 물 발견"..'생명체'의 가능성은? (0) | 2015.07.18 |
6000조원짜리 '백금 소행성' 지구로..최근접한다 (0) | 2015.07.18 |
노원구 환경뮤지컬 '꿀벌들이 사라져요' 공연 (0) | 201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