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로컬푸드의 기본 (Local food)

본문

 

 

 

우리는 매일 식탁에 오르는 음식이 어디서 어떻게 생산되고,

 어떤 경로를 거쳐, 어떤 방법으로 이동해 온 것인지 잘 모르고 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가 수입하는

칠레산 포도는 약 2만㎞,

미국 켈리포니아산 오렌지는 약 9000㎞를 달려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렇게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과일을 보관하고,

신선도 유지를 위한 조치가 과연 우리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개방화로 인해 농산물의 해외의존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한 로컬푸드(Local Food)운동이 활성화 되고 있다.

‘로컬푸드 운동’이란

 지역에서 생산된 먹을거리(국가기준마다 다르지만 흔히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말함)를

 그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운동으로 생산자(농업인)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먹을거리의 신선도와 안정성을 확보하고,

 중간 유통마진이 줄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돌아가게 함은,

물론 운송거리가 짧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 지구 온난화 방지에도 기여를 한다.

미국이나 영국, 캐나다, 이탈리아, 일본 등의 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로컬푸드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탈리아의 슬로푸드(Slow Food),

네덜란드의 그린 케어 팜(Green Care Farm),

미국의 100마일 다이어트운동,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의 경우는 2008년 전북의 완주군이 로컬푸드 운동을 정책적으로 도입했으며

 생산자·소비자·지자체가 협업해 상생하는 로컬푸드의 성공사례로 꼽히는 곳으로

 국내는 물론, 아시아 여러 나라의 벤치마킹이 되고 있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충남 홍성에서도 홍동농협에서

이미 로컬푸드 매장을 운영 중에 있으며 홍성농협 등에서도

 매장 오픈을 준비하고 있는 등 점차 활성화 되고 있다.

최근 정부, 지자체, 민간의 협력으로 로컬푸드 상설 판매장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농협의 하나로 클럽과 하나로 마트 내에 로컬푸드 매장을 별도로

 확보하여 지역 농산물을 판매하는 곳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일이다.

하지만 한국형 로컬푸드 운동이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량다품목의 농산물을

연중 기획 생산 할 수 있는 능력과 농업인의 조직화가 필요하며

도시지역에 로컬푸드 직매장을 점차 확대하고

생산농가와 소비자간 직거래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자유무역협정(FTA)로

 가득이나 어려운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어 우리농업과 농업인을 보호하고

 국민에게는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데 로컬푸드 운동이 새로운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한국형 로컬푸드’를 정착하자

               김재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최근 ‘로컬 푸드(Local Food)’운동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펼쳐진다. 로컬푸드 운동은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고 지역에서 직접 구매해 소비하는 운동이다. 로컬푸드는 다양한 형태로 이뤄진다. 농산물 직거래 유형의 하나로 추진되기도 하고 친환경 농산물 소비차원이나 농가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 목적으로 추진되기도 한다. 식생활 패턴 개선이라는 사회문화적 동기도 중요하다.

미셸 오바마 미국 대통령 영부인이 백악관에서 텃밭을 가꾸고 배추로 김치를 담가 인터넷에 올린다는 사실은 잘 알려진 이야기다. 직접 재배한 채소를 요리에 사용하는 것은 로컬푸드의 가장 기초적 유형이기도 하다. 백악관 텃밭에서 직접 재배한 블랙케일, 옐로페퍼, 가지, 브로콜리 등 50여종에 달하는 채소를 식탁에 올리면 초대받은 사람은 크게 감동할 것이다. 미셸 오바마 여사는 과거에도 로컬푸드 운동에 많은 관심을 보였는데 영부인이 된 후 더욱 적극적이라고 한다. 2012년에는 영부인 최초로 ‘아메리칸 그로운(American Grown)-백악관의 부엌 정원이 미국의 가족, 학교, 지역사회에 주는 영감’이라는 요리책을 펴내기도 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취임 이후 “당신의 농부를 알고, 당신의 먹거리를 알자”는 로컬푸드 정책을 펼쳐 왔다.

