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지역네트워크공동사업 -
전주 도시공동체아카데미 계획(안)
□ 사업목적
◦ 마을만들기에 관심있는 도내 주민, 활동가, 학생 등을 대상으로 마을만들기 관련한 전
반적인 의미와 현안등을 공유하여 건강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추진 기반 구축 마련
◦ 도시재생, 마을기업, 마을만들기, 중간지원, 협동조합 등 다양한 현안과 정책등
자유롭게 상호 토론, 사례 공유, 교육 등 프로그램 운영으로 공동체 의식과 역량강화
추진
◦ 주민자치와 마을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역현안 공유 및 상시적인 논 의 구조를 정착시켜, 지역내 사회경제 틀 구축 유도
□ 사업개요
◦ 일 정 : 2013. 10월 10일(목) ~ 12월 19일(목) / 격주 목요일
◦ 장 소 : 전주 덕진자활 교육장
◦ 추진주체 : 전라북도 마을만들기협력센터, 전주 지역공동체네트워크
◦ 대 상 : 약40여명내외(공동체 사업에 관심있는 전주지역 주민, 학생, 활동가
추진 기관 및 단체 등)
◦ 주요내용
- 지역내 현안에 대한 인식과 대안 공유
- 다양한 공동체사업(마을만들기, 도시재생 포함) 이해
- 다양한 사례 공유 및 상호 토론 등
◦ 추진일정(2013. 8월 ~ 10월 / 교육 10월 ~ 12월)
- 사업기획 : 2013. 8월한
- 홍보 및 교육생모집 : 9월한
- 교육프로그램 운영 : 2013. 10월 ~ 12월
□ 세부사업내용
◦ 운영체계
- 주최 / 주관 : 전라북도/전라북도마을만들기협력센터
- 기획 및 운영 : (가칭)‘전주 지역공동체네트워크’ 구축·운영
- 강사구성안 : 사회적경제, 마을만들기, 도시재생 등 관련 전문강사, 현장/활동가
시민사회단체 등 다양한 강사진 구성
◦ 프로그램 계획(안) : 총6회(격주 목요일 19:00~21:30 / 10월~12월)
회차 |
일정 |
시간 |
주요내용 |
강사 |
비고 |
1 |
10.10(목) |
19:00~19:50 |
도시공동체사업 방향과 과제 |
김은희(도시연대) |
강의 |
19:50~20:30 |
마을만들기 거버넌스 의의와 실제 |
박훈 (전북도슬로시티담당) |
| ||
20:30~21:00 |
질의응답 및 토론 |
|
| ||
2 |
10.24(목) |
19:00~21:30 |
전주 도시공동체사업 사례 발표 -코디협,평화동 사례 |
전주도시재생코디회장 채옥정(학산복지관) |
|
전주평생학습센터 사례 |
전주평생학습센터장 |
| |||
전주도심재생포럼 추진방향 |
황태규 이사장 |
| |||
3 |
11.05(화) |
19:00~20:30 |
외부지역사례 -반송, 수원, 정읍 등 |
이근호센터장 김하생대표 등 |
사례발표 |
20:30~21:00 |
질의응답 및 토론 |
|
| ||
4 |
11.21(목) |
19:00~20:30 |
남부시장 그리고 동문거리 |
김병수 (이음대표) |
강의 |
20:30~21:00 |
질의응답 및 토론 |
|
| ||
5 |
12.05(목) |
19:00~21:00 |
현안과 대안 |
집단토론 |
토론 |
6 |
12.19(목) |
19:00~21:30 |
-시회적경제 관점에서 본 지역단위 및 사업플랫폼간 협력의 의미와 가치 -전주지역공동체네트워크 발족 논의 |
임경수(완주CB센터) 서성원(전주사회경제네트워크) 임경진(전북마을센터) 권대환(전주 시정연) |
집단 간담 |
※120~180분 프로그램 중 강의(발표)와 질의응답(토론)을 7:3정도 운영 예정이며,
상기 일정과 프로그램은 변동 가능합니다(참가자 의견 반영 포함)
전라북도 시,군 협동조합 현장 교육 (0) | 2013.09.29 |
---|---|
- 누리살이 귀촌학교 세부내용 - (0) | 2013.09.29 |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발전방향 (0) | 2013.09.29 |
전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10월중 행사안내 (0) | 2013.09.29 |
[제99호 사회적경제리포트] [세대공감 토크] 여럿이 함께하는 청춘 (2) (0) | 201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