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길기자2013년 08월 26일 21시 26분
낙후의 대명사로 불리는 호남권이 각종 경제지표와 통계에서 여전히 최하위의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있다. 오죽하면 태생적 한계를 극복할 획기적인 정책지원 없이는 전북과 전남.광주 등 호남권 3개 시도의 발전비전 마련이 여의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온다.
인구는 지역의 발전을 가늠하는 실질적 척도인 가운데 호남권 인구는 갈수록 줄고 있다. 21년 전 호남권 인구는 충청권 보다 112만명 이상 많았으나 지금은 역전됐다. 1992년 충청권 인구는 440만9199명으로 호남권(553만436명)이 112만5147명이나 더 많았다.
하지만 올해 5월말 충청권 인구는 세종시 출범이후 급성장해 525만136명에 달해 21년 만에 84만 명이 늘어났다. 이 기간 호남권은 524만9728명으로 충청권에 추월을 허용했다. 인구가 밀리면서 지역내 총생산(GRDP)도 역전됐다.
지난 2010년 호남권 총 지역내생산은 123조2789억원인 반면, 충청권의 경우 138조9997억원으로 15조7208억원의 격차를 보였다. 전북과 전남의 재정자립도는 수십 년 째 나란히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민주당 이낙연 의원이 연이어 발표하는 각종 통계분석 자료에 따르면 암울한 각종 통계지표는 호남권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재확인 됐다. 근로 빈곤층은 전남 6.2%, 전북?광주 각 5.8% 등 평균 5.9%로 전국 평균(4.3%)을 크게 웃돌았다.
호남의 가계부채는 지난 2007년 29조3000억원에서 올해 5월 44조8000억원으로 52.9%나 증가했다. 전국 평균 증가율 39.1%를 크게 웃돌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권역별 증가율은 충청권 50.7%, 영남권 43.9%, 수도권 35.6%, 강원·제주권 26.3%이었다.
1인당 가계 부채 역시 2007년 말 563만원에서 올해 5월 902만원으로 늘어 60.2%의 증가율을 보였고, 전국 증가율 중 최고였다. 지역 경제의 핵심인 기업 소득을 살펴보면 더욱 암울하다.
지난해 전남의 기업 당 평균 소득은 1억4600만원, 광주 1억2200만원, 전북 6700만원으로 전국 기업 평균 소득 3억8600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가장 소득이 높은 울산(8억6400만원)과 비교하면 전북은 7.7% 수준에 그쳤다.
특히 최근 10년간 호남권의 어음부도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역시 이낙연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4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호남권의 어음부도율이 0.48%로 전국에서 제일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 0.13%보다 3배가 넘는 높은 수치이다. 지난 2008년 이후 5억 원 이상의 고액 어음부도율도 호남권이 0.26%로 전국 평균 0.1%의 2.6배를 기록했다. 올해 5월말 현재까지 전기료 체납액도 호남권(332억?전국비중 31%)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호남권의 낙후도가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의 형평성을 강조한 균형발전정책은 오히려 지역불균형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낙후된 지역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대목이지만 내년에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이마저도 요원해 보인다.
전북도 김승수 정무부지사는 “낙후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지만 국가균형발전 정책 속에서도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지 않는다면 현재의 불균형이 계속될 것이다”고 우려했다.
윤동길기자
'포털 규제'논의의 올바른 방향 모색 토론문-이상승(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0) | 2013.08.28 |
---|---|
국제 LED&Display 박람회, 대한민국 IT융합 엑스포 개최[Colorful_DAEGU] (0) | 2013.08.28 |
도쿄 한복판에서 꿀벌 키우며 시작된 커뮤니티 회복=== (0) | 2013.08.24 |
중국 강소성과의 교류 20주년, ‘맞춤형 관광전략’ 필요하다! --전북발전연구원 (0) | 2013.08.24 |
08월 21일 수요일 [제2540] 호 희망서울레터 -서울이야기가 박찬욱감독의 영화로 (0) | 201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