로컬푸드 운동은 이미 선진국에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웰빙 열풍에 기인해 로컬푸드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이 대표적이다.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활동’이라는 지산지소 운동은 여러 가지 성과를 내고 있다. 당초 지역 농산물 판매를 중심으로 추진했으나 최근에는 학교 급식, 도농 교류 확대, 관광산업 활성화 등으로 확대된다. 지역 기반의 식생활 문화 정착과 올바른 식습관 확립이라는 국민 인식 제고에도 성과가 있다. 이탈리아의 ‘슬로푸드(Slow Food) 운동’이나 미국의 ‘100마일 다이어트’ 운동도 크게 보면 로컬푸드 운동의 하나다. ‘슬로푸드 운동’은 1986년 이탈리아의 식생활잡지 편집자 카를로 페트리니가 시작했다. 간단히 햄버거나 프라이드치킨 같은 패스트푸드에 반대하는 식생활 운동이다. 슬로푸드 운동은 웰빙 열풍을 타고 국제적 식문화 운동으로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100마일 다이어트 운동’은 거주지 반경 100마일(약 160km) 내에서 생산된 지역 농산물을 소비하자는 캠페인이다. 대부분의 북미 사람들이 먹는 식재료가 생산지로부터 평균 1500마일(약 2400km)이나 떨어진 곳에서 장거리 수송을 통해 식탁에 도착한다.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 캐나다의 대도시 밴쿠버에 살던 한 부부가 1년 동안 ‘100마일 운동’을 시작해 캐나다는 물론 뉴욕 등 미국에서도 큰 호응을 얻었다.

로컬푸드는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우선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한다. 기존의 대량 소품종 생산농가 중심에서 소량 다품종 생산 농가로 판로가 확대된다. 영소농 및 여성농, 가족농, 귀농인들의 안정적 판로 확대로 안정적 소득이 확보된다. 장거리 이동이 필요치 않고 운송시간이 짧기 때문에 농산물의 신선도가 올라간다. 재배방식이나 보관방식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믿고 먹을 수 있다.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역 내로 운송하면 대형 마트로 운송하는 것보다 연료도 절약된다. 운송비, 물류비 절감으로 소비자는 싼 가격에, 생산농가는 제값 받고 농산물을 거래할 수 있다.

로컬푸드 운동은 이제 지역 농산물 소비 활성화와 농촌경제 활성화를 넘어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된다. 농업에 대한 인식 개선, 학교 급식 만족도 제고, 특산품 홍보 및 여행상품화 등 많은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우리나라도 로컬푸드 운동이 조금씩 자리 잡고 있다. 국제행사를 추진하고 지역 단위 캠페인이나 조직이 만들어지는 등 나름대로 뿌리를 내리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다. 다양한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우리 실정에 알맞은 ‘한국형 로컬푸드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본격적 개방화와 수급 불안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최근 농촌 실정이다. 로컬푸드는 농가에 직접 도움이 되고, 환경보호와 국민의식 개선에도 기여한다. 무엇보다 다가오는 남북통일 시대에 대비한 7000만 민족의 미래를 위해서도 시급하다.

 

============================================================================================

 

녹색도시와 안전한 먹거리 로컬푸드 운동| ·····…·

 

로컬푸드(Local Food)는 '지역식품'또는 '지역농산물' 이라는 단어로 만들어진 용어로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greenhouse gas)를 배출하는 운송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가급적 식품(또는 농산물)을 생산지에서 가까운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때로는 생산지와 소비지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국내의 경우 50km 이내, 미국의 경우 250km 이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 라고 정의하기도 하지만 거리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다.


