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에 태동한 한류의 인기가 15년 만에 최고조에 달했다. K팝 외에도 드라마, 영화 등 한국 대중문화가 해외에서 선전하며 최상의 수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류는 IT 경쟁력과 역동적 문화라는 강점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질 저하, 대중문화 편중 등의 문제로 향후 지속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한류가 일시적 열풍을 넘어 글로벌 사회로부터 '주류 문화'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지속성과 세계성을 겸비한 '新한류'로 거듭나야 한다.
1997년에 태동한 한류의 인기가 15년 만에 최고조에 달했다. K팝 외에도 드라마, 영화 등 한국 대중문화가 해외에서 선전하며 최상의 수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류는 IT 경쟁력과 역동적 문화라는 강점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질 저하, 대중문화 편중 등의 문제로 향후 지속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한류가 일시적 열풍을 넘어 글로벌 사회로부터 '주류 문화'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지속성과 세계성을 겸비한 '新한류'로 거듭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