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류의 미래를 책임질 신재생에너지

본문

인류의 미래를 책임질 신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

장길산 | 조회 46 |추천 0 | 2011.11.14. 11:25

인류의 미래를 책임질 신재생에너지

 

2011/09/26 18:14 Posted by 푸루

 

우리나라를 비롯 전세계적으로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바로 눈앞에 보이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공장, 가정 등등 화석연료가 사용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죠. 이렇게 많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다보니 그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가장 눈에 띄는 부작용은 환경오염과 화석연료의 고갈입니다.

환경오염은 이미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화석연료를 태워 에너지로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로 인해 이미 세계의 많은 자연환경들이 파괴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 하기 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거나,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는 모습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화석연료의 고갈 역시 인류에게 있어서 심각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따르면 이대로 화석연료를 사용 한다면, 석유는 40년, 석탄은 220년, 가스는 천연가스를 기준으로 60년 정도의 사용량 밖에 남지 않았다고 보고 있는데요. 석유고갈을 인류의 종말이라고 이야기 할 정도로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는 사안 중 하나입니다.



화석연료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아라!


이렇다 보니 화석연료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을 만들어내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최근 자주 화자되는 것이 바로 ‘신재생에너지’입니다.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체계를 위한 미래에너지원을 그 특성으로 하죠. 다시 말해 화석연료와 같이 고갈될 염려가 없는 에너지원이라는 것입니다.


신재생에너지는 유가의 불안정과 기후변화협약의 규제 대응 등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한국에서는 8개 분야의 재생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3개 분야의 신에너지(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총11개 분야를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어떤 것들이 있을까?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지정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좀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태양광
태양광발전시스템(태양전지, 모듈, 축전지 및 전력변환장치로 구성)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몸에 나쁜 공해를 만들지도 않고, 연료도 필요 없으며 소리도 나지 않아 조용하다는 것이 특징이죠. 또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 최근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입니다. 


                                                                 <가든파이브>



2. 태양열
태양에서는 매우 뜨거운 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바로 사용하거나 한꺼번에 모아 사용함으로써 집을 따듯하게 하고 물을 데우는데 사용하는데요, 이러한 장치를 태양열 난방 장치라고 부릅니다.


태양열 시스템은 집열부, 축열부, 이용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비해 설치가 간단하고 저가에 공급되어 현재 큰 보급률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정용 온수 및 난방을 위한 시스템의 보급률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버홈 노인요양원>



3. 풍력
풍력발전은 바람의 힘을 이용한 것으로, 바람이 풍차의 날개를 돌리면 날개는 발전기라는 전기발생 장치에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는 바로 사용하거나 전기를 보내는 전선망을 이용하여 전기를 필요한 사람들에게 보내주게 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해안선이 길어 풍력발전을 하기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군산풍력발전단지>



4. 수소, 연료전지
연료전지는 수소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입니다. 연료전지는 공해와 소음이 없기 때문에 앞으로 수소에너지와 더불어 미래의 에너지 정치로 부각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죠. 
 

                                            <건물용 연료전지시스템(서울대학교)>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5. 바이오에너지
쓰레기매립지에서 발생하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매립지가스(LFG : Landfill Gas)를 원료로 발전 설비를 가동하고 전력을 생산하는 과정을 통하여 매립지 주변의 환경오염(메탄가스 대기방출)을 저감하고,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통합형 바이오가스 플랜트>



6. 폐기물에너지
폐기물 재생에너지란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폐기물중 에너지 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열분해를 통한 오일화 기술, 성형고체 연료의 제조기술, 가스화에 의한 가연성 가스 제조기술, 소각에 의한 열 회수 기술 등으로 가공, 처리 하여 고·액체연료, 가스연료, 폐열 등으로 생산하고 이를 산업 생산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양산타워 자원회수시설>



7. 수력
소수력발전은 물의 낙하차를 이용한 시설용량 10,000㎾이하의 수력발전을 말하며, 국내보급현황은 '82년 이후 정부의 지원으로 현재까지 30여개 지역에(용량 약 43,000kW) 설치되었고 연간전력생산량은 약 1억kWh에 달합니다.

소수력발전은 전력생산 외에 농업용 저수지, 농업용 보, 하수처리장, 정수장, 다목적댐의 용수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의 개발잠재량은 풍부하며, 청정자원으로서 개발할 가치가 큰 부존자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동진강 소수력발전소>



8. 해양에너지
해양에너지는 바다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로서 파도가 칠 때 사용할 수 있는 파력에너지, 바다 속과 바다 표면의 온도차를 이용해 만다는 온도차 에너지, 밀물과 썰물 때의 물의 깊이가 달라지는 현상인 조력에너지 등이 있습니다.

조력발전
조석의 힘을 동력원으로 하여 해수면의 상승하강운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기술

파력발전
입사하는 파랑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 등의 원동기 구동력으로 발전하는 기술

해수온도차발전
해양 표면층 온수(예 : 25∼30℃)와 심해층(500~100M) 냉수(예 : 5∼7℃)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전하는 기술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