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주간 브리프 (2014년 6월 제15호)
첨부파일 바로가기
![서울경제](http://www.si.re.kr/newsletterimg/title07_new.jpg) |
-
빅데이터 시장동향과 활용분야 확대 흐름 2011년 이후 빅데이터(Big
Data)는 ICT 업계의 기술담론을 넘어 산업의 중요한 경쟁우위 요소, 범세계적인 현안의 솔루션으로 주목받으며 세계 각국에서 많은 이목을
끌어왔다. 2012년 1월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 빅데이터 기술을 향후 국제개발의 가장 중요한 기술로 지목(World Economic
Forum, 2012)한 이래, 세계 주요 국가들은 빅데이터 관련 기술과 인력 확보, 시장 진흥을 ICT 정책의 주요 부분으로 채택했다. 우리
정부가 표방한 정부 3.0 비전에서도 국내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 구현’을 하겠다는 것이 주요한 내용으로 들어가
있다. |
![인포그래픽](http://www.si.re.kr/newsletterimg/title02_new.jpg) |
100년후 보물 서울의 미래유산, 어디에 얼마나 있나? |
![100년후 보물 서울의 미래유산, 어디에 얼마나 있나?](http://www.si.re.kr/sites/default/files/info_90_hp_news_0.jpg) |
서울시
미래유산이란 근현대 서울을 배경으로 시민들의 기억속에 남아 있는 사건이나 인물 또는 일상의 이야기가 담긴 유‧무형의 것으로 미래세대에게 전달할
만한 가치를 지닌 것이다. 2013년 서울시는 시민 공모를 통해 930건의 미래유산 예비후보를 수집한 후, 5개 분야에서 총 307건의
미래유산을 선정하였다. 주로 시민생활(88건)과 도시관리(82건) 분야에서 많이 선정되었으며, 도심권(중구(80건), 종로구(73건),
용산구(17건), 총 170건)에 많이 분포해 있다. |
![서울연구원](http://www.si.re.kr/newsletterimg/footer_logo.jpg) |
137-071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 길 57 (서초동) 57, Nambusunhwan-ro 340-gil, Seocho-gu, Seoul,
Korea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 |
본
메일은 발신전용입니다. 메일수신을 원치 안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해 주십시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