로컬푸드(Local Food)와 푸드마일리지(Food Mileage)

로컬푸드는 운송거리를 짧게 줄일 수 있어, 운송 중에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줄여 환경을 보전함과 동시에, 식품의 영양과 신선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영국에서 시작된 로컬푸드운동(Local Food Movement)은 국민들이 로컬푸드를 소비하도록 권장하는 운동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민간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시민운동이다. 로컬푸드운동은 단순한 지역 먹거리 운동이 아니라 환경과 지역 생태계의 보전,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 지역의 고용창출과 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다. 로컬푸드는 농민이 도시민과 직접 거래하는 직거래 장터를 개설하거나, 생산자가 계약한 소비자에게 주 1회나 격주로 유정란, 두부, 콩나물, 채소, 곡류, 반찬류 등을 보내주는 '꾸러미 밥상' 등을 통해 실천하고 있으며, 로컬푸드를 학교 등에 단체급식으로 공급하기도 한다.

로컬푸드운동은 농촌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고 도시에서도 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있다. 우선 공공기관, 기업, 학교, 가정 등의 빈터나 옥상에 텃밭을 만들어 채소를 재배할 수 있고, 아파트에서도 베란다를 이용하여 텃밭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도시농업(Urban Agriculture)' 이라고 불리거나 '녹색도시(Green City)'라고 불리고 있다.
텃밭가꾸기를 통한 로컬푸드운동은 미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미국 대통령 영부인 미셸 오바마가 취임하자마자 백악관에 텃밭을 가꾸면서 미국 농무부를 중심으로 미국 전역에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각종 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자생적으로 로컬푸드를 위한 조직을 만들어 '꾸러미 밥상', '직거래 장터', '계약농업', '텃밭가꾸기' 등을 하고 있으며, 2009년에는 사단법인 로컬푸드운동본부가 발족하여 매년 서울시청 앞에서 시민들에게 옥상 텃밭을 위한 채소모종 나누기 캠페인을 하고 있고 로컬푸드 박람회, 세미나, 연구 등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로컬푸드에서는 푸드마일리지(Food Mileage)가 중요한데, 푸드마일리지는 농산물이 생산지로부터 생산, 운송, 유통 단계를 거쳐 소비자의 식탁에 이르는 과정을 계산한 거리이다. 이 거리를 기준으로 농산물이 운송하는 데에 따른 탄소발생량을 계산할 수 있어 농산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농산물이 배출한 탄소 발생량을 소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한 것을 탄소발자국이라고 하며 이를 소비자가 알 수 있도록 상품에 표기하는 것을 탄소라벨링(Carbon Labelling)이라고 부른다.


로컬푸드운동 실천 가이드

소비자로서 로컬푸드운동을 실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가급적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구매하는 것이다. 지역의 '직거래 장터' 에서 구매하거나 '꾸러미 밥상'을 농가로부터 정기적으로 공급받는 것이다. 보다 적극적인 방법은 공터나 옥상, 베란다 등에 텃밭을 가꾸어 직접 채소를 생산하여 소비하는 것이다. 다행히 최근 학교나 기관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옥상이나 베란다에 텃밭을 만들어 채소 등을 재배하는 비율이 늘고 있다. 또한 가급적 수입농산물을 먹지 않는 것도 중요한 로컬푸드운동 실천 방법이다. 수입농산물은 생산지인 외국에서부터 국내의 가정에 도달되기까지 배, 비행기, 트럭 등을 이용한 운송과정에서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에 나쁜 영향을 준다.
그 외에도 환경에 피해를 최소화하는 식품을 구입하여 소비하는 습관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녹색소비(Green Consumption)라고 부른다. 녹색소비 중 시민들이 쉽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탄소라벨링에 표시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확인하여 구매하는 것이다. 농산물이나 공산품에는 탄소라벨뿐 아니라 환경마크, 우수재활용인증마크 등 친환경상품을 확인할 수 있는 인증마크들이 있어 상품 구매 시 이러한 상품들을 적극적으로 구입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철에 생산되는 식품을 먹는 것이 중요하다.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식품은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해 난방을 하는 데 이때 비닐하우스의 난방은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수입한 식품은 장거리 운송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수입식품을 대체하기 위해 비닐하우스에서 농산물을 재배하는 것도 역시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되어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에 제철식품을 먹는 습관이 중요하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