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1회 한라 국제 환경 포럼 에서 국제 참여자 들과 --김택천

소나무맨의 경력 및 활동/여행, 행사

by 소나무맨 2012. 9. 20. 16:23

본문






“생명이 숨 쉬는 교육, 인간과 자연과의 교감” 

2007 제1회 제주국제환경교육포럼

Ⅰ 추진배경

제주도가 생물권보전지역(JIBS) 지정과 더불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됨에 따라
   환경기초 질서의식 결여, 개발과 보전의 갈등, 환경훼손 등 환경발전 저해요소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환경교육을 실시하여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를 실현코자 함
○ 우리나라의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 교육이 지난 20년 동안 질적, 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이지 못하고 대중 속에
파고드는
    데는 부족한 실정임
이러한 문제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UNESCO와 공동으로 제주 국제환경교육
    포럼을 개최함으로써 제주특별자치도민 역량강화와 청정제주 이미지를 대외적으로
    각인시켜 국제자유도시의 성공적 추진기반 마련
  <?XML:NAMESPACE PREFIX = O />

Ⅱ 행사개요

○ 일 시 : 2007. 11. 22(목) ~ 23(금) (2일간)
○ 장 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한화리조트
○ 주 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 주 관 : ICLEI, 제주특별자치도의제21협의회,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제주특별자치도 지속가능환경교육센터
○ 후 원 : 환경부
○ 참 석 : 200여명

포럼 참가비 : 없음
사전등록자에 한하여 숙식 제공
사전등록 마감 : 2007년 11월 20일(화) 오후 5시까지
사전등록 담당자 : 제주특별자치도의제21협의회 김치양 총무과장
   전화 : 064-748-1021 메일 : cj21@chol.com

참가신청서와 약도 내려받으로 가기
      

◈ 세부계획(안)

* 11월 22일(목요일)

10:00-10:30

등록

10:30-11:00

<개회식>
사회 : 권재효 제주특별자치도의제21협의회 사무처장
- 개회사 / 박행신 제주특별자치도의제21협의회 상임의장
- 환영사 / 진대식 ICLEI한국사무소 소장
- 격려사 / 김태환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축 사 / 이규용 환경부장관
- 축 사 / 양성언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11:00-13:00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교육>

좌장 : 최상철(서울대 명예교수)
< 발 표 >
․ J-A. Ferreira (Griffith 대학교 환경학부교수):
호주
Environmental Education in Australia (호주의 환경교육)
․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최돈형 한국교원대교수 )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교육

   (김택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총장)

< 토 론 >
- 윤명현(환경부 민간환경협력과장)
- 최광수(통영RCE 시민분과위원장)
- 최진하(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소장)

13:00-14:00

점심 및 휴식

14:00-16:00

< 지역의 환경활동과 환경교육>

좌장: 김태성(제주YMCA사무총장)
< 발 표 >
․ Charless L. Harper(Creighton University)
(Creighton대학교 사회학 교수):
미국
Environmental Education: Culture, Incentives, and Public Campaigns(환경교육: 문화, 인센티브 및 공공캠페인)
․ 환경교육센터 설립 및 활성화 방안(서주원 환경교육센터 소장)
․제주특별자치도의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김양보제주도환경정책과장)

< 토 론 >
- 김병립(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의원)
- 최순호(UNESCO한국위원회 교육 팀장)
- 정병준(KEEN 사무처장 )

16:00-16:10

휴 식

16:10-18:30

< 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좌장 : 김귀곤(서울대 교수)
< 발표 >
․Kris van Koppen (Wageningen 대학교 환경학부 교수):
네덜란드
Principles and Contex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Design - Experiences in the Netherlands and the UK(환경교육 교과목 설계의 원리와 맥락 : 네덜란드와 영국의 경험)
․ 학교환경교육 활성화의 걸림돌(정대수 전국 환경을 사랑하는 교 사모임 사무처장)
․ 학교환경수업의 실제(황유경 안양 부흥고등학교 )
․ 학교 환경교육(현정희 제주환경교육센터 소장)

< 토론 >
-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위원 1인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장학사 1인
- 제주도 현장 환경교육 선생님 1인
- 오윤근(제주특별자치도의제21협의회 운영위원)

18:30-21:00

공식 만찬
공연 및 교류마당: 한라홀(사물놀이 팀 공연 : 마로)

* 11월 23일(금요일)

08:30-09:30

아침식사

09:30-11:30

<시민환경교육>

좌장 : 정 용(전 연세대교수)
< 발 표 >
․ Raymond Murphy (Ottawa대학교 사회학 교수):
캐나다
Reflective, Ecological Modernization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Leaders(지도자들의 성찰적 및 생태적 근대화와 환경 교육)
․ 방과후 특기적성과정을 활용한 환경교육사례
(양희연: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요가연구소교육위원)
․ 지역의 환경활동과 환경교육(여진구 생태보전시민모임 대표)

< 토 론 >
- 문용포(곶자왈학교 교장)
- 박차상(제주한라대학교수)
- 김학모(환경연구센터 사무처장>

11:30-12:30

종합 토론 좌장 : 정대연(제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12:30-13:30

점심 식사

13:30-17:00

환경체험교육 현장 방문

17:00-

공항 이동

* 환경교육 전시 공간 마련//국립공원관리공단 전시//도내 환경교육사례(단체)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