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리스토텔레스 좋은삶의 경제학 홍기빈

경제/경제와 경영, 관리

by 소나무맨 2013. 4. 26. 07:49

본문

→ 오마이뉴스가  김택천 회원님께 보내드립니다. 2013/04/26 
약도보기자세히보기오마이스쿨10만인 클럽 가입하기오마이스쿨 알아보기자세히보기자세히보기
+ 오마이뉴스 뉴스레터는 발송일(2013/04/26)기준으로 수신에 동의하신 회원님들께만 발송합니다.
+ 이 메일은 발신 전용입니다.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회원정보수정'에서 '수신거부'를 선택해 주십시오.
(주)오마이뉴스, 대표이사 오연호, 사업자등록번호 101-81-53828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누리꿈스퀘어 비즈니스타워 18층
전화 02)733-5505, 팩스 02)733-5011,5077
Copyrightⓒ 1999 - 2013 by OhmyNews co.,ltd. all rights reserved.

                                       
신자유주의와 한국정치경제 완강
  • 경제
  • 수강기간 40일

신자유주의 그리고 한국의 정치경제를 말한다.

시절이 하수상합니다. 2012년 총선과 대선을 겨냥한 정치권의 지각변동 때문만은 아닙니다.
한국 사회 전반에 걸친 정치, 경제적 시스템의 재편을 요구하는 '커다란 전환'이 감지됩니다.
어쩌면 한 나라 단위의 정권 교체 수준을 넘어 신자유주의 30년, 자본주의 300년을 돌아봐야 할 시점인지 모릅니다.
이에 <오마이뉴스>는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의 온라인 강좌 '신자유주의 그리고 한국의 정치경제를 말한다'를 통해 오늘날 자본주의가 처한 위기의 근본을 따져 봅니다.

단원 강의명 강의시간 자료 강의보기
1강 지난 30년 지구적 자본주의는 무엇이었나 55분
지난 30년 지구적 자본주의는 무엇이었나 44분
지난 30년 지구적 자본주의는 무엇이었나 41분
2강 2008년 금융위기, 자본시장 신화의 파산 49분
2008년 금융위기, 자본시장 신화의 파산 40분
2008년 금융위기, 자본시장 신화의 파산 46분
3강 진보 세력의 한계와 '잠정적 유토피아' 43분
진보 세력의 한계와 '잠정적 유토피아' 39분
진보 세력의 한계와 '잠정적 유토피아' 39분
4강 복지국가 그리고 '살림살이 경제를 위하여' 48분
복지국가 그리고 '살림살이 경제를 위하여' 44분
복지국가 그리고 '살림살이 경제를 위하여' 44분

홍기빈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국제정치경제학 석사학위, 토론토 요크대학교 정치경제학 박사 학위. 여러 매체에 지구정치경제 칼럼 기고. 현재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재직 중. 폴라니, 베블런 등을 근거한 대안적 정치경제학 마련과 신자유주의적 지구정치경제 체제의 변화 과정 포착을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저서로는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 경제를 말하다』, 역서로는 『거대한 전환: 우리 시대의 정치ㆍ경제적 기원』 등이 있다.
[프로필]
  • (현)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사단법인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요크대학교 정치학과 지구정치경제학 공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외교학과 대학원 졸업
[저서]
  •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대선 독해 매뉴얼>
    <지금 여기의 진보>
                                               
  • 전체
  • 강좌소개
  • 강의목록
  • 강사소개
  • 교재정보
  • 수강생 평가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완강
    • 경제
    • 수강기간 60일

    삶의 주체로 우뚝 서는
    단 하나의 대안 경제

    신자유주의는 인간의 살림살이를 배제한 채
    인간의 모든 활동과 삶을 ‘화폐’로 계측하며
    더 많은 이윤추구와 분석에 몰두해왔습니다.

    이제 돈벌이에 몰두했던 시선을
    ‘살림/살이’로 돌려야 할 때입니다.
    Live and let live
    (나도 살고 너도 살고)라는 말처럼
    자본에 굴하지 않고
    돈벌이에 속박되지 않는
    ‘함께 산다’라는 말의 참의미를 되새겨볼 때입니다.

    우리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관조적 학습’과 ‘부정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인간다운 삶과 사회를 재조직하는 ‘각성’입니다.

    타인의 욕망을 내면화하지 않고
    소비사회 흐름에 휘둘리지 않기 위한
    그 첫걸음이 시작됩니다.

    단원 강의명 강의시간 자료 강의보기
    1강 돈벌이 경제학 VS 살림/살이 경제학 [1부] 58분
    돈벌이 경제학 VS 살림/살이 경제학 [2부] 40분
    돈벌이 경제학 VS 살림/살이 경제학 [3부] 31분
    2강 아리스토텔레스와 ‘좋은 삶’을 위한 경제학 [1부] 45분
    아리스토텔레스와 ‘좋은 삶’을 위한 경제학 [2부] 54분
    아리스토텔레스와 ‘좋은 삶’을 위한 경제학 [3부] 28분
    3강 돈벌이 경제학은 어떻게 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하게 되었나 [1부] 43분
    돈벌이 경제학은 어떻게 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하게 되었나 [2부] 55분
    돈벌이 경제학은 어떻게 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하게 되었나 [3부] 36분
    4강 살림/살이 경제학 연습 : 나의 삶, 우리의 삶, 복지 국가 [1부] 45분
    살림/살이 경제학 연습 : 나의 삶, 우리의 삶, 복지 국가 [2부] 34분
    살림/살이 경제학 연습 : 나의 삶, 우리의 삶, 복지 국가 [3부] 52분

    홍기빈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국제정치경제학 석사학위, 토론토 요크대학교 정치경제학 박사 학위. 여러 매체에 지구정치경제 칼럼 기고. 현재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재직 중. 폴라니, 베블런 등을 근거한 대안적 정치경제학 마련과 신자유주의적 지구정치경제 체제의 변화 과정 포착을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저서로는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 경제를 말하다』, 역서로는 『거대한 전환: 우리 시대의 정치ㆍ경제적 기원』 등이 있다.
    [프로필]
    • (현)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사단법인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요크대학교 정치학과 지구정치경제학 공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외교학과 대학원 졸업
    [저서]
    •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대선 독해 매뉴얼>
      <지금 여기의 진보>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홍기빈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지식의날개

                                                   

관련글 더보기